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형흡충(간충)[1] 槍形吸蟲 | Lancet liver fluke, Brain worm[2] |
|
|
|
학명 |
Dicrocoelium dentriticum Rudolphi, 1819 |
<colcolor=#000,#fff>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편형동물문 Platyhelminthes |
강 | 흡충강 Trematoda |
목 | 사고흡충목 Plagiorchiida |
아목 | ✲검형흡충아목 Xiphidiata |
상과 | 방광흡충상과 Gorgoderoidea |
과 | 이강흡충과 Dicrocoeliidae |
속 | 이강흡충속 Dicrocoelium |
종 | 창형흡충 D. dentriticum |
[clearfix]
1. 개요
|
2. 생활사
창형흡충은 그 생활사가 매우 독특한데 달팽이 > 개미 > 양[4]을 거친다.2.1. 알
양의 담도에 기생하는 창형흡충의 성충은 양의 몸 속에서 교미하여 산란하고 알은 양의 배설물에 섞여 밖으로 배출된다.2.2. 유충기
이렇게 하여 배출된 알은 양의 배설물 속의 소화된 섬유소 등을 먹으러 오는 달팽이에게 먹히기 만을 기다린다. 그렇게 달팽이에게 먹힌 알은 몸속에서 유충으로 부화하여 양분을 빼앗으며 성장한다. 그러다가 개미의 몸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이놈의 진짜 능력과 진면목이 드러난다.2.3. 성충기
달팽이가 개미에게 잡아먹히게 되면[5] 개미의 몸속으로 들어가 성충이 될 때까지 양분을 빼앗으며 살아가는데 메타세르카리아기로 자라면 뇌를 교란하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개미가 풀 꼭대기의 끝자락에 매달려 있도록 조종한다.[6] 그렇게 하여 흡충에게 잠식당한 개미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렇게 죽은 듯 매달려 있는데 그렇게 되면 양이 풀을 뜯다가 "우연히" 조종당한 개미를 삼키게 되고 그럼 흡충은 담도에 자리를 잡고 성충으로 자라 번식을 하면서 생애주기를 이어간다.
2.3.1. 인체 감염 시
인간도 우연히 종숙주가 될 수 있으며 증상은 간흡충에 비해선 경미하며 담관염 등을 일으킨다. 그리고 서아프리카의 근연종인 호스페스창형흡충(D. hospes)은 대다수의 창형흡충증 사례의 병원체이기도 하다. ♤3. 등장 매체
간충(肝蟲)의 번식 사이클은 자연의 가장 큰 미스터리로 알려진다. 간충은 양(羊)의 간에 번식하는 기생충이다. 그러나 그 알은 양의 몸 안에서 살 수 없어 기상천외의 대장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간충 알은 양이 대변을 볼 때 같이 밖으로 나와 작은 애벌레가 된다. 그 다음 달팽이에게 먹히고 달팽이의 끈끈물에 담겨 밖으로 배출된다. 끈끈물은 개미를 유혹하고 간충들은 이 '트로이 목마'에 실려 개미 위(胃)에 침투한다. 그 뒤 위에 수천 개의 구멍을 뚫고 개미 몸 밖으로 나와 가슴, 다리, 배에 자리 잡는다. 이들은 견고한 풀로 구멍을 막아 개미를 살려놓고 개미가 양에게 먹힐 때를 기다린다.
그런데 양은 개미를 먹지 않는다. 또한 양은 풀줄기가 선선할 때 그 윗부분을 먹지만 개미는 줄기가 따뜻할 때 풀뿌리 그늘에서만 돌아다닌다. 어떻게 이 개미를 양에게 먹히게 할 것인가? 간충 한 마리가 개미의 몸 안에 남아 뇌에 파고들어 이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이다. 간충에 감염된 개미는 건강한 일개미가 잠든 밤에 마치 몽유병환자처럼 밖으로 나가 양이 가장 좋아하는 개자리와 냉이 위에 올라간다. 아침이 되면 아직 먹히지 않은 개미는 제 정신을 찾고 풀에서 내려온다. 그러나 저녁이 오면 다시 제 발로 풀 위에 올라가는 자살행위를 양에게 먹힐 때까지 계속한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중.
소설 개미로 유명한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쓴 책인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 "양은 개미를 먹지 않는다." 라는 유명한 구절과 함께 간충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오류가 산재한 해당 도서답지 않게 비교적 생애 주기가 정확하게 묘사된 편.그런데 양은 개미를 먹지 않는다. 또한 양은 풀줄기가 선선할 때 그 윗부분을 먹지만 개미는 줄기가 따뜻할 때 풀뿌리 그늘에서만 돌아다닌다. 어떻게 이 개미를 양에게 먹히게 할 것인가? 간충 한 마리가 개미의 몸 안에 남아 뇌에 파고들어 이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이다. 간충에 감염된 개미는 건강한 일개미가 잠든 밤에 마치 몽유병환자처럼 밖으로 나가 양이 가장 좋아하는 개자리와 냉이 위에 올라간다. 아침이 되면 아직 먹히지 않은 개미는 제 정신을 찾고 풀에서 내려온다. 그러나 저녁이 오면 다시 제 발로 풀 위에 올라가는 자살행위를 양에게 먹힐 때까지 계속한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중.
[1]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 등장한 이름. 다만
간흡충과 헷갈릴 수 있는 만큼 정확한 명칭은 아니니 창형흡충 이라고 해야 옳다.
[2]
편의상 부르는 명칭이지만 똑같이 영명으로 Brain worm 이라 부르며
순록,
흰꼬리사슴,
와피티사슴등의 사슴류의 뇌에 사는 기생충인 뇌사상충(
Parelaphostrongylus tenuis)과는 연관이 없다. 이쪽은 선형동물에 속한다.
[3]
이 외에도
북아메리카와
러시아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일본과 국내 등지에선 비풍토병이다.
♤
[4]
또는 그와 비슷한 초식 동물들. 이놈이 어떻게 개미를 먹지 않는 양의 몸 속으로 들어가는지는 이후 서술을 참고.
[5]
또는 흡충이 달팽이의 호흡기를 자극해서 달팽이가 배출한 점액에 섞여 나와서 개미가 먹이로 가져가길 기다리기도 한다. 종종 개미가 달팽이의 점액을 먹이로 착각해 가져가기도 한다고.
[6]
그것도 단순히 특정 행동만을 하도록 조종하는 연가시와는 달리 매우 주도면밀하게 가축들이 주로 풀을 뜯는 서늘한 저녁~아침 시간대에만 매달려 있다가 낮이 되면 다시 굴속으로 들어가게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