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 ||||||
GBE | |||||||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
리들리 스콧(2024) |
|||||
KBE | |||||||
프레더릭 벤팅 (1934) |
에드먼드 힐러리 (1953) |
게오르그 솔티 (1971) |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
찰리 채플린 (1975) |
앨프리드 히치콕 (1980) |
밥 호프 (1998) |
|
앤드루 와일스 (2000) |
로저 무어 (2003) |
팀 버너스리 (2004) |
조너선 아이브 (2012) |
||||
Knight Bachelor | |||||||
아이작 뉴턴 (1705) |
찰스 라이엘 (1848) |
찰스 휘트스톤 (1868) |
조지프 리스터 (1883) |
아서 코난 도일 (1902) |
W. S. 길버트 (1907) |
프랜시스 골턴 (1909) |
|
핼퍼드 매킨더 (1920) |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
오언 리처드슨 (1939) |
알렉산더 플레밍 (1944) |
랠프 리처드슨 (1947) |
로런스 올리비에 (1947) |
|
존 길구드 (1953) |
칼 포퍼 (1965) |
알프 램지 (1967) |
쉬리다스 람팔 (1970) |
제임스 블랙 (1981) |
마이클 아티야 (1983) |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
|
렉스 해리슨 (1989) |
V. S. 나이폴 (1990) |
더크 보가드 (1992) |
로저 펜로즈 (1994) |
팀 라이스 (1994) |
캐머런 매킨토시 (1996) |
마이클 스타우트 (1998) |
|
폴 너스 (1999) |
리처드 브랜슨 (2000) |
숀 코너리 (2000) |
톰 커트니 (2001) |
믹 재거 (2002) |
벤 킹슬리 (2002) |
리들리 스콧 (2003) |
|
조너선 색스 (2005) |
헨리 세실 (2011) |
케네스 브래너 (2012) |
안드레 가임 (2012)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
패트릭 헤드 (2015) |
마크 라일랜스 (2017) |
|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
톰 무어 (2020) |
마이클 호턴 (2021) |
마틴 에이미스 (2023) |
||||
CBE + Knight Bachelor | |||||||
데이비드 린 (1953) |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
알렉 기네스 (1959) |
스탠리 매튜스 (1965) |
맷 버스비 (1968) |
알렉 이시고니스 (1969) |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
|
리처드 애튼버러 (1976) |
존 밀스 (1976) |
월터 윈터보텀 (1978) |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
윌리엄 골딩 (1988) |
피터 유스티노프 (1990) |
이안 맥켈런 (1991) |
|
안소니 홉킨스 (1993) |
데릭 제이코비 (1994) |
바비 찰튼 (1994) |
사이먼 래틀 (1994) |
조지 마틴 (1996) |
마이클 갬본 (1998) |
아서 C. 클라크 (1998) |
|
엘튼 존 (1998) |
이안 홈 (1998) |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
톰 피니 (1998) |
나이젤 호손 (1999) |
알렉스 퍼거슨 (1999) |
프랭크 윌리엄스 (1999) |
|
마이클 케인 (2000) |
폴 스미스 (2000) |
바비 롭슨 (2002) |
앨런 파커 (2002) |
앨런 베이츠 (2003) |
그레고리 윈터 (2004) |
트레버 브루킹 (2004) |
|
제임스 다이슨 (2007) |
크리스토퍼 리 (2009) |
브래들리 위긴스 (2013) |
존 허트 (2015) |
칼 젠킨스 (2015) |
로드 스튜어트 (2016) |
레이 데이비스 (2017) |
|
빌리 코놀리 (2017) |
배리 깁 (2018) |
마이클 페일린 (2019) |
데이비드 수셰이 (2020) |
샘 멘데스 (2020) |
스티브 맥퀸 (2020) |
로저 디킨스 (2021) |
|
조너선 프라이스 (2021) |
존 부어만 (2022) |
브라이언 메이 (2023) |
|||||
OBE + Knight Bachelor | |||||||
어니스트 섀클턴 (1909) |
윌리엄 브래그 (1941) |
리처드 돌 (1971) |
잭 브라밤 (1978) |
지미 새빌 (1990) |
클리프 리처드 (1995) |
트레버 맥도날드 (1999) |
|
스털링 모스 (2000) |
재키 스튜어트 (2001) |
톰 존스 (2006) |
테리 프래쳇 (2009) |
패트릭 스튜어트 (2010) |
밴 모리슨 (2015) |
앤디 머리 (2017) |
|
가즈오 이시구로 (2018) |
마이클 모퍼고 (2018)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2025) |
|||||
MBE + Knight Bachelor | |||||||
폴 매카트니 (1997) |
제프 허스트 (1998) |
나이젤 쇼트 (1999) |
니콜라스 윈턴 (2003) |
닉 팔도 (2009) |
링고 스타 (2018) |
케니 달글리시 (2018) |
|
루이스 해밀턴 (2021) |
윌리엄 슈웽크 길버트 경 Sir W. S. Gilbert |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성명 |
<colbgcolor=#fff,#1f2023>윌리엄 슈웽크 길버트 William Schwenck Gilbert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836년 11월 18일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런던 스트랜드 17 사우스햄튼 가 |
|
사망 | 1911년 5월 29일 (향년 74세)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런던 해로우 |
|
직업 | 극작가, 오페라 대본 작가, 시인, 삽화가 |
학력 | 킹스 칼리지 런던 (문학 / B.A.) (1856년) |
이너 템플 (Inner Temple)[1] (변호사 자격 취득) (1863년) | |
대표작 | 군함 피나포어 (H.M.S. Pinafore) (1878년) |
펜잔스의 해적[2] (The Pirates of Penzance) (1879년) | |
인내 (Patience) (1881년) | |
미카도 (The Mikado) (1885년) | |
수훈 | 기사작위 (1907년) |
서명 |
[clearfix]
1. 소개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극작가, 오페라 대본 작가, 시인이자 삽화가. 당대 최고의 극작가였으며, 작곡가 아서 설리번과의 협업으로 유명하다. 또한 그의 작품들은 오스카 와일드,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후대의 극작가들에게 지대한 영감을 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3]2. 생애
1836년 런던에서 해군 군의관 출신 아버지와 약재상 집안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불행히도 그의 부모님은 서로 떨어져 지내는 일이 많았으며 사이도 원만하지 못했다. 이런 연유로 어린 윌리엄은 아버지, 어머니 둘 모두와 평생 친밀한 관계는 맺지 못했다. 특히 1876년 그의 부모님이 이혼했을때, 어머니와의 관계는 더욱 더 경직된다.1838년 부모님과 함께 프랑스로 2년간 여행을 다녀온 후 떠돌다 1847년부터 자신이 태어난 런던에 다시 정착하게 되고 학업을 이어나가게 된다. 웨스턴 그래머 스쿨(Western Grammar School)에 입학한 후 곧 그레이트 일링 스쿨( Great Ealing School)[4]으로 옮겨 수학했으며, 그 곳에서 학내 예술 공연 및 미술 전시를 주도하는 학생 대표직을 맡는다. 그 후 킹스 칼리지 런던에 입학하여 1856년에 졸업한다. 그 후 추밀원(Privy Council)에서 서기보로 4년간 일하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그만두고 민병대(Militia)[5]에 입대하여 1878년에 대위로 전역한다. 민병대로 활동할 당시인 1863년, 이너 탬플( Inner Temple)[6]에서 법학 교육을 마친 그는 짧게 나마 법정 변호사(Barrister)로도 활동하는데 그리 성공적이진 못했다.
그 후, 짧은 행정 관료와 법조인으로서의 커리어를 접어두고 (전부터 쭉 해오고는 있었지만) 어릴적부터 관심있고 또 본인이 잘했던 글쓰기와 삽화에 본격적으로 집중하기 시작한다. 그가 글을 처음 쓸 시기엔 주로 운을 맞춘 2행연구나 동음이의어 말장난, 희문(戱文)이 한창 유행하던 시기로 그의 초기작들엔 이러한 유행을 반영한 짧은 희극들이 주를 이뤘다. 당시 그가 발표한 다수의 사설이나 시, 삽화, 및 공연 논평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허나 곧 이런 문체에서 벗어나 당시의 생활양식을 풍자하는 예술적 문체를 완성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