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8:21:23

젠트(젤다의 전설 시리즈)

참왕 젠트에서 넘어옴
젠트
ザント
Zant

파일:external/zeldawiki.org/20131004000123%21Zant.png
명칭 참왕(僭王)[1]
성별 남성
출신 황혼의 세계
종족 트윌리
성우 키타지마 준지[2], 타마키 마사시[3]
1. 개요2. 작중 행적3. 공략
3.1. 1차전3.2. 2차전3.3. 3차전3.4. 4차전3.5. 5차전3.6. 6차전
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지금이야말로 우리 일족이... 그림자가 빛을 능가하는 세계로 만들 때다!
- 미드나에게 자신의 편을 들라고 설득하며 한 대사.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의 등장인물이자 중간보스 악역.

스스로를 그림자의 세계의 왕이라고 칭한다. 실제로 다른 트윌리 일족과는 달리 그림자 속에 숨을 필요 없이 빛의 세계와 그림자 세계를 왕래할 수 있었고, 두 세계를 잇는 통로를 장악하고 있었다. 빛의 세계의 용사 링크와 손을 잡은 미드나를 왕을 거역한 반역자라 간주하지만, 실상은 젠트 본인이야말로 사악한 마력을 이용해 억지로 왕위를 찬탈한 위선자에 반역자에 불과하다.

2.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젠트(젤다의 전설 시리즈)/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공략

마지막인 6차전을 제외하면 모두 이전의 보스 혹은 중간보스전 때와 같은 공간에서 비슷한 방식의 전투를 하게 된다. 일정 대미지를 입을 때마다 젠트가 전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바꾸고, 패턴도 그 공간에 맞게 바꾸는 식. 그래서 지속적으로 공략 방식도 바뀌는데다, 순간이동을 남발해대기 때문에 처음 상대하는 입장에선 파악하기가 버거울 수도 있다. 하지만 대미지 자체는 다른 황혼의 공주 보스들처럼 꽤나 낮은 편이라 여유는 많은 편이고, 일단 패턴 파악만 된다면 상대하기 별로 어렵지 않다.

3.1. 1차전

파일:젠트 1차전.png

1차전 장소는 숲의 신전 보스 스테이지. 하늘에서 텔레포트를 해가며 공격한다. 이때 질풍의 부메랑을 날리면 비틀거리다 독늪으로 떨어지며, 땅으로 튀어나와 기절하는데 이때 공격이 가능하다.

팁이 있다면 젠트가 공격하기전에 부메랑을 날리면 젠트의 공격이 켄슬되고 바로 공격이 가능하다.

3.2. 2차전

파일:젠트 2차전.png

2차전 장소는 고론의 광산 중간보스 스테이지. 아이언 부츠를 신고 자철석 원판 위에서 이동해야 한다. 위치를 계속 바꾸고 괴성을 지르며 원판을 뒤흔들어댄다. Z주목으로 방패를 이용해 마법들을 막아내며 접근한 다음 젠트가 지치면 부츠를 벗고 재빨리 다가가 베어야 한다. 컨트롤에 자신있다면 부츠를 굳이 신지 않고도 공략이 가능하다. 원판을 흔드는 것이 생각만큼 격렬하지 않기 때문.

3.3. 3차전

파일:젠트 3차전.png

3차전 장소는 물의 신전 보스 스테이지. 이때는 빨리 조라의 옷으로 갈아입고 아이언 부츠를 신어야 한다. 자신의 투구 모양의 방이 처음엔 한개, 한번 때리면 5개가 솟아오르며 그 중 하나에 젠트가 숨어있다. 갈고리 샷으로 끌어낸 후 검으로 베면 된다.

3.4. 4차전

파일:젠트 4차전.png

4차전 장소는 숲의 신전 중간보스 스테이지. 기둥 위를 뛰어다니며 공격한다. 젠트가 올라간 기둥에 A 버튼 구르기로 박치기를 해 젠트를 떨어뜨린뒤[4] 검으로 베면 된다.

3.5. 5차전

파일:젠트 5차전.png

5차전 장소는 스노우피크의 폐허 보스전 스테이지. 젠트가 거대화해서 마구 뛰어다니는데 아이언 해머로 발을 한대 치면 발을 움켜잡고 깽깽이로 뛰며 비명을 지르며 작아지는데, 이때 공격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젠트가 작아지고 계속 날뛰는데 생각보다 공격이 빗나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자.

3.6. 6차전

파일:젠트 6차전.png

마지막 페이즈. 가논돌프의 결계에 둘러싸인 하이랄 성 외곽으로 공간을 바꾼 후 쌍검을 들고 정면승부를 한다. 하이랄 성으로 오게된 것은 공간 이동에 실패한 것인지, 사방을 둘러보며 당황한 듯한 시퀸스를 하다가 이판사판으로 칼을 들고 싸우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파일:한발한발.gif
  • 한발한발 걸으며 칼로 베는 패턴. 타이밍 맞춰 후면베기를 하면 된다.

파일:빙글빙글.gif
  • 빙글빙글 돌며 칼로 베는 패턴. 근접했을 때 회전베기를 사용해 역회전을 걸어서 즉시 무력화 시키거나 방패로 막으며 벽에 부딪치지 않게 스텝을 밟다가 젠트가 지치면 공격하면 된다.

파일:돌진!.gif
  • 칼을 마구잡이로 베면서 걸음마하는 것처럼(...) 돌진하는 패턴. 타이밍에 맞춰 베면 된다.

계속해서 점멸하면서 공격하기 때문에 황혼의 공주에서 가장 정신없고 어려운 전투. 난적 터틀너트, 최종보스인 가논돌프보다도 상대하기 어렵다. 공격을 방패로 막을 수 있고 반대로 젠트쪽은 칼을 휘두르는 방향 외에는 무방비이기 때문에 전투 초반에는 할만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회전베기를 많이 쓰고 점멸도 자주하면서 공격도 거세지기 때문에 처음 젠트와 맞붙는 플레이어는 대처하기도 전에 바로 뒤에서 튀어나온 젠트에게 두들겨맞는다. 공격이 오는 방향을 종잡을 수 없는 데다가 점점 후면베기의 타이밍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석으로 몰려 결계에 부딪혀 데미지를 받는 것도 짜증나는 요소. 다행히 회전베기 이후 스스로 지칠 때는 완전 무방비인건 전투 초반이나 후반이나 마찬가지에, 맷집도 그리 좋진 않아서 맞아가며 싸워도 쉽게 잡힌다.

방패를 사용하지 않고, 생명의 그릇을 획득하지 않는 하드코어 플레이를 하고 있다면 지옥에 가까운 보스전이 될 수 있다. 상술했듯 계속해서 점멸하는데다, 벽에 닿아도 데미지를 입는데 보스전 공간이 좁은 편이기 때문에 데미지를 입지 않고 쓰러트리는 게 매우 어렵기 때문. 특히 이전까지의 '이제 때릴게요' 하듯 공격이 느릿하고 '지금 때리세요' 스러운 각을 노골적으로 내어주던 다른 보스들과 달리,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위치가 링크의 바로 옆일 때가 많은데다 나타남과 동시에 공격을 시작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회피기동하지 않으면 십중팔구 한 번 이상 맞게 된다. 다행스럽게도 회전베기가 끝나면 지쳐서 플레이어가 공격할 각을 내어주지만, 이마저도 빨리 공격하지 않으면 다시 점멸하며 빠져나간다. 방패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후면베기를 노리기 어려워지는 것은 덤. 다만 맷집이 약하다는 점은 여전하기 때문에 회전베기를 연속으로 사용하는 꼼수 테크닉을 구사하면 단칼에 순삭시킬 수 있다. 물론 해당 테크닉을 쓰지 못하거나 일부러 배제한다면 플레이어쪽도 맷집이 약한 게 동등한 입장이 되므로 상당한 난적이 될 것이다.

4. 기타

파일:젠트 입.png
투구의 입 부분을 벗은 모습
파일:external/zeldawiki.org/Zant_Unmasked.jpg
투구를 벗은 모습

젠트도 원래는 평범한 그림자 세계의 주민이어서 그런지 다른 주민들과 얼굴이 똑같이 생겼다. 그래서인지 투구를 쓰고 있는 외모는 꽤 포스가 넘치는 데 비해 맨얼굴을 보면 분위기가 좀 깬다.

하지만 그보다 더 심한 문제는 행동거지로 인한 이미지의 역변. 초중반에는 하이랄 성 함락에 앞장서고, 링크와 빛의 정령을 단번에 제압하고, 미드나를 죽음 직전의 상태로 몰아넣는 등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작품 최후반 어둠의 궁전에서 만나 싸울 때는 시끄럽게 꽥꽥 소리지르고 필요 이상으로 과도한 동작을 취하며 광대같은 엽기 캐릭터로 변해 있어 괴리감이 심하다. 실상을 들여다 보니 왕이 될 상이 전혀 아니었다는 '참왕'의 의미를 제대로 부각시켜 주는 셈. 그냥 과대망상에 취한 정신병자에 불과한데 가논이 이를 이용해 먹은 것이다.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 하이네스가 등장함으로써 둘이 서로 엮이고 있다. 둘 다 최종 보스를 따르는 참칭하는 부하들이자 암흑의 신관에 목소리도 비슷하고 무엇보다 근엄한 첫인상과는 달리 큰 눈에 특이한 맨얼굴과 개그 캐릭터인 것까지 완전히 판박이다. 보편적인 개그요소라기보단 광기서린 기괴한 행동이 주요 포인트인지라 호불호가 갈리는 캐릭터성인 것도 동일. 차이점은 하이네스는 엔드 닐의 부활에 성공을 해서 목적을 이루었지만, 젠트는 그냥 당했고, 끝까지 살아남아서 나름대로 좋은 결말을 맞이한 하이네스와 달리 젠트는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선 영걸들의 노래 DLC의 컨텐츠 중 하나로 "젠트의 투구"가 추가되었다. 착용 시 특수 효과는 '동결 무효'로, 따로 강화하고 세트로 맞춰입어야 같은 효력이 생기는 리토의 방한구와 달리 그냥 이 투구 하나만 착용해도 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추가로 방어력을 강화할 수 없고 기후에 의한 추위는 막지 못한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도 다른 젤다의 악역들과 함께 스피릿으로 등장한다.

5.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tablebgcolor=#362c2b> 파일:Royal_Crest_TP.png 젤다의 전설
등장인물
}}}
[ 펼치기 · 접기 ]
주역

링크( 소년 링크 · 툰링크 · 울프/ 황공 · 스소 · 야숨 · 무쌍)
젤다( 시크 · 테트라 · 툰젤다 · 스소 · 야숨 · 무쌍)
가논돌프( 야숨 · 왕눈)
단골

임파 · 꼬꼬 · 하이랄 왕 · 데크나무 · 에포나
마론 · 단페이 · 행복의 가면 상인 · 팅글 · 테리
조력자

나비 · 채트 · 붉은 사자 왕 · 에제로
미드나 · 시에라 · 파이
대표 악역

다크 링크 · 악몽의 그림자 · 무쥬라의 가면
구후 · 베라무 · 말라더스
봉인된 괴물 · 시스터 레이디
악역

아그님 · 트윈노파 · 스탈키드
고르곤 · 베란 · 젠트 · 콜 총리 · 바이런
기라힘 · 유가 · 코가님
기타

마린
사리아 · 루토 · 다르니아 · 나볼
아릴 · 메들리
일리아 · 호나 · 라인백 · 버든 · 하일리아
라비오 · 힐다
수수께끼의 노인 · 미파 · 리발 · 다르케르 · 우르보사 · 시드 · 테바 · 윤돌 · 마키·아·루쥬 · 카시와
튤리 · 라울 · 소니아 · 미넬
외전

링클 · 시아 · 라나 · 발가 · 위즈로 · 아스톨
메인 시리즈 일람



[1] 뜻을 풀이하면 ' 분수에 맞지 않게 왕을 자칭하는 자' 정도가 된다. 많이 쓰이는 한자가 아니라 '참된 왕' 같은 순우리말로 오해하기 쉽지만 그와 정반대의 뜻이다. 옥좌를 찬탈하고, 자격이 없음에도 자신이 진정한 왕인 것처럼 굴었기 때문에 붙은 칭호. 영문판에서도 찬탈자를 뜻하는 Usurper로 번역되었다. [2] 北島淳司. 황혼의 공주에서의 담당 성우다. 나중에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에서 수다쟁이 꽃의 성우로 나온다. [3] 젤다무쌍에서의 담당 성우다. [4] 머리를 땅으로 향하고 떨어지는데, 투구가 땅바닥에 박혀서 자력으로 빠져나오기 힘들어 버둥거리는 개그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