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헵번식 - 포르투갈식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한어병음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홍콩 정부식 - 마카오 정부식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UN식 | |
아르메니아어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 |
조지아어 |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 |
그리스어 |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 |
히브리어 |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 |
힌디어 | IAST - 헌터식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왕립학회식 | |
벨라루스어 | BGN/PCGN -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 |
러시아어 | BGN/PCGN - GOST 7.79-2000 - ISO 9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 |
Wylie transliteration.
1. 개요
티베트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미국의 티베트학자 터렐 와일리(Turrell V. Wylie)에 의해 만들어졌다.티베트어의 경우 고대에 확립된 표기법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 표기와 구어 발음의 차이가 심한데, 와일리 표기법은 구어 발음을 재구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티베트 문자와 로마자를 1대 1로 대응시킨 것이 특징으로, 티베트 문자로의 전환이 쉽기 때문에 특히 학술적인 목적으로 많이 쓰인다. 다만 반대급부로 사전지식이 없는 사람이 읽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 표기법
자음[1]
|
|||
ཀ་ [ka]
|
ཁ་ [kha]
|
ག་ [ga]
|
ང་ [nga]
|
ཅ་ [ca]
|
ཆ་ [cha]
|
ད་ [ja]
|
ན་ [nya]
|
ཏ་ [ta]
|
ཐ་ [tha]
|
ལ་ [da]
|
ལ་ [na]
|
པ་ [pa]
|
ཕ་ [pha]
|
བ་ [ba]
|
མ་ [ma]
|
ཙ་ [tsa]
|
ཚ་ [tsha]
|
ཛ་ [dza]
|
ཝ་ [wa]
|
ཞ་ [zha]
|
ཟ་ [za]
|
འ་ [la]
|
ཡ་ [ya]
|
ར་ [ra]
|
ལ་ [la]
|
ཤ་ [sha]
|
ས་ [sa]
|
ཧ་ [ha]
|
ཨ་ [a]
|
모음
|
||
문자명 | 문자 | 표기법 |
아
|
ཨ་
|
a
|
기구
|
ཨི་ ི
|
i
|
샵뀨
|
ཨུ་ ུ
|
u
|
뎅부
|
ཨེ་ ེ
|
e
|
나로
|
ཨོ་ ོ
|
o
|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 문자와 1대 1로 대응되며, 똑같이 g+y 조합인 གྱ와 གཡ를 구분하기 위해 전자는 gya, 후자는 g.ya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