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0:30:01

유토피아(유희왕)/서포트 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토피아(유희왕)
1. 개요2. 몬스터 카드
2.1. V샐러맨더2.2. 엑시즈 에이전트
3. 마법 카드
3.1. 일반 마법3.2. 지속 마법
3.2.1. 엑시즈 체인지 택틱스
3.3. 장착 마법
3.3.1. 리버스 브레이커3.3.2. 호프검 슬래시
3.4. 필드 마법3.5. 속공 마법
3.5.1. 문베리어
4. 함정 카드
4.1. 일반 함정
4.1.1. 릴리스 리버스 버스트4.1.2. 마스터 피스
4.2. 지속 함정
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호프 하트 비트5.2. 얼티미트 호프검5.3. WRUM-호프 포스5.4. HRUM-얼티미트 포스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의, 유토피아 몬스터를 서포트하는 카드들. 카드군 단위의 ZW / ZS / 제알 이외의, 텍스트로 "유토피아"를 지정하는 카드들.

2. 몬스터 카드

2.1. V샐러맨더

2.2. 엑시즈 에이전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5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엑시즈 에이전트,
일어판명칭=エクシーズ・エージェント,
영어판명칭=Xyz agent,
속성=빛, 레벨=4, 공격력=900, 수비력=3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했을 때는 이름처럼 모든 엑시즈 서포트가 가능한 카드였으나, 하필 등장할 때 호프의 서포트로 쓰인 바람에 현실에서도 호프 전용이 되어버렸다. 원작에선 엑시즈 소재를 충전하는 효과가 아니라 엑시즈 소재를 사용한 효과를 발동하는 효과였다.

엑시즈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이므로 일단은 그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0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05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3. 마법 카드

3.1. 일반 마법

3.1.1. 호프 버스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8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호프 버스터,
일어판 명칭=ホープ・バスター,
영어판 명칭=Utopia Buster,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유토피아"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유희왕 ZEXAL/코믹스에서 등장한 카드로, 효과는 갈라진 대지 효과. 발매 시기를 생각하면 효과 자체는 무난하게 좋지만, 발동 조건이 걸려있는 시점에서 그냥 갈라진 대지를 쓰는 게 나았다.

작중에서는 츠쿠모 유마 캡틴 콘과의 듀얼에서 사용한 것이 첫 등장. 캡틴 콘의 필드에 No.50 블랙십 오브 콘만 나와있던 것으로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하려 했으나, 캡틴 콘이 발동한 콘 그물의 효과로 막혔다. 그러나 다음 턴 유마가 발동한 "리멤버 어택"의 효과로 재발동되어 No.50 블랙십 오브 콘을 파괴하고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줘 피니시를 낸다.

카이토와의 듀얼에서는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을 파괴하고 4000 데미지를 노렸으나 FA 포톤 드래곤의 효과[1]로 의해 무산되었다. 아스트랄과의 듀얼에서는 가가가 걸의 효과로 공격력이 0이 된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를 파괴하는 데 사용했다.

이름에 있는 "호프"는 No.39 유토피아의 원래 일본판 이름 "No.39 희망황 호프"에서 따온 것이다. 한국에선 유토피아 버스터가 돼야 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된 "유토피아"는 일본의 "희망황 호프"에 1:1 대응하는 단어라 이 카드를 유토피아 버스터라고 내면 룰상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미국에선 이 카드를 그냥 유토피아 버스터라고 내 버렸는데, 이러면 실제로 문제가 있다. 매지컬 실크햇으로 이 카드가 몬스터가 되면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릴리스 리버스 버스트를 발동할 수 있게 된다. 이미 Utopian Aura도 있어서 별로 신경을 안 쓴 듯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프리미엄 팩 Vol.8 PP08-KR045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REMIUM PACK 15 PP15-JP010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Premium Gold PGLD-EN009 골드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1.2. 샤이닝 호프 로드

3.1.3. 샤이닝 드로우

3.1.4. RDM-누메론 폴

3.1.5. HRUM-토피아 포스

3.2. 지속 마법

3.2.1. 엑시즈 체인지 택틱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엑시즈(유희왕)
,
,
,
,
,

파일:エクシーズ・チェンジ・タクティクス(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엑시즈 체인지 택틱스,
일어판 명칭=エクシーズ・チェンジ・タクティクス,
영어판 명칭=Xyz Change Tactics,
효과1=①: "엑시즈 체인지 택틱스"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유토피아" 몬스터가 엑시즈 소환되었을 때\, 5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V JUMP EDITION 10에 SNo.39 유토피아 ONE과 함께 수록된 유토피아 전용 지속 마법.

일러스트에 No.39 유토피아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재구축 과정이 묘사된 것처럼 말 그대로 유토피아의 엑시즈 체인지를 위한 지원 마법으로 짧고 강력한 효과를 가졌다.

유토피아이기만 하면 어느 몬스터든 상관 없어서 타이밍을 놓칠 상황만 만들지 않는다면 유토피아 소환+엑시즈 체인지를 통해 2장씩 드로우하는 엄청난 효율을 보여준다. 여기에 만약 아스텔 드론을 엑시즈 소재로 삼았다면 추가로 또 드로우할 수 있고, 각종 방식으로 유토피아를 부활시켜 엑시즈 체인지하는 것으로 어드밴티지를 1장씩 버는 것도 가능한 카드.

제너레이션 포스로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어서 급할 땐 유토피아부터 엑시즈 소환하고 이 카드를 서치해 1장 드로우하는 방식으로 나갈 수 있다.

RUM 계열의 카드와 연계하면 드로우 횟수를 더욱 늘릴 수 있다. 단 RUM-누메론 포스를 쓰면 이 카드의 효과가 영구 무효화되므로 다른 RUM을 사용할 것.

종합해서 보면 CNo.39 유토피아 레이 SNo.39 유토피아 ONE이 바닐라나 다름없는 카드임을 보완하기 위한 느낌이 강하다. LP를 지불하고 발동하게 만든 것도 이 둘의 효과 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인 듯.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의 등장으로 채용률이 올랐다. 어태커를 사용함과 동시에 3장까지 드로우가 가능해지기 때문.

여담으로 택틱스 아스트랄이 즐겨 쓰는 단어인데, ZEXAL 작중 무기력에 빠진 유마가 택틱스라는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자 카미시로 료가가 "택틱스도 제대로 말하지 못하냐!"[2] 라고 일갈하는 장면이 있다.
수록 시리즈
2015-06-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P10-KR025 | 프리미엄 팩 Vol.10
2021-05-04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AC1-KR041 | PRISMATIC ART COLLECTION [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 ]
2021-09-27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D42-KR023 | 스트럭처 덱 오버레이 유니버스
2024-03-26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QCCU-KR072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13-10-21 |
[[일본|]][[틀:국기|]][[틀:국기|]] VE10-JP005 | V JUMP EDITION 10
2014-11-07 |
[[미국|]][[틀:국기|]][[틀:국기|]] NECH-EN094 | THE NEW CHALLENGERS

3.3. 장착 마법

3.3.1. 리버스 브레이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1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리버스 브레이커,
일어판명칭=リバース・ブレイカー,
영어판명칭=Reverse Breaker,
효과외1="유토피아"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가 공격 선언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해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그 상대의 카드를 파괴한다.)]
유토피아 몬스터 전용 장착 마법으로, 공격력이나 수비력을 올려 주지는 않으나 공격 선언 시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1장을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효과에 마법 / 함정을 발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웬만하면 거치적거리는 마법 / 함정의 위협을 하나 줄이고 공격에 들어가는 셈.

원작에서는 츠쿠모 유마 엘리파스와의 듀얼에서 사용. No.39 유토피아에게 장착시켰다. 유토피아 전용인데도 쌩뚱맞게 고고고 골렘이 타고있는 일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는 장착하는 몬스터에 제한이 없었다. 굳이 원작을 반영하겠답시고 저렇게 어거지로 호프 관련 효과로 바꿔버려서 일러스트와 괴리감이 생긴 것. 이와 똑같은 사례로는 엑시즈 에이전트가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라이멀 오리진 PRIO-KR05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RIMAL ORIGIN PRIO-JP05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Primal Origin PRIO-EN056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3.2. 호프검 슬래시

파일:card10013333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호프검 슬래시,
일어판 명칭=ホープ<ruby>剣<rp>(</rp><rt>けん</rt><rp>)</rp></ruby>スラッシュ,
영어판 명칭=Rising Sun Slash,
효과외1="유토피아"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몬스터의 공격이 무효가 될 때마다\, 이 카드에 호프검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호프검 카운터의 수 × 5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장착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이 카드는 제거할 엑시즈 소재의 1개로 취급할 수 있다.)]
유토피아의 공격명 호프검 슬래시를 카드명으로 삼은 유토피아의 ' 필살기 카드' 시리즈 중 하나. 파멸의 포톤 스트림이 그랬던 것처럼 오리지널 유토피아 외에 그 파생형들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로 나왔다.

1번 효과는 평범하게 강력한 효과 파괴 내성 효과. 물론 이 카드 자체를 노리면 약해지지만 그건 다른 마법 / 함정도 마찬가지고, 결정적으로 No.39 유토피아의 자괴 효과를 막을 수 있다.

2번 효과는 No.39 유토피아 No.39 유토피아 루츠의 효과를 적절히 섞어서 공격이 무효화될 때마다 카운터를 올려 공격력을 500씩 올리는 효과. No.39 유토피아라면 3500까지 올라갈 것이다. 자기 자신을 무효화시켜도 가능해서 유마처럼 더블 업 찬스를 쓰면 공격력이 최대 7000까지 올라간다. 또한 더블 업 찬스의 고질적 문제인 "소재 고갈로 유토피아 자괴"도 첫 효과와 시너지가 있어서 나름 호궁합이다. 물론 원본이 아닐 경우에는 이 효과는 거의 덤으로 생각하고 1번 효과를 노리게 될 것이다.

3번 효과로, 장착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제거해 효과를 쓸 경우, 그 소재 대신 이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엑시즈 유닛과 같은 효과이지만, 유토피아 카드군은 소재를 제거하고 주요 효과가 전부 소재를 제거하고 발동하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은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컬렉터즈 팩-전설의 결투자 편 CPL1-JP050 레어 일본
Dragons of Legend DRLG-EN051 슈퍼 레어 미국

3.4. 필드 마법

3.4.1. 희망향-오노마토피아-

3.5. 속공 마법

3.5.1. 문베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75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문베리어,
일어판 명칭=ムーンバリア,
영어판 명칭=Light Wing Shield,
효과1=①: 몬스터의 공격이 무효가 되었을 때\,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이 턴의 엔드 페이즈가 된다.,
효과3=●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된다.,
효과4=②: 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가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제거할 엑시즈 소재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20주년 애니버서리 팩 세컨드 웨이브에서 발매된 유토피아의 효과명을 본뜬 2번째 필살기 카드. 원래 외래어 표기법 상 문 리어가 맞는 표현이지만 대원이 다른 배리어 카드들리어라고 번역했기에 이번에도 베리어로 번역되었다.

1번 효과는 실제 유토피아의 효과와 콤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로 몬스터의 공격이 무효화되었을 때 2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 발동할 수 있게 해준다.

1번째 효과는 강제로 엔드 페이즈로 가는 효과로 주로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막았을 때 사용하게 될 것이다. 공격을 막은 후 아예 턴을 종료하여 상대 배틀 페이즈는 물론 메인 페이즈 2까지 전부 스킵한다. 주로 견제 카드는 배틀이 끝난 후 세트하는 게 일반적이니 상대 입장에선 아무 견제 카드로 준비하지 못한채 다음 턴까지 버텨야할지도 모르는 상황을 만들어준다.

2번째 효과는 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로 하는 더블 업 찬스를 연상시키는 효과. 위와는 반대로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화했을 때 주로 사용하게 될 것으로 하급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한 후 옆에 있던 유토피아 몬스터의 공격력을 배로 해 역전의 발판으로 삼는 것도 가능. 거기다 더블 업 찬스와의 콤보도 가능하여 먼저 이카드를 발동 해서 유토피아에게 공격력을 배로 한뒤 배로 한 유토피아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더블 업 찬스를 발동하면 4배가 되는 진풍경을 볼수가 있다. 통상 유토피아에만 사용해도 공격력이 10000을 찍는 것이 가능해 사실 상 원 턴 킬도 가능하다!

2번 효과는 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가 소재를 제거하여 효과를 사용할 때 대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 No.39 유토피아와 사용하면 이름 그대로 문 배리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CNo.39 유토피아 레이 V의 파괴 효과나 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의 공격력 흡수 효과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묘지에서 소생시켜 소재가 없는 유토피아 몬스터의 효과를 사용할 수도 있게 해주는 유용한 효과. 하지만 소재 대신 제외하는 이 효과는 "1개를" 제거하는 효과에만 대응하므로, 자주 나오는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의 "엑시즈 소재 2개 제거하고 공격력 5000" 효과와의 조합은 불가능하니 주의할 것.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20AP-JP056 울트라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 함정 카드

4.1. 일반 함정

4.1.1. 릴리스 리버스 버스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1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릴리스 리버스 버스트,
일어판 명칭=リリース・リバース・バースト,
영어판 명칭=Release\, Reverse\, Burs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유토피아"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원작에서는 일반 마법이었고 모든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었기에 일러스트에는 유토피아가 없고, 대신 베이비 트래곤이 있다.

유토피아 1장을 릴리스해서 상대의 세트 마함을 전부 날려먹을 수 있는 카드로, 이름 그대로 유토피아를 릴리스해서→세트되어 있는 리버스 마함들을→죄다 파괴(버스트)해버리는 카드다.

미묘하기는 해도 상대의 세트 마함을 전부 날려먹는 효과 자체는 강력하니, 아예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소재가 전부 날아간 No.39 유토피아가 공격받아 자괴하기 전, 예컨대 메인 페이즈 종료 타이밍이나 무효화 효과 처리 직후 등에 발동해서 상대가 세트했던 카드들을 날려먹는 용도로 쓰면 된다. 물론 이 카드의 코스트로 릴리스하느니 CNo.39 유토피아 레이 등의 진화체로 진화시켜서 상대를 썰어버리는 용도로 쓰는 게 더 좋겠지만, 그런 진화체를 마련하기 어려운 긴급 상황을 돌파하는 용도로 사이드 덱에 1장 정도 넣어 볼 만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LVAL-KR071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JP071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acy of the Valiant LVAL-EN071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1.2. 마스터 피스

4.2. 지속 함정

4.2.1. 운명의 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함정 몬스터
,
,
,
,
,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스카레드 데몬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運命の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운명의 문,
일어판 명칭=<ruby>運命<rp>(</rp><rt>うんめい</rt><rp>)</rp></ruby>の<ruby>扉<rp>(</rp><rt>とびら</rt><rp>)</rp></ruby>,
영어판 명칭=The Door of Destiny,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그 후\, 이 카드는 효과 몬스터(악마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가 되고\,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가 특수 소환되어 있을 경우\,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서 "유토피아" 몬스터를 임의의 매수만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제외한 수 × 5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그 데미지의 수치만큼만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TheDoorofDestiny-JP-Anime-ZX.png
한글판 명칭 운명의 문
일어판 명칭 [ruby(運命, ruby=うんめい)]の[ruby(扉, ruby=とびら)]
영어판 명칭 The Door of Destiny
지속 함정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발동 후 이 카드는 몬스터 카드(악마족 / 빛 속성 / 레벨 1 / 공격력 0 / 수비력 0)이 되어, 자신의 몬스터 카드 존에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시, 자신의 묘지의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상대 라이프에 그 제외한 몬스터의 수 x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주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데미지의 수치만큼 올린다.

유희왕 ZEXAL에서 아스트랄 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사용한 카드. FNo.0 미래황 호프의 직접 공격에 의한 트리거로 발동되어 아스트랄의 필드 위에 소환되며 공격을 막는다. 하지만, 그 다음 유마가 발동한 카드는 다름아닌 더블 업 찬스.

OCG로는 넥스트 챌린저스의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등장. 기본적으로 원작과 거의 같게 OCG화되었으며, 수비 표시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 대신 제외하는 몬스터는 유토피아만으로 한정되었다. 유토피아 몬스터는 전부 엑시즈 몬스터이기에, 유토피아 위에 계속해서 다른 유토피아를 겹치는 수고를 한 뒤 그 카드가 묘지로 보내져야 겨우 3~5장 정도의 유토피아를 묘지에 쌓을 수 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엑스트라 덱 자리를 굉장히 많이 소모해야 하기에, 실전성은 굉장히 낮다. 그나마 한번에 2000 가량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 점은 자랑할만한 점.

2번의 효과가 일본어 텍스트로 특수 소환되어 있을 경우라고 표기되어 있어, 이 카드가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후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남아있어야 한다는 것을 확실시했다.

모티브는 제알의 시작이자 끝인 운명의 문.

4.2.2. 운명의 계약

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호프 하트 비트

한글판 명칭 호프 하트 비트
일어판 명칭 [ruby(希望の鼓動, ruby=ホープ・ハート・ビート)]
영어판 명칭 Hope Heartbeat
일반 마법
이 턴, "유토피아" 또는 "호프"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는 상대의 효과 몬스터 /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미 발동되어 있는 상대 카드가 "유토피아" 또는 "호프"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게 효과를 주고 있을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5.2. 얼티미트 호프검

한글판 명칭 얼티미트 호프검
일어판 명칭 アルティメット・ホープ剣
영어판 명칭 Ultimate Hope Sword
장착 마법
"유토피아" 또는 "호프"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게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라간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로 인해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장착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5.3. WRUM-호프 포스

5.4. HRUM-얼티미트 포스


[1] 카드 효과가 발동되었을 때 엑시즈 소재를 모두 제거하고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그리고 이 몬스터와 상대 몬스터 1장을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한다. [2] 더빙판은 "택틱스란 말도 제대로 못하는 주제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프 버스터,version=20,
title2=엑시즈 체인지 택틱스,version2=39,
title3=엑시즈 에이전트,version3=6,
title4=리버스 브레이커,version4=17,
title5=릴리스 리버스 버스트,version5=2,
title6=유토피아(유희왕),version6=99,
title7=호프검 슬래시,version7=33,
title8=운명의 문(유희왕),version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