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승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각관 | 각예 | 각운 | 경한 | 광지 |
교웅 | 균여 | 균정 | 김윤후 | 나옹 | |
덕겸 | 덕소 | 도휴 | 몽여 | 묘청 | |
무학대사 | 보우 | 복구 | 소현 | 신돈 | |
연온 | 요세 | 월송 | 의장 | 의천 | |
일연 | 일인 | 정현 | 종린 | 종참 | |
지겸 | 지눌 | 지인 | 징엄 | 천영 | |
천인 | 총서 | 충감 | 충지 | 충희 | |
탁연 | 탄연 | 학일 | 해린 | 허월 | |
현응 | 혜심 | 혼원 | 희랑 | }}}}}}}}} |
[clearfix]
현오국사(玄悟國師) 종린(宗璘)
(1127 ~ 1179)
1. 개요
고려시대 승려로 왕족이다.2. 생애
1127년 숙종의 4남 대방공 왕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속명은 왕중지(王重之)이고 법명은 종린(宗璘)이다.13세 되었을 때 어머니인 경창원주(敬昌院主)[1] 가 청하여 머리를 깎고 사문(沙門)이 되었고, 숙부인 원명국사 징엄에 의탁하여 가르침을 받았다.
인종 19년인 1141년[2] 12월 15세가 되자, 불일사(佛日寺)로 가서 비구계를 받았다. 의종 원년인 1146년[3]에 의종이 비답(批答))를 내려 수좌(首座)로 삼았다.
화엄종의 승려로 귀신사(歸信寺), 개태사(開泰寺), 중광사(重光寺), 부석사(浮石寺) 등에서 주지를 지냈으며. 이후 승통(僧統)으로 제수되었다.
의종 원년인 1147년[4] 2월에 인종이 종린을 대궐로 맞이하여 국사에게 명하여 손수 큰 동생[5]의 머리를 깎아주도록 하였다.
명종 즉위년인 1170년[6]에 명종이 좌세(佐世)라는 호를 더하였다. 명종 5년인 1175년[7] 6월 29일이 되어서 병이 갑자기 악화되었으니, 이에 손으로 해가 지는 쪽을 가리키고는 조용히 돌아가셨다.
3. 여담
- 비석은 현재 용인 서봉사지(瑞峰寺址)에 있으며 보물 제9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