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9:38:18

자유형(수영)

수영 영법
자유형* 접영* 평영* 배영*
잠영 입영 횡영 개헤엄
* 올림픽 정식 종목

파일:수영 픽토그램.svg 올림픽 수영의 세부 종목
경영 기타
자유형 평영 배영 파일:다이빙 픽토그램.svg 다이빙
접영 혼영 계영 파일:아티스틱 스위밍 픽토그램.svg 아티스틱 스위밍
마라톤 수영 파일:수구 픽토그램.svg 수구


1. 개요2. 명칭3. 경기 종목4. 크롤 영법
4.1. 원리4.2. 실제4.3. 자주 하는 실수
5. 기타6.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파일:자유형 움짤.gif
크롤 영법
자유형()[1] 수영의 경기 종목인 ‘자유형 경기(프리스타일 스위밍, Freestyle swimming)’를 가리키거나, 또는 해당 종목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크롤 영법(Crawl stroke)’을 관용적으로 이르는 어휘이다.

2. 명칭

다른 영법이 ‘-영’으로 끝나는 것과 달리, 자유형은 종목명에서 영법 이름이 파생된 것이라 ‘ 헤엄칠 영(泳)’자를 써서 ‘자유영’이라고 부르는 것은 엄밀히 말해 부적절하다. 다만, 사전에는 ‘자유영’ 역시 중복으로 등록되어 있어, 둘 다 표준어이기는 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3. 경기 종목

자유형(freestyle swimming)이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선수가 선호하는 영법으로 자유롭게 헤엄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여러 영법 가운데 가장 빠른 자세가 엎드려서 헤엄치는 크롤이므로 아마추어와 프로를 가리지 않고 자유형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모두 크롤 영법으로 경기에 임한다. 이 때문에 자유형에서 크롤 영법이 사실상 표준이 되어, 자연스럽게 자유형이라는 이름이 크롤 영법을 가리키는 것이 된 것이다.

사실 짧은 거리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진 영법은 잠영이지만, 공기통 없이 잠영이 가능한 거리는 한정되며, 수영으로서의 잠영 종목은 폐지되었다. 오늘날 잠영은 스노클링 수영과 더불어 수'영'이 아닌 수'중' 종목에 속해 있어서 아예 종목 자체가 이동되었다. 따라서 수영 대회가 아닌 수중 대회에서 한다.

수영의 황제로 불리던 마이클 펠프스가 2014년에 은퇴를 번복하면서 치른 복귀전에서 컨디션 점검차 50미터 자유형을 접영으로 수영한 적이 있다. 링크 물론 좋은 기록은 아니고 0.01초 차이로 꼴등을 면한 정도.

4. 크롤 영법

본래 유럽에서는 다른 문명권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평영으로 헤엄쳐 왔다. 대항해시대 이후 신대륙인 아메리카 호주 등으로 건너가 현지 원주민들의 빠른 헤엄을 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이 크롤의 시초다. 영법이 본격적으로 정립되어 유럽 사회에 퍼지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 이 크롤의 전파 이전까지는 배영마저 하늘을 향해 누워 헤엄치는 평영이었다. 요지는 좌우가 완전히 대칭으로 움직이는 평영과는 달리 좌우가 번갈아 움직이며 꾸준히 추진한다는 점.

4.1. 원리

크롤 영법은 발보다는 팔동작을 통해 대부분의 추진력을 얻으며, 보통 팔과 다리의 추진력 비율을 7:3정도로 본다. 킥력이 약한 일반인은 팔의 비중이 80% 이상이다. 수력이 오래 된 아주머니나 노인분들은 킥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편안하게 한 두 시간 뺑뺑이가 가능할 정도. 사실 발차기에서 추진력을 얻는다기보다는 무거운 다리를 들어올려주면서 저항을 줄여준다고 생각하는 편이 나을 정도로 발차기 하지 않고도 자유형을 할 수 있다. 상체는 폐 속 공기 때문에 부력으로 어느정도 뜨지만, 하체는 근육과 지방으로만 이뤄져 있어서 띄워주는게 중요하다. 선수가 아닌 이상 발차기로 추진력을 얻겠다고 무리하게 발차기를 하지 않아도 충분히 자유형을 잘 즐길 수 있다.

발은 요란하게 물장구를 치기보다는 다이버들이 수중에서 오리발을 움직이듯 다리 전체를 유연하게 움직이면서도, 발 동작의 상하폭을 작게 잡아 움직여야 한다. 무릎을 아예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굽히지 않고 거의 편 상태에서 채찍처럼 다리를 움직여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 무릎을 많이 구부려서 '니킥'을 먹이듯이 발을 차는데 몇 발짝 못 가서 꼬르륵 물에 빠진다. 강습시에 발레처럼 발 들기 동작이나, 축구에서 공차는 동작을 연상하라곤 일러주지만 역시 초보자에게는 쉽지 않다. 보통 발목을 움직이지 않으려고 힘을 준 상태에서 힘껏 차게 되는데, 이러면 물의 저항에 쥐가 날 수 있다. 발목이 물살에 밀려 자연스레 꺾이도록 내버려 둬야 한다. 발목이 뻣뻣하면 킥에 애로사항이 생긴다. 자유형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영법에서 발목 유연성이 매우 중요하다.

팔은 크게 뒤로 당겨 추진력을 얻는 동작(Pull)과 다시 앞으로 뻗으며 앞선 동작의 준비 자세로 돌아가는 동작(Recovery)로 나뉜다. 만화 등에선 종종 자유형이랍시고 팔을 마치 프로펠러 돌리듯이 빠른 속도로 마구 돌려서 나아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렇게 팔을 움직이면 물의 저항과 체력 소모만 커질 뿐 빨리 나아갈 수가 없다. 팔 역시 발 동작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완만하게 움직여야 한다. 선수들의 영법을 보면 매우 편안하고 빠르게 첨벙첨벙 가는 것 같지만, 물 밖에선 팔의 힘을 빼고 다시 물 속에서는 강하게 물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매우 빨리 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그 사이에 롤링을 통해 몸을 조금씩 비틀며 호흡도 동시에 해야 한다.

4.2. 실제

보통 수영 강습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영법이라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테크닉상으로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영법이다. 수영을 처음 배우게 되면 크롤 영법에서 고생하다가 배영이나 평영으로 넘어가자마자 숨통이 트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본인이 배영이나 평영에 강점이 있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크롤 영법이 더 어렵기 때문이다. 강습 한 달째에 앞으로 가는 건 말 그대로 나아가는 정도일 뿐이며, 크롤 영법의 최종진화형과는 거리가 있다. 다른 사람이 봤을 때 어느정도 있어보이게 하려면 2년 이상은 해야한다. 물론 빠른 경우도 가끔 있고 10년 이상 해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팔 꺾기를 할 줄 안다고 수영 잘하는 게 아니다. 수영 단거리 선수들은 팔을 쭉 펴고 하는 스트레이트암을 사용하니, 스트레이트암을 어느 정도 숙달하고 나서 팔 꺾기를 배우자.

또한 강습 4~6개월차 정도, 보통 접영을 배우는 시기에 자유형에서도 리커버리 동작인 일명 '팔 꺾기' 영법을 배우는데[2] 일명 '팔 꺾기'는 빨리 가는 것과 별 상관이 없다. 팔의 힘을 적게 사용하려고 나온 동작이다. 실제로 선수들도 50미터나 100미터 등 단거리 경기에선 절반정도 팔을 쭉 펴서 뻗는 스트레이트 암(straight arm) 영법[3]을 쓴다. 최근에는 동네 수영장 강습에서도 팔 꺾기를 그다지 엄격하게 강조하지 않고, 본인이 편한 각도를 찾으라는 방향으로 강습하는 경우가 많다.

초보자의 경우 처음 물 속에서 행해지는 팔 입수시에는 손바닥으로 수면을 텀벙텀벙 치거나 손을 구부리거나 손날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교본상으로는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쪽으로 40도 각도로 입수가 좋다곤 한다. 그러나 사람마다 나이, 성별, 체력, 체형이 다르고 어디까지나 자유형이기 때문에 어느 동작을 꼭 정해서 하기보다 수면에 손가락이 먼저 들어가는게 좋다고 기억하면 된다.

이후 Pull 동작은 손바닥을 최대한 편 상태에서 앞에서 뒤로 손가락이 물을 긁듯 움직여야 한다.[4] 이렇게 한번 추진력을 얻고 뒤로 간 팔은 Recovery 동작을 통해 수면 위로 올려져 다시 앞으로 보내진다. 이때 팔꿈치어깨의 동작이 매우 중요한데, 무조건 S자를 그려야 하는 건 아니다. 킥을 계속 차는 동시에 몸을 비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지 실제로는 1자 혹은 I-stroke를 사용한다. 무리하게 손을 비틀거나 해서 S자를 그리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가는데 방해가 된다.[5] 또한 스트로크를 빨리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정확히 하는 것이 속도는 물론이고 체력면에서 유리하다. 무리해서 빠르게 팔을 젓기만 하면 장거리 수영은 절대 불가능하다. 일단 이러면 빠르게 숨이 차고, 자세가 무뎌지고 체력 고갈이 온다. 같은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이 운동 효과가 뛰어나다.

동작 사이사이에 얼굴을 수면 밖으로 내밀면서 숨을 쉬어준다. 숨쉬는 횟수나 방향은 편한대로 하면 된다. 정해진 게 없다.[6] 단, 여기서 머리를 치켜들어서 숨을 쉬다 상체가 들리면 무게중심이 하체로 쏠리며 다리가 물 속으로 깊게 가라앉으면서 몸 역시 가라앉는다. 숨을 쉴때는 팔을 움직이는 쪽으로 고개만 옆으로 까딱 움직여서 빠르게 호흡법(일명 음~ 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장 이상적인 호흡은 머리를 어깨에 붙인다고 생각하고 수경의 눈알이 반만 나오게 하는 것이다. 숨을 많이 들이마시면 오히려 몸이 가라앉고 더 숨이 차게 되므로 적당량만 들이마신다. 입을 크게 벌린다고 산소가 많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므로 입을 적당하게 벌리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자유형(크롤 영법)은 한쪽 팔이 pull을 하는 사이에 다른 쪽 팔은 Recovery를 하는 식으로 양팔을 번갈아가며 Pull 동작으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 영법이다. 그 사이 발은 계속 움직이며 추진력과 함께 몸의 균형을 맞춰준다. 발차기 역시 장거리 수영시에는 계속 차는 것보단 체력 안배를 위해 2비트 킥, 4비트 킥 등으로 나눠 차기도 한다.

4.3. 자주 하는 실수

일반적으로, 자유형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하는 실수는 아래와 같다.
  1. 시선은 수영장 바닥을 보고 수영을 해야하는데, 머리를 들거나 정면을 보고 수영하는 경우
    → 인명구조시 영법으로 헤드업 자유형이 있긴 하지만, 경영을 처음 배우는 초보의 경우 대부분 코로 물이 들어가거나 머리를 들게 되어 다리가 가라앉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머리와 시선이 너무 땅바닥으로 향하면 안된다. 그렇게 되면 물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데다가 호흡할때도 고개를 더 돌려야 돼서 힘들다. 이상적인 시선은 정면과 바닥의 사이다. 수모가 다 잠기지도 않고 다 보이지도 않는 선에서 본인의 몸에 가장 효율적인 각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2. 호흡 타이밍을 놓쳐서 너무 늦게 호흡을 하는 경우
    → 한 두번은 앞으로 갈 수 있지만 얼마 못가서 물을 먹고 호흡의 리듬이 깨진다.
  3. 호흡 시 머리를 옆으로 하여 숨을 쉬어야 하는데 고개를 너무 들어서 숨쉬는 경우
    → 1의 경우처럼 물을 먹거나 가라앉는다. 고개를 들면 물과 멀어져 호흡하기 용이할 것 같지만 오히려 입과 물이 가까워져 물이 더 들어오고 고개를 드느라 몸에 힘이 들어가 목에 무리가 간다.
  4. 팔동작 시 팔꿈치를 너무 구부려서 허우적거리는 경우 → 힘이 상당히 들어서 역시 연속 동작하는데 무리가 간다.
  5. 팔을 움직임에도 몸이 평평하게 나아가는 경우
    → 롤링이 안 되는 경우인데 어깨에 너무 많은 힘이 들어가며 경우에 따라 어깨에 부상이 생길 수 있다.
  6. 힘들어서 발동작 중에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
    → 다리에 쥐가 나거나 하체가 가라앉으며 역시 전신이 가라앉는다.
  7. 팔동작을 할때 손바닥으로 텀벙 입수할 경우
    → 시작부터 팔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스트로크시에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힘이 들어서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저항으로 물보라도 많이 생긴다. 초보자의 경우 그나마 다행인데 수영이 조금 더 향상된 상태에서 이런 나쁜 버릇이 고쳐지지 않으면 수면에 입수할때 작은 충격이라도 수천번씩 손에서 팔, 어깨까지 충격이 전해지기 때문에 어깨가 다칠 위험이 있다. 수력이 어느 정도 되는 사람들이 팔꿈치나 어깨관절이 아프다거나 또는 등 근육이 땡긴다고 할 때 입수 동작부터 망가진 경우가 많다.

자세한 것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자.
자유형 참고 영상목록

단, 동네 강습과 다르다거나 동영상마다 달라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어디까지나 자유형이기 때문에다가 가르치는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고 강조하는 부분은 대부분 비슷하다. 대체로 강습마다 다른 부분은 대부분 별로 중요치 않은 부분이다.

5. 기타

  • 한국이 올림픽 수영에서 딴 금메달은 2008년 8월 14일 베이징 올림픽에서 박태환이 400미터 자유형에서 획득한 것이 유일하다. 나머지 메달도 전부 자유형에서 나왔다.
  • 한국 및 외국의 시대극을 보면 극중에서 헤엄칠 때 크롤 영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19세기 말~20세기 초에야 정립된 영법이므로 작품 시간대가 그 이전이라면 엄연히 사실성(고증) 오류에 해당한다.

6. 관련 영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일본에서는 型이 상용한자 외인 관계로 形으로 바꾸어쓴다. [2] 보통 접영 팔 동작을 배우고 배운다. 왜냐면 팔 꺾기를 먼저 배우면 접영 팔동작할때도 은연중에 팔을 꺾고 돌리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 이러면 접영이 잘 안된다. 특히 접영을 배울 때 쯤이면 어지간히 수영 폼이 잡혀있는 상태라서 잘못 배우기 시작하면 답이 없다. [3] 호주나 유럽 선수들은 대체로 그러하고 미국 선수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수영 교본 '가장 빠른 수영'(Fastest Swimming)에선 접영출신 선수들이 자유형 경기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효과적이지 못한 영법이라고 평가한다. 그렇지만 미국 밖의 유럽이나 호주 선수들은 많이 사용하며 실제로도 좋은 기록을 내기에 어느 것이 좋고 나쁘다고 쉬이 평가할 수 없다. [4] 물론 교본대로 손가락을 모으면 좋겠지만 일반인의 경우 오히려 팔에 힘이 들어가서 자세가 망가지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유투브에서 선수급 시범을 봐도 손가락 모으는데 그렇게 열심히(?) 집중하지 않는다. 심지어 마이클 펠프스의 다큐에서조차도 슬로모션에서 손가락을 거의 벌리고 자유형하는 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주의할 점은 손목 힘을 최대한 빼야 한다는 것이다. 바가지로 물 뜨듯이 손으로 물을 움켜쥐는 메커니즘이 절대 아니다. 물에 밀려서 지느러미처럼 밀리듯 물이 잡혀 가는 것이다. 오히려 손가락을 다 모으는 것보다 8mm가량 벌리는게 더 많은 물을 잡는데 유리하다는 연구도 있다. 결국 손가락 사이사이 공간을 하나하나 신경쓰기보다는 본인에게 가장 맞는 자세를 찾아서 하는 것이 좋다. 단, 확실하게 해야할 것은 물을 잡을 때 손목이 꺾이면 안 되고 손이 팔꿈치와 같이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손목이 꺾여서 손바닥이 말리는 것이 아니라 손이 팔꿈치와 일자가 되어 손가락이 수영장 바닥을 향해야 한다. 손목을 안으로 꺾은 채로 팔을 돌리는 것은 수영 초보자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이다. [5] 90년대 이전 일본 번역 교본을 배우고 업데이트가 안 된 동네 강습 강사들 중 '일부'가 S자를 매우 강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가는 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선수들의 경우 현재 거의 예외없이 하이 엘보우(팔꿈치를 직각으로 세움) 자세로 1자 혹은 I자 스트로크를 쓴다. 일반인의 경우도 수력이 어느 정도 된다면 1자 스트로크가 속도면에서나 체력면에서나 오히려 더 유리하다. 이는 펠프스의 코치직을 역임한 적이 있는 Bob Bowman 코치의 "I-stoke"에 대한 의견이다. [6] 펠프스의 경우 매번 오른쪽 스트로크마다 숨을 쉬고 박태환은 왼쪽이 편하나 양쪽 다 가능하다. 왼-오른-왼-오른 두번씩 스트로크 하며 숨을 쉬는 선수도 있고 정해진건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