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5 20:57:27

조러관계

조선-러시아 관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북러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svg 조러관계 관련 틀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진 명나라 파일:류큐 왕국 국장.svg
류큐 왕국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발해 · 고려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유럽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체첸·인구시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아디게야 공화국 국기.sv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이·발카르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다게스탄 공화국 국기.sv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인도·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몽골·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독일·러시아·폴란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연합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러일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소련 }}}}}}}}}

파일: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조선국 러시아 제국
1. 개요2. 역사
2.1. 나선정벌2.2. 제2차 아편전쟁2.3. 조로수호통상조약2.4. 러시아의 조선에 대한 간섭2.5. 아관파천2.6. 러일전쟁 이후
3. 관련 사건4. 같이보기

1. 개요

조선 러시아 제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

2.1. 나선정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선정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과 러시아의 첫 만남은 껄끄러웠다. 17세기 중엽 러시아는 남방으로 영토 확장을 하고 있었지만, 아무르강 일대에서 청나라와 충돌해 서로간 영토확장에 분쟁이 생겼다. 결국 자신들의 영토를 지키고자 하는 청나라는 조선을 끌여들였고, 별 소득을 얻지 못했던 러시아는 물러나게 된다.

2.2. 제2차 아편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러시아 제국 국경 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2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연해주가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고, 조선은 처음으로 서구 열강과의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은 국경을 잠그는 것부터 계속해서 러시아를 견제했고, 양국의 사이는 좋아지지 않았다. 또한 베이징 조약이 맺어지며 조선의 녹둔도 러시아 제국에 넘어가게 되었다.

2.3. 조로수호통상조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로수호통상조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러시아의 조선에 대한 간섭

1884년 조로수호통상조약이 수립된 이후, 러시아는 조선을 자신들의 식민지로 삼자 하는 야망이 있어서 점점 조선에 자기들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 때문에 1885년 영국이 거문도 점령 사건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조선은 러시아와 친한 관계를 유지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남하정책의 일정중 하나인, 제주도 점령과( 제주성 위협사건,1885년)[1] 용암포 점령, 절영도(現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조차와 같은 무리한 요구들을 대한제국에 요구하였다.

2.5. 아관파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관파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을미사변 이후, 반일 감정이 생긴 고종은 친일파들이 장악한 경복궁을 떠나 조선과 친했던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고, 일본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대신 러시아의 영향력이 한층 강화됐다.

1896년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참석을 명목으로 민영환 등이 러시아를 찾아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몇 가지 요구를 전달했다. 요구 내용은 국왕 호위 지원, 군사교관 지원, 궁내부 및 광산·철도 고문 파견, 조러 통신 가설, 차관 도입 등이었다. 러시아는 고문관 파견은 수용했으나 통신과 차관은 "생각해 보겠다"는 임장 정도만을 밝혔으며 나머지는 거절했다.

러시아와 일본이 한반도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러일전쟁 무렵에는 조선이 러시아와 은밀히 연합하여 항일전선을 펴기도 했다. 그 증거로 1904년 7월, 조선의 고종 황제는 두만강 일대의 항일의병들한테 "러시아 군인들을 향해 총을 쏘지 말라", "말먹이나 양식을 제공해 주거나 길을 알려주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려 러시아군에게 협조하라고 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많은 조선인 의병들이 러시아군과 연합하여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며, 러시아군에 소속되어 일본군과 싸운 선견한국분견대 부대원들의 총 수는 17,323명에 달했다(1905년 10월 1일). 러시아군과 연합 작전을 계획했던 항일 의병부대들

식민사관에서는 한러관계는 조청관계와 유사하였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러관계는 조청관계처럼 무조건 복종만 하지 않았다. 한러은행의 폐지를 예로 들 수 있다.

2.6. 러일전쟁 이후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일본에게 완패한 뒤, 러시아는 조선에게서 영향력을 거의 전부 상실했다. 더이상 조선은 러시아에 기댈 수 없게 됐고, 조선 내에서는 친러파가 몰락의 길을 걷고 친일파가 다시 권력을 잡았다.

3. 관련 사건

4. 같이보기



[1] 이 사건의 경우 러시아 제국이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한 것을 구실로 점령시도를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