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5:17:32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e4a3f><tablebgcolor=#5e4a3f> ☕ 커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커피 종류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ddd,#383b40> 블랙 커피 에스프레소 ( 리스트레토 · 룽고) · 아메리카노 · 드립 · 콜드 브루 · 튀르크 커피 아이스 커피
질소 커피
베리​에이션
커피
우유를 넣은 커피 ( 스팀 밀크 · 카페라떼 · 카페오레 · 카페모카 · 카푸치노 · 코르타도 · 마키아토 · 플랫 화이트 · 카페 콘 레체)
콘 판나 · 아인슈페너 · 아포가토 · 샤케라토 · 로마노 · 방탄커피 · 달고나 커피 · 프라페
커피주 깔루아( B-52 · 깔루아 밀크 · 벨벳 해머 · 블랙 러시안 · 에스프레소 마티니 · 퀵퍽 · 푸스 카페 레인보우 · 화이트 러시안) · 아이리시 커피 · 카페 로열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추출 방식
및 기구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메이커 · 전자동 머신 · 반자동 머신 · 캡슐 · 파드 · 레버· 휴대용) · 드립 커피( 드리퍼, 드립 커피 메이커) · 콜드 브루 · 프렌치 프레스( 클로버) · 모카포트 · 달임식 · 에어로프레스
인스​턴트 커피​믹스 자판기 커피 · 맥심 · 카누 · 칸타타 · 스타벅스 비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캔​커피 T.O.P · 칸타타 · 레쓰비 · 스타벅스 · 조지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기타 문서 카페 · 루왁커피 · 바리스타 · 크레마 · 모카 · 대용 커피 · 커피 젤리 · 카페인 · 디카페인 · 커피스틱 · 커피 체인점 · 카공족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유명 체인점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한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이디야커피 심볼.svg 파일:카페베네 엠블럼.svg 파일:할리스커피 심볼.svg 파일:탐앤탐스 심볼.svg 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파일:엔제리너스 커피 엠블럼.svg 파일:폴 바셋 로고.svg 파일:빽다방 로고.svg 파일:카페 드롭탑 아이콘.svg 파일:카페 띠아모 로고.svg
파일:요거프레소 심볼.svg
외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스타벅스 로고.svg 파일:일리카페 로고.svg 파일:파스쿠찌 엠블럼.svg 파일:블루보틀 로고.svg 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파일:팀 호턴스 로고.svg
}}} }}} }}} }}}

1. 개요2. 가격대3. 장점4. 단점5. 유명 브랜드


파일: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jpg

1. 개요

Superautomatic Espresso Machine

카운터탑 전자동 에스프레소 메이커. 내부에 커피 그라인더, 물통, 우유통, 보일러, 그룹헤드를 탑재하고 있어 재료만 넣으면 완전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해준다. 기본적으로 에스프레소 및 아메리카노를 만들 수 있으며, 스팀밀크나 카푸치노용 우유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장치가 달린 것도 있고 가정용은 이 수준까지가 보통이다. 업소용의 경우 기계 자체나 별도로 우유통이 있어서 그곳에 우유를 넣으면 카페라떼, 카푸치노까지 전자동으로 추출이 되는 모델들도 있다. 보통 커피에 대한 수요는 존재하지만 커피를 전문적으로 취급하지는 않는 패밀리 레스토랑, 호텔, 샐러드바, 편의점, 무인 커피숍에서 사용한다.

2. 가격대

반자동 머신에 비해 전자동 머신의 가격대는 높지 않다. 전문 바리스타용으로는 수요가 거의 없고, 대형 사무실이나 편의점, 호텔 등 직장인이 많은 장소에서 자판기 커피 인스턴트 커피 대용으로 구매하기 때문이다.
  • 2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 가정용 보급형 제품들이 속해있다. 맥널티, 플랜잇, 위즈웰 등 국내 기업은 물론, 필립스, 드롱기, 테팔, 브레빌 등 유명한 가전기기 대기업들이 생산한다. 밀크스티머와 원두 그라인더는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50만원이 넘는 고가형 라인업은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다양한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고, 아메리카노와 에스프레소, 카페라떼 정도가 일반적이다.
  • 100만원 이상: 업소용 소형 제품이 주로 속해 있다. 보통 자판기처럼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3. 장점

  • 기기 구매 및 유지 비용만 지불하면 바리스타 고용 인건비 없이 커피를 반자동 방식보다 더 빨리 제작한다.
  •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관리가 가능하다.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항상 일관된 맛을 유지하는데 장점이 있다. 스타벅스에서는 아예 바리스타 교육을 줄이고 균일한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 마스트레나라는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한다. 또한 스타벅스 오비소 머신 이라는 형태의 전자동 머신 또한 국내 스타벅스 리저브 일부 매장에서 운영중에 있다. 스타벅스의 창업주인 하워드 슐츠는 이에 대해 스타벅스의 커피 경험을 저하시킨다며 반대를 표하기도 했다.
  • 커피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에게 압도적으로 편하다. 버튼만 누르면 원두 분쇄부터 추출까지 전부 자동으로 해준다. 사용자가 커피에 무지하다면 반자동 머신보단 캡슐커피나 전자동 머신이 더 우수한 커피를 만든다. 반자동 머신이나 수동 메이커는 사용자가 올바른 커피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만 맛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어느정도 맛을 희생하는 대신 언제든지 버튼 한 번으로 괜찮은 커피를 만들어낸다는 것에 대한 수요는 커피믹스 캡슐 커피와 어느정도 겹치지만, 시중에 파는 커피 원두를 그대로 사용하다 보니 원두 선택의 폭 면에선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 에스프레소가 아닌 라떼 메뉴를 더 주력으로 마신다면, 저가 머신으로도 고효율을 낼 수 있다. 저렴한 블렌드 좀 채워두고 스위치 하나 누르고 커피 뽑아서 우유 말아먹으면 그래도 캡슐 커피보단 싸고 맛있고 편하니까.
  • 일정 수준 이상의 맛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어지간한 바리스타보다 괜찮은 맛을 구현하는 제품도 생기고 있다고 한다. https://bwissue.com/B_Think/2342771

4. 단점

  • 저가 제품의 경우 아메리카노 정도는 쉽게 만들지만, 우유를 넣은 커피 종류는 밀크 스티머를 직접 다룰줄 알아야 한다.
  • 구매비도 높고 전기세, 청소비, 유지보수비용도 많이 든다. 가정용으로 기기만 싸게 구매하더라도 이런 지속적인 지출을 생각하면 저가 카페가 더 나을수도 있다.
  • 청소가 까다롭다. 집에서 관리하기 어려우며 전문가에게 내부 청소를 정기적으로 받지 않으면 안에 커피 찌꺼기가 썩어 곰팡이가 쉽게 핀다. 특히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편의점과 사무실용 전자동 머신은 커피 자판기처럼 관리가 부실한 편이다. 특히 우유를 담을 수 있는 기기는 더더욱 철저한 관리를 요구한다.

5. 유명 브랜드

  • 유라 Jura 스위스의 커피머신 전문 회사이다
  • 필립스 Philips 네덜란드 가전기기 회사다.
  • 드롱기 De'longhi 이탈리아의 유명 주방 가전 회사다.
  • 테팔 Tefal 프랑스 가전기기 회사다.
  • 브레빌 Breville 호주의 유명 에스프레소 메이커 회사다.
  • 밀리타 Melitta 독일의 유명 커피 메이커 회사다.
  • 제니퍼룸 Jenniferoom 한국 회사다.
  • 맥널티 Mcnulty 한국 회사다.
  • 플랜잇 Planit 한국 회사다.
  • 위즈웰 wiswell 한국 회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