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3:38:34

카와이 마사히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e5a1d> 감독 83 아베 신노스케
1군 76 니오카 토모히로 (헤드코치 겸 타격수석코치) · 74 무라타 요시노리 (종합코치) · 81 스기우치 토시야 (수석투수코치)
77 우츠미 테츠야 (투수코치) · 78 카와이 마사히로 (내야수비코치) · 79 카메이 요시유키 (외야수비·주루코치)
88 사네마츠 카즈나리 (배터리코치) · # 아나부키 이쿠오 (트레이닝코치)
2군 73 쿠와타 마스미 (2군 감독) · 75 안도 츠요시 (헤드코치) · 71 야마구치 테츠야 (수석투수코치) · 72 오타케 켄 (투수코치)
85 와키야 료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82 스즈키 타카히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하시모토 이타루 (타격코치) · 89 카토 켄 (배터리코치)
# 이시모리 타카시 (트레이닝코치)
3군 70 코마다 노리히로 (3군 감독) · 86 후루키 시게유키 (타격코치) · 100 미사와 코이치 (수석투수코치)
104 노가미 료마 (투수코치) · 105 요시카와 다이키 (내야수비코치) · 103 킨죠 타츠히코 (외야수비·주루코치)
102 이치카와 토모야 (배터리코치) · 108 박석민 (육성코치) · # 존 터니 (트레이닝코치)
순회 84 쿠보 야스오 (순회투수코치) · 110 젤러스 휠러 (순회타격코치)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카와이 마사히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프로야구선수회 로고.png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역대 이사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야스무라 카즈오
1980~1985
오치아이 히로미츠
1985~1987
이시게 히로미치
1987~1989
오카다 아키노부
1989~1992
오카자키 카오루
1992~1993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츠지 하츠히코
1993~1995
이토 아키미츠
1995~1998
카와이 마사히로
1998~2001
타츠나미 카즈요시
2001~2005
코쿠보 히로키
2005~2009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바타 히로카즈
2009~2013
히가시데 아키히로
2013~2015
오오시마 요헤이
2015~2019
마츠다 노부히로
2019~2021
마루 요시히로
2021~
}}}}}}}}} ||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svg 파일:2000일본시리즈우승giants.png 파일:2002 JS 우승로고.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989 1994 2000 2002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코치
2007
}}} ||
파일:카와이 마사히로 코치.jpg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78
카와이 마사히로
川相昌弘 | Masahiro Kawai
출생 1964년 9월 27일 ([age(1964-09-27)]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신체 176cm, 75kg
포지션 유격수, 3루수, 2루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2년 드래프트 4위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83~2003)
주니치 드래곤즈 (2004~2006)
지도자 주니치 드래곤즈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07~2009)
주니치 드래곤즈 2군 감독 (2010)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감독 (2011~2012)
요미우리 자이언츠 수석코치 (2013~2015)[1]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감독 (2016~2017)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감독 (2018)
요미우리 자이언츠 팜 총감독 (2022)
요미우리 자이언츠 종합코치 (2023)
요미우리 자이언츠 내야수비코치 (2024~)

1. 개요2. 선수 시절3. 지도자 경력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현 요미우리 자이언츠 내야수비코치.

선수 시절 등번호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는 60번(1984~1988) - 0번(1989~1999) - 6번(2000~2003), 주니치 드래곤즈 시절에는 같은 유격수 우노 마사루가 달았던 7번을 2006년 은퇴 때까지 사용했다. 카와이의 은퇴후엔 이병규가 7번을 이어받았다.

2. 선수 시절

파일:카와이 마사히로 번트.jpg

일본프로야구를 대표하는 가장 이상적인 2번 타자로 유명했으며, 별명은 번트의 장인. 별명답게 팀내에서는 주로 1번 타자가 출루하면 번트를 쳐 자신이 아웃되더라도 1루에 있는 1번타자를 2루로 출루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실제로 교진군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1번타자 시노즈카 카즈노리나 오가타 코이치[2]가 안타를 치고 나가면 카와이가 2번타자로 나와서 번트로 선두타자를 진루시키는 방식으로 경기를 풀어나갔다.

그래서인지 23년간의 긴 현역 생활을 보내면서 통산 타율 .266(4512타수 1199안타), 43홈런 322타점, 47도루[3]에 불과한 비교적 초라한 타격 성적을 기록했지만 출중한 수비력, 작전 수행력을 앞장세워서 1990년대 중후반까지 요미우리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했으며, 1991년 시즌에는 66희생타로 당시 희생타 일본기록을 세웠으며[4] 2003년에는 통산 512개의 희생타를 기록하며 통산 희생타 세계기록을 세웠다.[5] 1999년 이후 강타자 니오카 토모히로에게 주전 유격수를 넘기고 주로 대수비로 나왔지만, 간혹 대타로 나와 번트를 대는 방식으로 희생타 수를 늘렸다. 이후 요미우리 구단과의 불화로 인해 2004년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하였고, 최종적으로 2006년 은퇴할 때까지 총 533개의 희생타를 기록했다.

희생타 기록 이외에도 수비에도 능하여,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을 무려 6차례나 수상하였다.(1989~1991, 1993~1994, 1996) 그것도 1980~90년대에 노무라 켄지로, 이케야마 타카히로, 이시이 타쿠로 등 공수를 겸비한 거물 유격수들 사이에서 타낸 상이라 더욱 가치가 있다. 단짝 2루수였던 시노즈카 카즈노리와의 키스톤 콤비는 지금도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상 최고의 키스톤 콤비로 꼽히고 있다.

상술했듯 타격에선 크게 돋보이는 모습을 보여주진 못햇으나, 딱 한 번 전경기 출장+규정타석 3할 타율(.302 0홈런[6] 33타점 OPS .733)을 기록한 1994년엔 팀의 우승 버프( 10.8 결전이 있던 해였다)도 적절히 받으며 커리어 유일의 유격수 베스트나인을 수상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2007 시즌부터 2010시즌까지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수비코치를 맡았다가 2011년부터 자신의 친정팀 요미우리의 코치, 그것도 2군 감독으로 돌아왔다. 2003년에 한 번 현역 은퇴 의사를 밝혔다가 번복하고 2004년에 주니치로 이적하면서 요미우리와는 등을 돌렸던 상태였다. 사실 2003년에도 현역 계속의 의지가 있었으나 팀 편성상 하라 타츠노리 감독의 인간관계를 동원한 집요한 설득으로 "그래, 이것도 팀을 위한 길"이라면서 은퇴 결심을 굳혔는데 막상 결심하자마자 은퇴를 결심하게 한 하라는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물러나게 되고, 부진의 책임을 감독에게만 떠넘기고 책임을 지지 않는 프런트의 행태에 반발하여 은퇴를 번복하고 주니치로 이적해서 3년을 더 뛰었다. 이미 요미우리가 아닌 다른 팀의 유니폼을 입기로 한 순간 요미우리의 감독 자리는 물건너가고[7] 심정적으로는 거의 요미우리하고 등을 돌린 상태였으나 결국 하라 감독도 다시 감독자리에 복귀했고 세월이 지난 동안 서로 앙금은 풀린 듯하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1군 수석코치를 맡았고, 같은 해 오프에 하라 감독이 용퇴하자 감독직 승격이 점쳐졌으나, 다카하시 요시노부가 은퇴 후 감독에 취임하면서 1군 감독설을 카더라로 돌아갔다.

이후 2016~2017년에 3군 감독, 2018년에 2군 감독을 역임했다가 시즌 후 구단에서 퇴단해 2019~2021년엔 야구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22년 이해부터 신설된 팜 총감독으로 부임하며 4년 만에 현장에 복귀했다. 팜 총감독은 2~3군의 총괄 책임자와 비슷한 직책으로써 직접 유니폼을 입고 선수들을 지도하는 것이 아닌, 코치와는 별도로 선수들에게 조언과 지도를 하는 직책이며 이 때문에 등번호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2023년부턴 쿠와타 마스미에게 팜 총감독을 넘겨주고 1군 종합코치로 전임하며 그라운드에 돌아왔다. 종합코치 전임과 함께 이전 요미우리 코치로 재임할 때 썼던 78번을 다시 등번호로 쓰게 되었다.

4. 기타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에서 OB선수로 나오는데 번트쪽 특능이 초특능이다. 그만큼 번트를 잘 댔던 선수.

우노 마사루에 비견될 정도로 무지막지한 노안이다.[8] 선수시절부터 동료들에게 이걸로 인해 별명이 많이 붙었으며 카와이 마사히로를 주제로 한 만화에서도 대놓고 노안으로 나올 정도다.

둘째 아들인 카와이 타쿠야 역시 아버지의 뒤를 따라 야구선수의 길을 걸었으며 2014년 드래프트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 육성선수 2위 지명을 받아 프로에 발을 들였다. 그러나 1군 데뷔를 이루지 못하고 2~3군에만 머무르다가 2017년 방출되었으며 이후 사회인야구팀 에이젝에 입단하였다가 은퇴 후 동사의 여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 추가로 오비린대학 최초의 프로야구 선수[9]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근면성실한 성격, 작은 체구에 순박해 보이는 외모였기 때문에 순둥이 이미지가 강했지만 의외로 벤치 클리어링 때는 적극적으로 달려들어서 벤클에 가담하는 의외의 일면도 있었다. 벤클 도중에 뛰어들다가 공중 회전킥을 시전한 적도 있을 정도(...)

5. 관련 문서



[1] 이 시기에 2014년~2015년의 일부 경기 한정으로 결장한 하라 타츠노리 감독을 대신하여 감독대행으로 지휘를 맡았으며, 2015년 시즌 도중에 내야수비·주루코치였던 스구로 히로노리를 대신하여(스구로는 벤치 담당으로 전환) 3루 베이스 코치를 맡기도 했다. [2] 緒方 耕一. 2015~2019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을 역임한 오가타 고이치(緒方孝市)와는 이름만 비슷한 별개의 인물이다. 1990, 1993년 센트럴리그 도루왕을 수상했다. [3] 홈런이야 수비형 유격수였다는 플레이 특성상 어쩔 수 없다 쳐도 테이블 세터로써는 도루 수가 꽤나 적었다. 선수 생활 동안 2자릿수 도루를 1번도 기록한 적이 없으며 도루자도 36회로 통산 도루성공률 역시 56.6%에 불과하다. 다만 홈런은 풀타임 0홈런 시즌도 있어서 그랬지 1990년에 규정타석을 살짝 넘기고도 9홈런을 기록하기도 하는 등 의외의 장타력을 보여준 적도 있었다. [4] 이후 2001년 야쿠르트 스왈로즈 미야모토 신야가 67희생타로 일본 신기록 겸 1917년 레이 채프먼이 기록한 메이저리그 최다 희생타와 타이 기록을 세웠다. [5] 이전까지의 세계 기록은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에디 콜린스가 기록한 511희생타였다. [6] 10.8 결전에서 백스크린을 맞추는 타구를 날렸는데, 이 타구가 홈런이 아닌 3루타로 판정되면서 결국 이 시즌엔 무홈런에 그쳤다. [7] 요미우리 퇴단 이 후 다른 팀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감독이 된 케이스는 후지타 모토시가 유일하다. [8] 둘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한솥밥을 먹게 된다. [9] 야구부 후배로 현재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뛰고 있는 사사키 치하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