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3:07:13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파일: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기.png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rowcolor=#fff> 유엔사 군사정전위 기[1] 휘장 }}}
<colbgcolor=#4b92db><colcolor=#fff> 설립일 1953년 7월 27일
수석대표[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육군 소장 강인규 (육사 47기)
소재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상위기관 유엔군사령부

1. 개요2. 구성
2.1. 유엔측 수석대표2.2. 공산측 수석대표
3.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유엔군사령부 휘하 군사정전위원회이다. 정전 협정의 체결과 함께 동시에 발족하였다.

2. 구성

구성은 정전협정에 다음과 명시되어 있다. 군사정전위원회는 10명의 고급장교로 구성하되 그 중의 5명은 국제연합군 총 사령관이 이를 임명하며 그 중의 5명은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과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이 공동으로 이를 임명한다 위원 10명 중 에서 각방의 3명은 장급에 속하여야 하며 각방의 나머지 2명은 소장 준장 대령 혹은 그와 동급인 자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한국군 황원탁 소장이 유엔사 수석대표로 임명된 것에 항의하여 1991년부터 정전위를 보이콧하였으며 1994년 4월에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중국도 1994년 9월에 탈퇴하였다.

2.1. 유엔측 수석대표

2.2. 공산측 수석대표

  • 리상조(1953.7.28~1955.7.16) 중장
  • 정국록(1955.7.17~1957.10.22) 소장
  • 강상호(1957.10.23~1959.3.20) 소장
  • 주창준(1959.3.21~1961.3.20) 소장
  • 장정환(1961.3.21~1964.9.20) 소장
  • 박중국(1964.9.21~1969.9.18) 소장
  • 리춘선(1969.9.19~1970.7.29) 소장
  • 한영옥(1970.7.30~1972.11.5) 소장
  • 김풍섭(1972.11.6~1975.12.22) 소장
  • 한주경(1975.12.13~1983.8.22) 소장
  • 리태호(1983.8.23~1988.8.23) 소장
  • 최의웅(1988.8.24~1994.4.28) 소장: 하지만 북한이 1991년부터 정전위를 보이콧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1991년 즈음에 임기가 끝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북한은 조선인민군 판문점대표부를 내세워서 정전위 체제에 대한 무효화를 시도하였다.

3. 같이 보기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85호에 따라 유엔군사령부는 상징 깃발로서 유엔기를 사용한다. [2]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겸임, 전시가 되면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라는 보직 자체가 사라지고,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참모장으로 승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