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3 19:18:27

주체의학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 우상화 교과서) · 주체사상 (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조선인민군 (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 원인) · 대남공작기관 (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우상화 · 공민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태양상 · 초상휘장 · 1호 사진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 축구 대표팀) · 관광 (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 탈북 과정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 관련 뉴스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북한의 국가장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의학체계.

2. 특징

북한의 의학체계는 의사담당구역제, 예방의학, 무상치료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의학은 “의사담당구역제를 실시하며 의사들이 담당구역주민들을 찾아다니며 사람들이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대책을 철저히 세우고 병이 나면 제때에 무상으로 치료하여 그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가장 우월한 인간중심”의 의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주체의학은 “근로자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자본가들의 수중에 장악되어 그들의 돈주머니를 불려주면서 근로자들에게 고통을 주는 자본주의 의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사람을 위하여 모든 것을 복종시켜야 한다는 주체사상의 요구가 가장 철저히 구현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예방의학은 오직 인민들이 국가와 사회의 주인으로 되고 있는 사회주의 사회에서만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인간중심의 주체의학이야 말로 가장 인민적이며 독창적인 보건사상을 구현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1980년 인민보건법 제정을 통해 주체의학이 발전할 법적 담보가 마련되었다고 주장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