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6:04:52

카린반드 왕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대
엘람
신아시리아
메디아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왕조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마잔다란계 소국들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알라비 왕조
사즈 왕조
사파르 왕조
지야르 왕조 살라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
부와이 왕조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일 칸국
일 칸국 멸망 후 혼란기

중근세
티무르 제국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마잔다란계 소국들
백양 왕조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사파비 왕조
근대
아프샤르 왕조
아프샤르 왕조
잔드 왕조
카자르 왕조
현대
팔라비 왕조
마하바드 공화국
이란 이슬람 공화국 }}}}}}}}}

1. 개요2. 건국3. 아바스 왕조와의 전쟁4. 역사적 의의5. 대중매체

1. 개요

550년대부터[1] 12세기 초까지 타바리스탄[2]일대를 지배한 소왕국.

2. 건국

이란 7대 가문 카렌 가의 일원이 호스로 1세를 도운 공으로 타바리스탄에 책봉된 것이 시초였다. 카렌 가는 역사가 매우 깊고 여기저기 영지가 많았는데, 이 중 타바리스탄에 책봉된 가문의 갈래가 카린반드 왕조가 된다. 본가의 전후사는 카렌 가 문서 참조.

다부이 왕조의 멸망과 타바리스탄에 대한 아바스 왕조의 정복 이후에도 카린반드 조는 험준한 지형 때문에 칼리프의 직접 지배와 이슬람화를 피해나갔다.

3. 아바스 왕조와의 전쟁

다부이 왕조가 멸망한 후, 카린반드의 통치자 빈다드후르무즈드(재위: 765년 ~ 815년) 조로아스터교도들의 환영을 받으며 다일람[3] 지방을 점령하였다. 이후, 그는 고르간[4]을 지배하던 바반드 왕조의 샤르윈 1세(재위: 772년 ~ 817년)과 함께 반(反) 아바스 봉기를 일으키고 이에 아바스 칼리파조에서 파견한 타바리스탄 총독인 할리드 이븐 비르마크(재임: 768년 ~ 772년)가 그들을 진압하려 했지만 조기 진압에 실패해 전쟁은 장기전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그들의 영웅적인 저항도 805년 경 하룬 알 라시드의 대규모 공세에 분쇄되어 조공을 바치고 자녀들을 볼모로 보내는 조건으로 아바스 조에 복속되어야만 했다. 815년에 빈다후르무즈드가 사망하자 아들 카렌(재위: 815년 ~ 817년)이 계승했고, 바반드 왕조에서는 817년에 샤르윈 1세가 죽자 샤흐리야르 1세(재위: 817년 ~ 825년)가 계승하였다. 817년에 알 마문은 두 왕들에게 동로마 원정에 참가하라 요구했다. 샤흐리야르 1세는 동원령을 거부했으나 카린은 여기에 참여해 공을 세워 보상과 관직을 받았다. 그러자 바반드 왕조의 샤흐리야르 1세가 이를 이란과 조로아스터교에 대한 배신 행위로 간주하여 카렌을 공격, 결국 카렌은 재위 2년만에 피살당했다.

카렌에 이어 즉위한 마지야르는 타바리스탄 통일을 염두에 두고 있던 샤흐리야르 1세에게 내쫓겨, 바그다드로 도피했다. 그곳에서 알 마문에게 의탁하여 이슬람으로 개종 후 군대를 얻어 822년에 타바리스탄으로 진격했다. 몇년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마지야르는 샤리야르 1세와 그의 장남 샤푸르를 죽여 복수에 성공했다. 826년에 마지야르를 도와준 무사 이븐 하프스가 죽자 그의 아들 무함마드와 마지야르가 타바리스탄을 통치했는데, 831년에 마지야르는 무함마드가 시아파들[5]과 접촉한다고 고발하여 그를 사마라로 압송시킨 뒤 타바리스탄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6]

알 마문 사후 칼리파좌에 오른 알 무타심도 마지야르를 타바리스탄 총독으로 유지시켰는데, 알 마문으로부터 호라산을 맡게된 타히르 왕조의 압달라 이븐 타히르는 타바리스탄도 자신의 관할이니 연공을 납부하고 무함마드를 석방할 것을 명하였다. 하지만 마지야르는 그 요구에 불복하였고, 이에 압달라가 알 무타심에게 이 사실을 고발하자 알 무타심은 압달라의 편을 들었고, 이에 마지야르는 이슬람을 버리고 당시 반(反) 아바스 봉기를 이끌고 있던 호람딘의 수장 바바크 호람딘과 손을 잡고 저항을 시작했으나 838년에 진압되었고 마지야르와 바바크는 함께 포로로 잡혀 사마라로 이송되어 거기서 처형당해 효수 되었다. 이후 타히르 조에 충성을 맹세한 마지야르의 동생인 쿠히야르가 왕좌를 잇게 되나 형인 마지야르를 배신했다는 사실에 분개한 휘하 병사들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통상적으로 쿠히야르를 끝으로 카린반드 왕조는 사실상 멸망했다고 본다. 이후 가세가 쇠락하여 바반드 왕조의 봉신으로 전락하였고, 12세기 경에는 그나마의 영지까지 잃고 바반드 왕조의 가신 가문이 되었다는 기록을 끝으로 더 이상의 기록이 없어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4. 역사적 의의

카린반드 왕조를 비롯해, 타바리스탄 일대의 소왕국들은 조로아스터교 신앙과 고대 페르시아 문화를 11세기까지 보존하였다는 점에서 분명한 의의를 갖는다. 구 사산 왕조의 잔여 세력이 보존한 문화가 미약하게나마 이어져, 현대 이란에서 조로아스터교가 사라지지 않는 결과를 낳았다. 이슬람화 전의 이란과 이슬람화 후의 이란이 완전히 단절되지 않게 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이다.

5. 대중매체

크루세이더 킹즈 2 시나리오에서는 769, 867년 시나리오에서 플레이 가능하며, 철의 세기 이후로 1066년 시나리오에서 남작령을 차지하고 있다. 867년 시나리오가 그나마 살리기 쉬운 편이다.[7] 크루세이더 킹즈 3에서도 867년 시나리오에 디히스탄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백작령 영주로 등장하는데 타히르 왕조의 봉신으로 시작한다. 원래는 조로아스터교를 믿었으나 Legacy of Persia dlc로 공식 종교는 이스마일파를 믿으며 쿠라미교를 비밀 종교로 믿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LoP 이전까지는 조로아스터교 페르시아 재건 컨셉으로 많이 선택되었으나 LoP 이후 바반드 가문이 버프를 받으면서 플레이 메리트가 사라졌다.
[1] 실질적인 독립 왕조로서는 사산 왕조 멸망 이후부터. [2] 카스피해 남안을 일컫는 말. [3] 타바리스탄 서부 [4] 타바리스탄 동부 [5] 이 이란 시아파들은 후에 알라비 왕조를 세운다. [6] 바반드 왕조는 마지야르에 충성하고 있던 샤리야르 1세의 차남 카렌 1세에게로 이어졌다. [7] 둠스택 5500명을 데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