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 개봉한 영화에 대한 내용은 자산어보(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
국립해양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산어보 1본. |
[clearfix]
1. 개요
《자산어보( 玆 山 魚 譜)》는 조선 시대 후기인 1814년( 순조 14), 정약용의 형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이 저술한 해양생물학, 수산학 서적이다.3권 1책 구성으로, 흑산도 근처에 분포하는 200여 종의 물고기와 바다 생물이 수록되어 있다. 정약전 자필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고 필사본은 여러 곳에 소장되었다. 그의 유배지[1]였던 흑산도(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연안 어족(魚族)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어보(魚譜)로서, '흑산어보'가 아니라 '자산어보'라 한 까닭은 '흑산'의 '검을 흑( 黑)' 자에 나쁜 의미가 있으므로 피했다고 한다. 이외에 '현산어보'로도 전한다('명칭 독음 문제' 단락 참조).
2. 특징
KBS 역사 스폐셜 조선시대, 최신식 어류 백과사전이 있었다 |
- 19세기 초 당시 흑산도 연안에 서식했던 한국의 토종 어류와 갑각류, 조개류에 대한 정보를 명칭, 분포, 생태, 유용성을 망라해 가며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오늘날에도 어족이나 자연사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많은 학자들이 이 책을 참고한다.
- 기존 문헌을 많이 참고하고 인용했다고는 하나 결코 문헌에만 의존한 것은 아니고, 실제로 유배지의 바닷가에 살면서 물고기를 해부하거나 현지인들의 증언, 직접 관찰과 견문한 것을 토대로 하여 내용의 충실을 기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히 드러난다. 아귀가 물 속에서 낚싯대 모양의 촉수를 사용하여 먹이를 유인하는 것이나[2], 어류의 아가미 호흡과 아가미의 구조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 어류의 상세한 산란과정이나 일부 상어류의 태생(胎生)습성, 서식지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어류의 형태적 기술(가령 영남산 청어는 척추골 수가 74마디이고 호남산 청어는 척추골 수가 53마디라는것) 등 해부를 해야 알 수 있는 내부적 특징도 기술하고 있으며 먹이 포획, 계절별 생물 분포와 같은 다양한 생태학적 특징이 기술되었다.[3]
- 수족들의 특징 중에는 맛을 기록한 것도 있다. 이 생선은 맛이 달고 기름지다, 이 조개는 향이 좋지만 쓴맛이 난다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으며[4] 수족들을 어떻게 요리하는 것이 좋은지도 서술하고 있다. 수족들의 실용적인 쓰임새 또한 찾으려 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
- 자산어보에서 나오는 분류법은 오늘날의 과학적 분류법의 관점에서 본다면 비과학적이기는 하나, 당시는 구미 선진국들도 근대적 동식물 분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날의 시점에서 이를 평가절하하는 것은 옳지 않다. 유럽에서도 체계적인 생물분류학은 칼 폰 린네(1707 - 1778) 등에 의해 시작하였는데, 시기상으로는 자산어보가 저술된 시대와 비슷하다.
- 현재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영남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상백문고(相佰文庫) 등에 소장되어 있다. 다만 소장본들은 모두 필사본들이며, 정약전이 직접 집필한 원본은 행방이 묘연하다. 그래서 자산어보가 완전히 실전되었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다.
-
어류 백과로서의 걸출함에 아쉽게도, 도록(圖錄)이 없는 이유는
정약전이 동생
정약용과 의논하다 "그림은 믿을 게 못되니 오히려 글로 자세히 서술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이라는 충고를 따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테오프라스토스 등 과거의 박물학자들도 자신의 책에 그림을 넣는 것을 반대하였다. 아울러 중세 시대 혹은 이슬람 세계의 생물학 분류 서적을 살펴보면 당시 회화의 한계와 종교적 제약 때문에 설명과 그림이 상이한 경우가 허다했고, 제책오류 등 문제로 그림이 바뀌는 경우도 많았다. 이로 말미암아 후세대, 혹은 동세대 사람들도 그 도서에 기록된 생물이 무엇인지 한참 동안 논쟁을 벌였다. 도록까지 있었으면 정말 세계 생물학사에 남을 저서가 될 수 있었을지도 모르나, 유배되어 형을 살고 있는 현실적 어려움이나 당시 기술의 한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원본이 전해지지 않고 필사본만 남은 것을 볼 때 그림까지 넣었다면 오히려 필사의 어려움 때문에 복제가 더 적게 이루어졌거나 필사본마다 그림이 달라서 실용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었다.
- 어족들의 명칭을 한문으로만 표기했다는 한계가 있다. 당시의 한문으로 된 정식 명칭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현지 주민들이 직접 사용하는 이름도 한문으로만 표기하고 순우리말도 한문으로 음차해서 표기하였다. 이상한 것은 정약전이 평소 글을 쓰면서 훈민정음을 완전히 무시한 사람도 아니라는 것. 정약전은 문순득의 표해록인 《표해시말》을 대필하면서 여송(필리핀), 유구(류큐)의 언어들을 훈민정음으로 음차하여 직접 표기한 적이 있다. 훈민정음 표기를 하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나, 어보의 독자층을 문맹률이 높은 어부나 현지 주민 등으로 특정하지 않았음은 추정할 수 있다.
3. 명칭 독음 문제
학계에서는 '자산어보'와 '현산어보' 중 독음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쟁이 있다. 정약전의 호와 흑산도의 별칭이 '玆山'으로 일치하는데 읽을 때는 각각 '자산'과 '현산'으로 읽히는 것. 때문에 이태원 씨가 낸 《 현산어보를 찾아서》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논쟁이 시작되었다.3.1. '茲', '玆', '兹' 비교
한자 | 유니코드 | 음 | 훈 | 자원(字源) |
玆 | U+7386 | 현 | 검다 | 玄 + 玄 |
茲 | U+8332 | 자 |
① 풀·나무가 불어나다 ② 이, 저 ( 지시대명사) |
艹(←艸) + 幺幺(絲의 생략형) |
兹 | U+5179 | 이체자 |
엄밀하게 자원을 보자면 玆는 검을현(玄)을 겹쳐 강조한 것이고, 茲는 풀들이 무성한 것을 나타내는 글자를 가차하여 지시대명사로 사용하는 글자로 구별된다. 그러나 자형의 유사성으로 인해 혼용해서 써 왔고 특히 이체자인 兹는 퓨전된 자형으로 인해 더욱 구분할 수가 없다. 자산어보 필사본에서도 兹의 형태로 쓰여 있다.
후한 시기의 자전인 《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도 玆의 독음을 '자'로 적었고[5] 후대에 청나라 고증학자 단옥재는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에서 이를 '현'으로 교정했다. 과거부터 혼란이 있었으며, 현재의 자전들도 마찬가지다.
즉, 글자의 모양으로는 구분이 안되고 글자가 쓰인 맥락을 파악해야 하는데 이것이 현산어보 측 주장의 근거가 된다. 맥락상 검다는 뜻이므로 현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이것도 완전한 정답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 오랫동안 통용하다보니 훈음이 섞여 '검을 자'라는 훈음이 생겨 맥락에 따른 구분도 무의미하다는 것. 이쪽은 자산어보 측 주장의 근거이다.
3.2. '현산어보' 론
玆山者 黑山也
玆山은 흑산이다.
余謫黑山 黑山之名 幽晦加怖
나는 흑산에 유배와 있는데, 흑산이란 이름은 어둡고 무섭다.
家人書牘 輒稱玆山 玆亦黑也
집안 사람들 편지에서는 언제나 玆山이라 칭한다. 玆 또한 검다(黑)는 뜻이다.
자산어보 머리말에서
玆山은 흑산이다.
余謫黑山 黑山之名 幽晦加怖
나는 흑산에 유배와 있는데, 흑산이란 이름은 어둡고 무섭다.
家人書牘 輒稱玆山 玆亦黑也
집안 사람들 편지에서는 언제나 玆山이라 칭한다. 玆 또한 검다(黑)는 뜻이다.
자산어보 머리말에서
(전략)……
신안군 우이도에서 구해본 유암총서(柳菴叢書) 라는 책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줄 만한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했다.……(중략)……『유암총서』 중 「운곡선설」 항목을 보면 "금년 겨울 현주(玄州)에서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라는 대목이 나오며, 이 글의 말미에서는 "현주서실(玄州書室)에서 이 글을 쓴다"라 하여 글을 쓴 장소를 밝혀놓고 있다. 현주는
흑산도를 의미한다. 저자 유암은 이청의 친구이며, 유암이 흑산을 현주로 옮긴 것은 이청의 스승
정약용이 흑산을 玆山이라고 부른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현산어보를 찾아서》에서 발췌.
요약하자면, 저자 본인이 머리말에서 玆는 黑의 뜻이라 했고, 현산어보를 같이 집필한 제자 이청의 친구가 흑산을 현주(玄州)로 읽은 것은 정약전이 지은 현산어보의 영향이라는 것이다.《현산어보를 찾아서》에서 발췌.
또 정조 때 편찬한 한자사전인 '전운옥편'은 한글로 독음을 달아놓고 있어서 당시 한자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데 여기에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玆
黑의 뜻일 때의 독음을 "현"이라고 분명하게 밝혔다.[
자]
此의 뜻이다. 濁의 뜻이다. 항간에 茲로 통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
현]
黑의 뜻이다. 玄과 통한다.3.3. '자산어보' 론
당대의 가장 권위있는 한자사전인 ' 강희자전'에는 玆항의 독음으로 '자'와 '현'이 모두 실려 있으며 #, 강희자전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참고 자료로 널리 쓰인 운서나 자전들('설문해자'부터 시작해서 ' 옥편', '유편', '자휘', '정자통' 등)도 역시 마찬가지이며( #), 심지어 玆의 표준 중국어 병음 표기가 cí, zī로 玄의 xuán과는 차이가 크다. 따라서 玆를 "자"로 읽는 것이 일반에 널리 알려진 독음이었으며, 玆를 '검다'는 뜻일 때는 '현'으로 읽어야 옳다는 것은 문헌상의 기록을 고증한 것일 뿐 실제로 사람들이 그렇게 읽었다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시 - 분 - 초라고 할 때의 秒(초)는 원래 "묘"라고 읽어야 옳지만 현실의 발음은 그렇지 않아서 아무도 "묘"로 읽지 않는다.4. 기타
자산어보를 배경으로 창작된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현산어보를 찾아서 - 자산어보를 저자의 깊은 인문학적 지식과 함께 심층 분석한 책이다.
- 소설 자산어보 - 오세영 작품
- 흑산 - 김훈 작품
- 영화 자산어보 - 감독 이준익
- 서울 샌님 정약전과 바다 탐험대 -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 당시 일들을 어린이 용으로 각색한 어린이 소설. 총 3권으로 구상.
[1]
정약전은
정조 승하 후 일어난
신유박해의 결과
흑산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2]
이는
정약전이 기록한 것 외에도 다른 나라에서도 알려졌던 사실인 듯 하다. 아귀의 영문명이 anglerfish, 즉 낚시하는 물고기라고 붙은것도 이 때문이다.
[3]
참조기의 경우 흑산도 주변 해역에서의 출현 시기를 꼼꼼히 기록하였다.
[4]
옛날의
한의학 서적에는 한약재도 모조리, 단 하나의 예외없이 '맛'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부자나 초오 같은 독성 약물도 당연히 예외는 아니다.) 당시의 맛이라는 것은 단순히 식용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일종의 원시적인 화학적 검사법으로서 구성 성분 및 기능을 평가하는 기준이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5]
엄밀하게 말하면 설문해자 자체의 기록은 아니다. 서호(徐灝)의 <설문해자주전(說文解字注箋)>에 "每條下切音徐氏鉉依孫愐唐韻記之"((설문해자의) 매 항목 아래의 반절음은 서현(徐鉉)이 손면(孫愐)의 <당운(唐韻)>에 의거해 기록한 것이다.)라는 기록이 증명하듯 서현(徐鉉)이 <당운(唐韻)>의 음가를 대서본(大徐本) 판본에 기록하여 남긴 것에 불과하다. 설문해자가 쓰인 시대에는 반절법이 아직 통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