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4 21:34:28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파일:극장판도라에몽.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오야마 성우진
<rowcolor=#373a3c> 1기 2기 3기 4기 5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1980)
진구의
우주여행
(1981)
진구의
아프리카 대모험
(1982)
진구의
해저성
(1983)
진구의
마계체험
(1984)
<rowcolor=#373a3c> 6기 7기 8기 9기 10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1985)
진구와
철인군단
(1986)
진구와
용의 기사
(1987)
노비타의
패럴렐서유기
(1988)
노비타의
일본탄생
(1989)
<rowcolor=#373a3c>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진구와
동물혹성
(1990)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1991)
진구와
구름왕국
(1992)
진구와
양철인형
(1993)
진구와
꿈의 삼총사
(1994)
<rowcolor=#373a3c>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진구의
천지창조
(1995)
진구와
은하철도
(1996)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
(1997)
진구의
바다 대모험
(1998)
진구의
우주표류기
(1999)
<rowcolor=#373a3c>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진구의
태양왕전설
(2000)
진구와
날개의 용사들
(2001)
진구와
로봇왕국
(2002)
진구와
바람의 마을
(2003)
진구의
시공여행
(2004)
미즈타 성우진
<rowcolor=#373a3c>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2006)
진구의
마계대모험
(2007)
진구와
초록거인전
(2008)
신 진구의
우주개척사
(2009)
진구의
인어대해전
(2010)
<rowcolor=#373a3c> 31기 32기 33기 34기 35기
진구와
철인군단
(2011)
진구와
기적의 섬
(2012)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
(2013)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2014)
진구의
우주영웅기
(2015)
<rowcolor=#373a3c> 36기 37기 38기 39기 40기
신 진구의
버스 오브 재팬
(2016)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2017)
진구의
보물섬
(2018)
진구의
달 탐사기
(2019)
진구의
신공룡
(2020)
<rowcolor=#373a3c> 41기 42기 43기 44기 45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2022)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2023)
진구의
지구 교향곡
(2024)
진구의
그림 세계 이야기
(2025)
미정
스탠바이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1991)
Doraemon: Nobita's Dorabian Nights
ドラえもん のび太のドラビアンナイト
파일:노비타의 도라비안나이트.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동물혹성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구름왕국 }}}
<colbgcolor=#FBE750><colcolor=#EE63A4> 장르 애니메이션, 일상, 시간여행물, 가족, 액션, 코미디, 일상, 모험
제작 총지휘 후지코 F. 후지오
원작
각본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감수 쿠스베 다이키치로(楠部大吉郎)
연출 츠카다 쇼에이(塚田庄英)
히라이 미네타로(平井峰太郎)
작화감독 토미나가 사다요시(富永貞義)
와타나베 아유무
미술설정 카와모토 쇼헤이(川本征平)
미술감독 누마이 노부로(沼井信朗)
촬영감독 사이토 아키오(斎藤秋男)
특수촬영 와타나베 유리오(渡辺由利夫)
효과 카시와바라 미츠루(柏原満)
특수효과 도이 미치아키(土井通明)
편집 오카야스 하지메(岡安肇)
녹음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음악 키쿠치 슌스케
프로듀서 벳시 소이치(別紙壮一)
야마다 토시히데(山田俊秀)
코이즈미 요시아키(小泉美明)
제작 협력 후지코 프로
ASATSU
제작 쇼가쿠칸
신에이 동화
테레비 아사히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미디어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1년 3월 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5월 4일 (TV 방영)
상영 시간 99분
흥행 성적 30.6억 엔
국내 스트리밍 TVING
상영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스토리4. 등장인물5. 주제가6. 게임7. 기타

[clearfix]

1. 개요

도라에몽의 12번째 극장판이자 11번째 대장편. 한국 정발명은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서적 정발명은 진구의 아라비안나이트로, 원래 제목이 도라에몽+아라비안나이트로 '도라비안 나이트'라는 말장난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번역이었으나 극장판 정식 방송에서는 말장난을 고려해 제목이 변경되었다.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만인에게 널리 알려진 아라비안나이트를 소재로 잡았다.

2. 예고편

예고편

3. 스토리

진구는 도라에몽의 도구로 동화를 체험한다. 이후 이슬이와 같이 들어가게 되는데 돌아와 보니 사라졌다. 진구와 도라에몽은 친구들과 같이 이슬이를 찾기 위해 서기 794년의 아라비아로 떠나 신밧드의 도움을 받게 되는데...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도라에몽_신밧드 1991.png }}} ||
성우는 사카 오사무[1] / 최현수. 사막의 거성에서 생활하는 노인. 흔히 선원 신드바드로 많이 알려진 그 신드바드다. 도라에몽의 도구와 비슷한 물건들을 가지고 있다. 타임 트레블러를 구해준 보답으로 사막 한가운데 자신의 성을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컬렉션을 자랑하는 것이 취미이다(...). 상대방의 말을 함부로 예측해 버리는 버릇이 있에서 도라에몽 일행은 이슬이를 찾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데 꽤 애먹었다. 왕궁이 압지루 일당에게 점령당한 때에는 완전히 기가 죽어 버렸지만, 자신의 젊은 날의 모험이 후세의 아이들에게 꿈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를 진구와 아이들에게 듣고, 용기를 되찾게 되어 압지루 일당으로부터 다시 성을 되찾게 된다. 참고로 코믹스와 애니메이션에서 압지루 일당에게서 성을 되찾은 후 압지루 일당을 왕궁 지하감옥에 가둔다. 이후 엔딩 스탭롤에서 다시 왕궁을 방문한 도라에몽 일행과의 뒷이야기가 그려져 있다. 젊은 시절의 열정을 잃은 노인이 도라에몽 일행을 만나 다시 열정을 되찾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이 작품의 진정한 주인공으로 불린다. 명대사는 "나는 마음까지 나이를 먹었던 것 같구나."
  • 미쿠진 (ミクジン)
파일:도라에몽_미쿠진 1991.png }}} ||
성우는 마츠시마 미노리[2] / 비주언. 22세기의 여행사 가이드 겸 가이드 로봇으로, 생긴건 꼭 램프의 요정처럼 생겼다. 자칭 일류가이드라고 하지만 실수투성이인지라[3] 도라에몽 일행은 삼류 가이드 취급한다. 더구나 다른 사람의 대화에 나서서 트집을 잡는 등 성격도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싸워서 삐친 끝에 일을 포기하고 미래에 돌아가는... 것 같았지만 실은 몰래 뒤에서 따라오고 있었고[4], 그늘에서 도라에몽 일행을 도운 것이 드러나 무책임한 것 같지만 책임감은 강하다는 것이 밝혀진다. 또 카심 일당이 버린 주머니를 주워 보관하는 등 의외의 활약을 펼쳤다. 코믹스판 명칭은 "시돌이".
  • 압질(アブジル)
파일:도라에몽_압질 1991.png }}} ||
성우는 가토 세이조 / 장서화. 흉측하게 생긴데다 성격까지 못된 악덕 노예상. 전에 사막에서 쓰러져 있던 것을 신드바드가 구해줬는데, 배은망덕하게도 이후 신드바드의 왕궁을 빼앗아 세계를 지배하려 하고 있다. 우연히 발견한 이슬이를 붙잡아서 신드바드에게 바치겠다고 했으나[5], 도라에몽 일행과 신드바드에 의해 이슬이가 구출되자 카심 일당과 함께 손잡고 왕궁을 습격한다. 한때는 궁궐을 빼앗지만, 마지막에는 모험심을 되찾은 신드바드에게 패배해 카심 등과 함께 붙잡힌다.
  • 카심(カシム)
파일:도라에몽_카심 1991.png }}} ||
성우는 카토 오사무 / 임채빈. 지명 수배된 도적단 전갈단(サソリ団)의 두목. 이슬이를 찾아 헤매던 도라에몽 일행에게 접근해 배를 태워주었지만 나중에 본색을 드러내고 아이들을 바다에 버린 뒤 주머니까지 훔쳐간다. 하지만 배도 난파당하고 기껏 훔친 도라에몽의 주머니는 사용 방법을 몰라(...) 헛수고만 하고 주머니를 내다 버린 뒤 사막을 헤매다가 같이 사막을 헤매던 압지루와 손을 잡게 된다. 결국 압지루와 함께 왕궁을 빼앗는 데에는 성공하지만... 결국에는 압지루를 버리고 보물과 함께 도망 치려고 했지만, 강풍과 보물의 무게로 쓰러져서 도라에몽들 일행에게 부하[6]와 함께 붙잡힌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신드바드와 압지루의 결투 중에 이슬이를 인질로 잡는데 이슬이가 카심의 손가락을 깨물고 탈출한 틈을 타 도라에몽 일행이 결국 몸빵으로 덮쳐서 때려잡는다.
* 카심의 부하들
파일:도라에몽_카심의_부하들 1991.png }}} ||
성우는 노모토 레이조 & 타구치 타카시 / 이주승 & 정의택. 전갈단의 멤버들로, 배에서 난파당한 후 카심과 함께 유일하게 생존한 부하들이다. 너무 힘든 나머지 사막에서 분열이 일어나 흩어지려고 했으나, 카심이 뒤에서 황금성을 차지하면 대신으로 써주려 했었다며 회유를 했는데 거기에 홀라당 넘어가 다시 부하가 되겠다며 굴종한다. 이후 카심과 압질과 함께 체포되었다.
  • 램프의 요정 (ランプの精)
파일:도라에몽_램프의_요정 1991.png }}} ||
성우는 이치류사이 테이유우[7] / 김윤채. 신드바드의 수집품 중 하나. 우리가 아는 그 램프의 요정이 맞지만, 항상 느긋하고 덜렁대는지라 신드바드에게 늘 구박받는다. 물론 우리가 생각하는 그 램프의 요정답게 램프를 문지른 사람의 명령에 따른다. 성격도 주인에게 영향을 받는지라 압지루 등을 따르던 때에는 그도 성격이 나빠진다. 다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원작만큼 게으르지 않다.
  • 병 속의 마신 (魔人)
파일:도라에몽_마신 1991.png }}} ||
성우는 고리 다이스케 / 이주승. 병 속에 들어가 있고, 병의 뚜껑을 열면 최대 16m 길이까지 커질 수 있다. 물론 램프의 요정처럼 뚜껑을 연 사람의 명령에 따른다. 너무 강해서 제대로 다루기는 어려운 듯 하다.
파일:도라에몽_라시드_왕 1991.png }}} ||
성우는 하즈미 준 / 이주승. 실존인물로, 아바스 왕조의 제5대 칼리프. 카심이 이끄는 도적단에게 습격당한 도라에몽 일행을 도운 후, 첫 만남임에도 불구하고 왕궁 내로 데려와 대접했다. 이 세상의 악을 근절하고, 누구나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의감 강한 왕으로 그려진다. 또, 어린아이들의 말만 듣고서도 자신의 친필이 담겨 있는 통행증서까지 내주는, 그야말로 대인배.
  • 그 외
    • 씨앗 병사
파일:도라에몽_씨앗_병사_변신_전 1991.png }}} ||
파일:도라에몽_씨앗_병사 (수정) 1991.png
||
변신 전 변신 후
원래는 콩알 정도의 핑크색 구슬 형태로 상자 속에 들어 있지만, 구슬을 바닥으로 투척하면 알알이 창을 가진 병사의 모습으로 변신한다. 이후 주인이 상자에 돌아가라고 명령하면 다시 알아서 씨앗으로 환원한다.* 춤 인형
파일:도라에몽_춤인형 1991.png }}} ||
춤추는 인형으로, 태엽으로 움직이며 주기에 맞춰 태엽을 돌려줘야 한다.* 모래 돌고래/고래
파일:도라에몽_모래돌고래 1991.png }}} ||
파일:도라에몽 모래고래 1991.png
||
모래 속을 바다처럼 헤엄쳐 다니는 고래.* 원숭이 로봇
파일:도라에몽_원숭이로봇 1991.png }}} ||
  • 하늘을 나는 목마

파일:도라에몽_하늘을_나는_목마 1991.png }}} ||

5. 주제가

OP
ドラえもんのうた
도라에몽의 노래
Movie ver.
Full ver.
<colbgcolor=#FBE750><colcolor=#EE63A4>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노 사토코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야마 노부요( 도라에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서영( 도라에몽)
작사 쿠스베 타쿠미(楠部工)
바바 스스무(ばばすすむ) (보조)
작곡 키쿠치 슌스케
편곡
ED
夢のゆくえ
꿈의 행방
Movie ver.
Full ver.
<colbgcolor=#FBE750><colcolor=#EE63A4> 노래 시라토리 에미코(白鳥英美子)
작사 타케다 테츠야
작곡 시라토리 스미오(白鳥澄夫)
편곡 와타나베 마사지(渡辺雅二)

6. 게임

Nobita no Dorabian Night
파일:doraemon-nobita-no-dorabian-night-japan.png
출시연도 1992년[8]
개발 및 공급 허드슨
장르 퍼즐, 아케이드
플랫폼 TurboGrafx-CD, PCE

SUPER CD판 영상.[9]

허드슨소프트에서 1992년에 정식으로 SUPER CD ROM으로 정발되고, 그 밖에도 PCE 에뮬로 가동된 퍼즐 게임. 다만 다른점은 이쪽은 도라에몽이 책속으로 빨려들어간 진구 일행을 구출하고,[10] 후반에는 신드바드를 만나서 압지루와 카심의 야망을 막아내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다만 이 게임의 신드바드의 성우는 카케가와 히로히코로 애니메이션판과는 성우가 다르다.

참고로 이 게임은 한국에서도 2000년대 초반에 정발된 적이 있다! 게다가 등급분류번호가 제대로 붙어있는 것을 보면 해적판이나 불법 수입 제품 같은 것도 아니라 정식으로 수입된 것이다.

7. 기타

  • 2019년에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으로 일본의 방송국 WOWOW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을 방송하여 무척 좋아진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 한국에서는 2020년 5월 4일에 애니원, 챔프TV에서 첫 방송됐다. 일본에서 1991년에 개봉한 작품이고 한국에서는 첫 개봉 후 거진 30년이 다 되어서야 들어와서 한국판 성우와 일본판 성우의 나이차가 할아버지와 손자뻘 정도로 상당하다. 예를 들어 신밧드(日 사카 오사무 1930년생/韓 최현수 1987년생), 압질(日 가토 세이조 1927년생/韓 장서화 1990년생), 카심(日 카토 오사무 1936년생/韓 임채빈 1995년생), 미쿠진(日 마츠시마 미노리 1940년생/韓 비주언 1989년생) 등. 더구나 가토 세이조나 고리 다이스케 등 한국판 성우들이 성우로 데뷔하기도 전에 사망한 성우들도 있는 등 전반적으로 한국에서는 오오야마판 도라에몽 극장판의 수입이 매우 늦게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물론 대원 특성상 젊고 경력이 짧은 자사 성우들을 위주로 캐스팅하는 것도 크다.[11] 게다가 도라비안나이트 이전에 개봉한 극장판들에서는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 심하면 심하지 덜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다가 신 도라에몽 방영 이후 태어난 성우들이 초창기 극장판 더빙할 듯.
  • 한국 방영시에는 욱일기가 나오는 장면에 모자이크 수정이 가해졌다. 작중 배경은 아랍 지역이긴 한데 태양빛 같은 묘사가 욱일기를 닮아 모자이크한 듯.[12] 시청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 현재까지 한국에서 이 작품 이전의 극장판은 방영되지 않고있다.


[1] 1975년 닛폰 애니메이션에서 제작된 신밧드의 모험 (한국에서도 1980~1990년대에 KBS에서 방송된 그 작품)에서 소년 신드바드 역할을 맡은 성우는 바로 진구 역할의 오하라 노리코였다. [2] 원피스 츠루 중장 성우이다(...). 게다가 금붕어 주의보라는 애니메이션에서는 마스코트격 캐릭터인 금붕어 교피를 맡았는데, 이 녀석의 한국판 성우는 다름아닌 진구 역할의 성우 김정아(...). [3] 타임머신 조작 미숙이라던지, 관광객 비위도 못 맞추는 해설이라던지... [4] 바다에서 표류하던 비실이가 봤다는 불덩이가 바로 미쿠진이 변신한 모습이었다. [5] 당연히 사정을 아는 신드바드는 그 제안을 단칼에 잘라버렸다. [6] 이름이 있다 해도 극중에서 안나와서 수하A, 수하B(手下A、手下B)로 나온다. [7] 당시에는 스즈키 미에라는 이름으로 활동. [8] 정확하게는 1991년에 개발되고, 가동은 1992년에 했다. [9] 참고로 PCE 에뮬과 비교해 볼 때 이쪽이 화질이 더 선명하다. [10] 이슬이는 원작다운 클리셰로 아라비아에 그대로 표류, 진구는 중생대, 비실이는 고훈시대, 퉁퉁이는 악마성 시리즈를 연상케하는 중세시대에 표류되어 있다. 구출 순은 윗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진구→비실이→퉁퉁이→이슬이 이렇게 전개. [11] 예시로 들었던 가토 세이조 카토 오사무 등 주역 성우들의 경우 개봉일이었던 1991년 기준으로도 이미 경력이 2~30년이상이었던 베테랑들이었다. [12] 전작 양철인형에서는 비슷한 장면에서 흰색으로 덮은것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성의없게 모자이크로 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