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 |||||
국제음성기호 |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에스파냐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 중국어 | 폴란드어 | 체코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루마니아어 |
헝가리어 | 스웨덴어 | 노르웨이어 | 덴마크어 |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
타이어 |
베트남어 | 포르투갈어 | 네덜란드어 | 러시아어 |
라틴어 ·
그리스어 · 기타 언어 표기 |
언어별 미비점 |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 중 베트남어를 표기하는 방법.국립국어원이 2004년 12월 20일 문화관광부 고시 제 2004-11호로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고시》를 발표하면서 확정되었다.
2. 규정
2.1. 베트남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 | 한글 | 보기 | ||
모음 앞 | 자음 앞 · 어말 | |||
자음 | b | ㅂ | – | Bao 바오, bo 보 |
c, k, q | ㄲ | ㄱ | cao 까오, khac 칵, kiêt 끼엣, lăc 락, quan 꽌 | |
ch | ㅉ | ㄱ | cha 짜, bach 박 | |
d, gi | ㅈ | — | duc 죽, Dương 즈엉, gia 자[1], giăy 저이 | |
đ | ㄷ | — | đan 단, Đinh 딘 | |
g, gh | ㄱ | — | gai 가이, go 고, ghe 개, ghi 기 | |
h | ㅎ | — | hai 하이, hoa 호아 | |
kh | ㅋ | — | Khai 카이, khi 키 | |
l | ㄹ, ㄹㄹ | — | lâu 러우, long 롱, My Lay 밀라이 | |
m | ㅁ | ㅁ | minh 민, măm 맘, tôm 똠 | |
n | ㄴ | ㄴ | Nam 남, non 논, bun 분 | |
ng, ngh | 응 | ㅇ | ngo 응오, ang 앙, đông 동, nghi 응이, nghê 응에 | |
nh | 니 | ㄴ | nhât 녓, nhơn 년, minh 민, anh 아인 | |
p | ㅃ | ㅂ | put 뿟, chap 짭 | |
ph | ㅍ | — | Pham 팜, phơ 퍼 | |
r | ㄹ | — | rang 랑, rôi 로이 | |
s | ㅅ | — | sang 상, so 소 | |
t | ㄸ | ㅅ | tam 땀, têt 뗏, hat 핫 | |
th | ㅌ | — | thao 타오, thu 투 | |
tr | ㅉ | — | Trân 쩐, tre 째 | |
v | ㅂ | — | vai 바이, vu 부 | |
x | ㅆ | — | xanh 싸인, xeo 쌔오 | |
모음 | a | 아 | an 안, nam 남 | |
ă | 아 | ăn 안, Đăng 당, măc 막 | ||
â | 어 | ân 언, cân 껀, lâu 러우 | ||
e | 애 | em 앰, cheo 째오 | ||
ê | 에 | êm 엠, chê 쩨, Huê 후에 | ||
i | 이 | in 인, dai 자이 | ||
y | 이 | yen 옌, quy 꾸이 | ||
o | 오 | ong 옹, bo 보 | ||
ô | 오 | ôm 옴, đông 동 | ||
ơ | 어 | ơn 언, sơn 선, mơi 머이 | ||
u | 우 | um 움, cung 꿍 | ||
ư | 으 | ưn 은, tư 뜨 | ||
이중 모음 | ia | 이어 | kia 끼어, ria 리어 | |
iê | 이에 | chiêng 찌엥, diêm 지엠 | ||
ua | 우어 | lua 루어, mua 무어 | ||
uô | 우오 | buôn 부온, quôc 꾸옥 | ||
ưa | 으어 | cưa 끄어, mưa 므어, sưa 스어 | ||
ươ | 으어 | rươu 르어우, phương 프엉 |
2.2. 표기 세칙
-
제1항: nh는 이어지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받침 ‘ㄴ’으로 적되, 그 앞의 모음이 a인 경우에는 a와 합쳐 ‘아인’으로 적는다.
Nha Trang 냐짱 Nhơn Trạch 년짝 Hô Chi Minh 호찌민 Thanh Hoa 타인호아 Đông Khanh 동카인 -
제2항: qu는 이어지는 모음이 a일 경우에는 합쳐서 ‘꽈’로 적는다.
Quang 꽝 hat quan ho 핫꽌호 Quôc 꾸옥 Quyên 꾸옌 -
제3항: 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yên 옌 Nguyên 응우옌 -
제4항: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klông put 끌롱뿟 Pleiku 쁠래이꾸 Ha Long 할롱 My Lay 밀라이
다만, 인명의 성과 이름은 별개의 단어로 보아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Thê Lư 테르 Chê Lan Viên 쩨란비엔
3. 문제점
3.1. nh의 표기
-
초성
như의 표기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 -
종성
북부 방언에서 inh과 ynh은 [iŋ], anh은 [ajŋ], ênh은 [əjŋ]으로 발음된다. anh은 아인'으로 적으면서 ênh은 '어인'이 아니라 중부나 남부 발음에 가까운 '엔'으로 적게 하고 있다.
3.2. qu의 표기
qua는 한 음절로 적지만 quê 등은 합쳐 적지 않는다.3.3. e, ê의 표기
e(/ɛ/)는 ㅐ로 적고 ê(/e/)는 ㅔ로 적는데, 이는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서 /ɛ/와 /e/를 모두 ㅔ로 적는 것과 상반된다. /ɛ/, /e/가 각각 한국어의 ㅐ, ㅔ에 대응되는 것은 맞는데, /ɛ/를 다른 언어의 표기법에서는 ㅔ로 적도록 하면서 베트남어 표기법에서는 ㅐ로 적는 것은 모순이다. 또한 철자가 e인 것은 다른 언어의 한글 표기법에서 보통 ㅔ로 적기에, e를 ㅐ로 적는 것은 그다지 직관적이지 못하다.의외로 많은 언어에서 /ɛ/와 /e/가 구분되지 않고 서로가 서로의 변이음 취급[2]하며 철자상으로도 구분하지 않는데, 베트남어는 이와 달리 서로 변별력을 가지며 철자도 항상 다르기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어처럼 /ɛ/와 /e/가 구분되는 언어인 태국어 표기법에서도 역시 แ /ɛ/는 ㅐ, เ /e/는 ㅔ로 구분해서 적고 있다.
3.4. 인명 표기 문제
베트남어 인명은 보통 성씨 한 음절, middle name 한 음절, 이름(first name) 한 음절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는 이름(first name)으로만 부른다. 다만, 여기서 middle name은 서양의 middle name과는 성격이 다르며, 한국과 동일하게 중국식 한자 성명에서 유래되어 항렬자 등의 역할을 하는 가운데 글자로서, 친밀한 사이에서 이름의 가운데 글자를 부르지 않는 관습이 정착한 것이다.[3]한편,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은 인명의 성과 이름의 띄어쓰기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현행 어문 규정에서 성과 이름 사이의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한글 맞춤법의 제5장 48항의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가 전부이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도 맞춤법의 일부인 이상 원칙적으로는 성과 이름을 붙여 쓰는 것이 규정상 옳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물론 국립국어원에서도 서양이나 일본 인명에 대해서는 이를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는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인명뿐이다. 그리하여 베트남어 인명은 원칙상 전부 붙여 적는다. 그런데 이것 때문에 성씨와 middle name, 이름(first name)의 경계를 알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베트남어의 한 음절은 한국어의 한 음절로 대응되지 않고, 한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으로 인해 두세 음절로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 당장 한 음절인 Nguyễn만 해도 한글로 적으면 '응우옌'이라는 세 음절로 늘어나고, Nhưng은 '니응'이라는 두 음절로 늘어난다.
예를 들어 Nguyễn Văn Thiệu의 경우 전부 붙여서 응우옌반티에우로 적는 것이 현행 규정인데, 베트남어 인명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어디까지가 성이고 어디까지가 middle name이고 어디까지가 이름(first name)인지 파악할 수 없고, 따라서 어떻게 불러야 할지도 알 수 없다. 때문에 '응우옌 반 티에우'와 같이 베트남어의 모든 음절 사이를 아예 전부 띄어 쓰거나, ‘응우옌 반티에우’와 같이 적어도 성만은 띄어 쓰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있다.
[1]
성조 부호가 i에 붙은 경우에는 '지아'로 발음된다.
[2]
예를 들어, 영어에서 가끔 나오는 [ɛ\] 발음을 대부분의 사전에선 보통 다 [e\]로 써놓으며, 그리스어에서도 두 발음이 통합되었다.
[3]
한국에서도 ‘김민철’이라는 사람의 이름을 부를 때 친한 사이에서 “철아”라고 부르는 관습을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