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3:44:58

장어병음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1. 개요2. 표기법
2.1. 성모2.2. 운모2.3. 성조

1. 개요

중국어: 少数民族语地名汉语拼音字母音译转写法-藏语,藏语拼音
영어: Tibetan Pinyin

중화인민공화국에서 1976년에 소수민족 ( 중국/민족) 언어들에서 비롯된 인명 지명 한어병음 자모로 표기하려 제정한 ' 소수민족어지명 한어병음자모 음역전사법'의 일종이며, 실제 라싸 티베트어 발음을 나타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어병음 자모를 이용해 티베트어를 표기하는 로마자 표기법( 병음)이다. 현재 티베트 자치구 내 지명 대부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공식적으로 장어병음을 따라 표기한다.

2. 표기법

2.1. 성모

티베트 문자 IPA[1] 장어병음 와일리 표기법 (영문 위키백과)
ཀ་ \[k\] g k, rk, lk, sk, kw, dk, bk, brk, bsk,
rg, lg, sg, dg, bg, brg, bsg, lg, mg, 'g
ཀ་ ཁ་ \[kʰ\] k kh, khw, mkh, 'kh,
g, gw
ང་ \[ŋ\] ng rng, lng, sng, dng, brng, bsng, mng,
ng
ཅ་ \[tɕ\] j c, cw, gc, bc, lc, py, lpy, spy, dpy,
rby, lby, sby, rj, gj, brj, dby,
lj, mj, 'j, 'by
ཆ་ ཇ་ \[tɕʰ\] q ch, mch, 'ch, phy, 'phy,
j, by
ཉ་ \[ɲ\] ny rny, sny, gny, brny, bsny, mny, nyw, rmy, smy,
ny, my
ཏ་ \[t\] d t, rt, lt, st, tw, gt, bt, brt, blt, bst, bld,
lth, rd, sd, gd, bd, brd, bsd,
]zl, bzl, ld, md, 'd
ཐ་ ད་ \[tʰ\] t th, mth, 'th,
d, dw
ན་ \[n\] n rn, sn, gn, brn, bsn, mn,
n
པ་ \[p\] b p, sp, dp, lp,
rb, sb, sbr,
lb, 'b
ཕ་ བ་ \[pʰ\] p ph, 'ph,
b,
མ་ \[m\] m rm, sm, dm, smr,
m, mr
ཙ་ \[ts\] z ts, rts, sts, rtsw, stsw, gts, bts, brts, bsts,
rdz, gdz, brdz,
mdz, 'dz
ཚ་ ཛ་ \[tsʰ\] c tsh, tshw, mtsh, 'tsh,
dz
ཝ་ \[w\] w w, db, b
ཞ་ ཤ་ \[ɕ\] x sh, shw, gsh, bsh,
zh, zhw, gzh, bzh
ཟ་ ས་ \[s\] s s, sr, sw, gs, bs, bsr,
z, zw, gz, bz
ཡ་ \[j\] y g.y, y
ར་ \[r\] r r, rw
ལ་ \[l\] l kl, gl, bl, rl, sl, brl, bsl,
l, lw
ཧ་ \[h\] h h, hw
ཀྱ་ \[c\] gy ky, rky, lky, sky, dky, bky, brky, bsky,
rgy, lgy, sgy, dgy, bgy, brgy, bsgy,
mgy, 'gy
ཁྱ་ གྱ་ \[cʰ\] ky khy, mkhy, 'khy,
gy
ཀྲ་ \[tʂ\] zh kr, rkr, lkr, skr, tr, pr, lpr, spr, dkr, dpr, bkr, bskr, bsr,
rgr, lgr, sgr, dgr, dbr, bsgr, rbr, lbr, sbr,
mgr, 'gr, 'dr, 'br
ཁྲ་ གྲ་ \[tʂʰ\] ch khr, thr, phr, mkhr, 'khr, 'phr,
gr, dr, br, grw
ཧྲ་ \[ʂ\] sh hr
ལྷ་ \[ɬ\] lh lh
와일리식 로마자 전자법에서 '로 표기하는 ()는 장어병음에서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2.2. 운모

티베트 문자[2] IPA 장어병음 와일리 표기법
ཨ། \[a\] a a
ཨའུ། \[au\] au a'u
ཨག།, ཨགས། \[aˀ\] ag ag, ags
ཨང།, ཨངས། \[aŋ\] ang ang, angs
ཨབ།, ཨབས། \[ap\] ab ab, abs
ཨམ།, ཨམས། \[am\] am am, ams
ཨར། \[ar\] ar ar
ཨལ།, ཨའི། \[ɛ\] ai 또는 ä al, ai
ཨད།, ཨས། \[ɛˀ\] ai 또는 ä ad, as
ཨན། \[ɛ̃\] ain 또는 än an
ཨི།, ཨིལ།, ཨིའི། \[i\] i i, il, i'i
ཨིའུ། \[iu\] iu i'u
ཨིག།, ཨིགས། \[iˀ\] ig ig, igs
ཨིད།, ཨིས། \[iˀ]\ i id, is
ཨིང།, ཨིངས། \[iŋ\] ing ing, ings
ཨིབ།, ཨིབས། \[ip\] ib ib, ibs
ཨིམ།, ཨིམས། \[im\] im im, ims
ཨིར། \[ir\] ir ir
ཨིན། \[ĩ\] in in
ཨུ། \[u\] u u
ཨུག།, ཨུགས། \[uˀ\] ug ug, ugs
ཨུང།, ཨུངས། \[uŋ\] ung ung, ungs
ཨུབ།, ཨུབས། \[up\] ub ub, ubs
ཨུམ།, ཨུམས། \[um\] um um, ums
ཨུར། \[ur\] ur ur
ཨུལ།, ཨུའི། \[y\] ü ul, ui
ཨུད།, ཨུས། \[yˀ\] ü ud, us
ཨུན། \[ỹ\] ün un
ཨེ།, ཨེལ།, ཨེའི། \[e\] ê e, el, e'i
ཨེག།, ཨེགས། \[eˀ\] êg eg, egs
ཨེད།, ཨེས། \[eˀ\] ê ed, es
ཨེང།, ཨེངས། \[eŋ\] êng eng, engs
ཨེབ།, ཨེབས། \[ep\] êb eb, ebs
ཨེམ།, ཨེམས། \[em\] êm em, ems
ཨེར། \[er\] êr er
ཨེན། \[ĩ\] ên en
ཨོ། \[o\] o o
ཨོག།, ཨོགས། \[oˀ\] og og, ogs
ཨོང།, ཨོངས། \[oŋ\] ong ong, ongs
ཨོབ།, ཨོབས། \[op\] ob ob, obs
ཨོམ།, ཨོམས། \[om\] om om, oms
ཨོར། \[or\] or or
ཨོལ།, ཨོའི། \[ø\] oi 또는 ö ol, oi
ཨོད།, ཨོས། [øˀ] oi 또는 ö od, os
ཨོན། [ø̃] oin 또는 ön on

2.3. 성조

티베트어는 라싸 방언을 기준으로 고성조와 2성조가 있으나 장어병음에서는 성조를 표기하지 않는다.


[1] 원문에선 어포스트로피로 표시한 유기음 표기를 제외하면 장어병음 원문의 표기를 따름. [2] 여기선 ཨ(a)에 모음부호를 덧붙인 형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