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4-04 23:56:29

정성일(피겨 스케이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대한빙상경기연맹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0회(1996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955 1955 화천 이명
1956 1956 연천 이해정 1957 1957 서울 오경학
1958 1958 철원 오경학 1959 1959 연천 양두식
15회 1960 서울 양두식 16회 1961 서울 지절언
18회 1963 서울 지절언 19회 1964 서울 고영흠
1965 1965 서울 고영흠 22회 1967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23회 1968 서울 이광영 24회 1969 서울 이광영
26회 1971 서울 김훈 27회 1972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28회 1974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29회 1975 서울 한수봉
30회 1976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1회 1977 서울 한수봉
32회 1978 서울 한수봉 33회 1979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4회 1979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5회 1981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6회 1982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7회 1983 서울 조재영
38회 1983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0회 1986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1회 1987 서울 정성일 42회 1988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3회 1989 서울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4회 1990 서울 정성일
46회 1992 서울 정성일 48회 1994 서울 정성일
49회 1995 서울 정성일 50회 1996 서울 이규현 }}}}}}}}}
51회(1997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1997 서울 이규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1998 서울 이규현
53회 1999 서울 이규현 54회 2000 서울 이규현
55회 2001 서울 이규현 56회 2002 서울 이규현
57회 2003 서울 이규현 58회 2004 서울 이동훈
59회 2005 서울 이동훈 60회 2006 서울 이동훈
61회 2007 서울 이동훈 62회 2008 고양 이동훈
63회 2009 고양 김민석 64회 2010 서울 김민석
65회 2011 서울 이동원 66회 2012 서울 김진서
67회 2013 서울 이준형 68회 2014 고양 김진서
69회 2015 서울 이준형 70회 2016 서울 이준형
71회 2017 강릉 차준환 72회 2018 서울 차준환
73회 2019 서울 차준환 74회 2020 의정부 차준환
75회 2021 의정부 차준환 76회 2022 의정부 차준환
77회 2023 의정부 차준환 78회 2024 의정부 차준환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colbgcolor=#4c5e74><colcolor=#ffffff> 정성일
鄭星佚 | Jung Sungil
파일:피겨 정성일.jpg
출생 1969년 10월 21일 ([age(1969-10-21)]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숭신국민학교[1]
덕수중학교
반포고등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신체 173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은퇴 1996년
서훈 대한민국 체육훈장 기린장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커리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한국 남자 싱글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구사하였다.

2. 선수 경력

처음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1977년 숭신국민학교 2학년 때, 부친이 크리스마스 선물로 스케이트를 사준 것이 인연이 됐다. 부친은 당시 혼자 스케이팅을 익혀 동대문 실내 링크에서 코치생활을 하던 국내 피겨의 개척자였다고 한다.

1985년 처음 태극마크를 달고 사라예보에서 열린 1986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종합 8위를 차지하며 기대주로 떠올랐다. 1988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2], 1990 세계선수권에서는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15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1991 삿포로 동계유니버시아드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한국 피겨 스케이팅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으로 처음 국제대회에 참가한 이래 23년 만에 첫 메달을 얻는 값진 수확을 올렸다. 이어 1991 세계선수권에서는 작년보다 한 단계 높은 14위에 올랐고, 이는 무려 30년 동안 한국 남자 싱글 세계선수권 최고 순위로 기록되어 있었다.[3]

1992 NHK 트로피에서 트리플 악셀을 2번 성공하는 큰 역사를 세웠으나, 당시는 NHK 트로피가 ISU 대회, 즉 공인 대회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올림픽에는 3번 출전하여 모두 프리 스케이팅에 진출했다.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22위,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21위,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17위에 올랐다.[4]

3. 은퇴 이후

1996년에 은퇴한 후에는 코치를 하다가, 2003년부터 2010년까지 Disney on Ice의 "100 Years of Magic" 쇼와 함께 투어를 했다. 2010년 한국으로 돌아와 다시 코치로 일했다.

4. 커리어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1991 삿포로 남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83–84 84–85 85–86 86–87 87–88 88–89 89–90 90–91 91–92 92–93 93–94 94–95
올림픽 22nd 21st 17th
세계선수권 22nd 15th 14th 20th 20th
스케이트 아메리카 10th
NHK 트로피 4th 5th 9th 4th 9th 7th
유니버시아드 2n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15th 8th 18th 6th
국내대회
종합선수권 1st 1st 1st 1st 1st

[1] 現 숭신초등학교 [2] 이후 차준환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3] 이후로는 2014 세계선수권에서의 김진서가 이에 근접한 16위를 기록했고, 이후 차준환 2021 세계선수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마침내 기록을 경신했다. [4] 이 성적은 김연아 곽민정이 출전한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전까지 16년간 한국 피겨 선수가 세운 올림픽 최고 성적이었다. 남자 싱글에서는 24년간 최고 성적으로 기록되다가 이후 차준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15위로 기록을 경신했고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5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