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 |||||
국제음성기호 | 영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에스파냐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 중국어 | 폴란드어 | 체코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루마니아어 |
헝가리어 | 스웨덴어 | 노르웨이어 | 덴마크어 |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
타이어 |
베트남어 | 포르투갈어 | 네덜란드어 | 러시아어 |
라틴어 ·
그리스어 · 기타 언어 표기 |
언어별 미비점 |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 중 태국어를 표기하는 방법.국립국어원이 2004년 12월 20일 문화관광부 고시 제 2004-11호로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고시》를 발표하면서 확정되었다. 규정에는 에스파냐어와 마찬가지로 원어 이름을 따라서 태국어가 아니라 타이어로 되어 있다.
2. 규정
태국어 외래어 표기법은 태국 문자가 아닌 태국 정부에서 공표한 왕립 학술원 표기법(Royal Thai General System of Transcription, RTGS) 철자에 기초해 정해졌다. 단 발음대로 적는 RTGS와 달리 로마자 표기에서는 종성 발음 변화를 무시했고, จ /tɕ/는 ISO 11940-2처럼 유기음 /tɕʰ/와의 구별을 위해 c로 표기한다.2.1. 타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colbgcolor=#f5f5f5,#2d2f34> | 로마자 | 타이어 자모 | 한글 | 보기 | |
모음 앞 | 자음 앞·어말 | ||||
자음 | b | บ | ㅂ | ㅂ | baht 밧, Chonburi 촌부리, Kulab 꿀랍 |
c | จ | ㅉ | – | Caolaw 짜올라우[1] | |
ch | ฉ, ช, ฌ | ㅊ | ㅅ | Chiang Mai 치앙마이, buach 부앗 | |
d | ฎ, ด | ㄷ | ㅅ | Dindaeng 딘댕, Rad Burana 랏부라나, Samed 사멧 | |
f | ฝ, ฟ | ㅍ | – | Maefaluang 매팔루앙 | |
h | ห, ฮ | ㅎ | – | He 헤, Lahu 라후, Mae Hong Son 매홍손 | |
k | ก | ㄲ | ㄱ | Kaew 깨우, malako 말라꼬, Rak Mueang 락므앙, phrik 프릭 | |
kh | ข, ฃ, ค, ฅ, ฆ | ㅋ | ㄱ | Khaosan 카오산, lakhon 라콘, Caroenrachphakh 짜른랏팍 | |
l | ล, ฬ | ㄹ, ㄹㄹ | ㄴ | lamyai 람야이, Thalang 탈랑, Sichol 시촌 | |
m | ม | ㅁ | ㅁ | Maikhao 마이카오, mamuang 마무앙, khanom 카놈, Silom 실롬 | |
n | ณ, น | ㄴ | ㄴ | Nan 난, Ranong 라농, Arun 아룬, Huahin 후아힌 | |
ng | ง | 응 | ㅇ | nga 응아, Mongkut 몽꿋, Chang 창 | |
p | ป | ㅃ | ㅂ | Pimai 삐마이, Paknam 빡남,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 |
ph | ผ, พ, ภ | ㅍ | ㅂ | Phuket 푸껫, Phicit 피찟, Saithiph 사이팁 | |
r | ร | ㄹ | ㄴ | ranat 라낫, thurian 투리안 | |
s | ซ, ศ, ษ, ส | ㅅ | ㅅ | Siam 시암[2], Lisu 리수, Saket 사껫 | |
t | ฏ, ต | ㄸ | ㅅ | Tak 딱, Satun 사뚠, natsin 낫신, Phuket 푸껫 | |
th | ฐ, ฑ, ฒ, ถ, ท, ธ | ㅌ | ㅅ | Tham Boya 탐보야, Thon Buri 톤부리, thurian 투리안, song thaew 송태우, Pathumthani 빠툼타니, Chaiyawath 차이야왓 | |
반모음 | y | ญ, ย | 이 | lamyai 람야이, Ayutthaya 아유타야 | |
w | ว | 오, 우 | Wan Songkran 완송끄란, Malaiwong 말라이웡, song thaew 송태우 | ||
모음 | a | -ะ, -า | 아 | Akha 아카, kapi 까삐, lang sad 랑삿, Phanga 팡아 | |
e | เ-ะ, เ- | 에 | Erawan 에라완, Akhane 아카네, Panare 빠나레 | ||
i | -ิ, -ี | 이 | Sire 시레, linci 린찌, Krabi 끄라비, Lumphini 룸피니 | ||
o | โ-ะ, โ-, เ-าะ, -อ | 오 | khon 콘, Loi 로이, namdokmai 남독마이, Huaito 후아이또 | ||
u | -ุ, -ู | 우 | thurian 투리안, Chonburi 촌부리, Satun 사뚠 | ||
ae | แ-ะ, แ- | 애 | kaeng daeng 깽댕, Maew 매우, Bangsaen 방샌, Kaibae 까이배 | ||
oe | เ-อะ, เ-อ | 으 | Mai Mueangdoem 마이 므앙듬, Amphoe 암프 | ||
ue | -ึ, -ื | 으 | kaeng cued 깽쯧, Maeraphueng 매라픙, Buengkum 븡꿈 |
2.2. 표기 세칙
-
제1항 유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3]를 붙여 적는다.
Krung Thep 끄룽텝
Phraya 프라야
Songkhram 송크람
||-
제2항 모음 사이에서 l은 ‘ㄹㄹ’로, ll은 ‘ㄴㄹ’로 적는다.
malako 말라꼬
Sillapaacha 신라빠차[aa]
Kallasin 깐라신[l]
||-
제3항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tt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에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Pattani 빠따니
Ayutthaya 아유타야
Thappharangsi 타파랑시
Thammamongkhon 탐마몽콘
Lanna Thai 란나타이
||-
제4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c 대신 쓰이는 j는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Jit Phumisak 찟 푸미삭
||-
제5항 sr와 thr는 모음 앞에서 s와 마찬가지로 ‘ㅅ’으로 적는다.
Sri Chang 시창
Bangthrai 방사이
||-
제6항 반모음 y는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는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는 합쳐 적는다.
yai 야이
Adunyadet
아둔야뎃
lamyai 람야이
||-
제7항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 kh가 있으면 ‘꽈’, ‘콰’, ‘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ukhumwit 수쿰윗
Huaikhwang 후아이쾅
Maenamkhwe 매남퀘[e]
||-
제8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사용되는 or은 ‘오’로 적고, oo는 ‘우’로, ee는 ‘이’로 적는다.
Somboon 솜분
Meechai 미차이
||====# 보기 단어의 태국 문자 표기 #====
한글 표기 | RTGS | 태국 문자 |
아둔야뎃 | Adunyadet | อดุลยเดช |
아유타야 | Ayutthaya | อยุธยา |
방사이 | Bangsai | บางไทร |
짠타핌파 | Chanthaphimpha | จันทพิมพะ |
찟 푸미삭 | Chit Phumisak | จิตร ภูมิศักดิ์ |
후아이쾅 | Huaikhwang | ห้วยขวาง |
람야이 | lamyai | ลำใย |
인타라숙시 | Intharasuksi | อินทรสุขศร |
깐라신[l] | Kalasin | กาฬสินธุ์ |
카오니야오[8] | khao niao | ข้าวเหนียว |
꼰 | Kon | กร |
끄룽텝 | Krungthep | กรุงเทพฯ |
란나타이 | Lanna Thai | ล้านนาไทย |
매남퀘[e] | Maenam Khwae | แม่น้ำแคว |
말라꼬 | malako | มะละกอ |
미차이 | Michai | มีชัย |
나카쁘라팁 | Nakhaprathip | นาคะประทีป |
빠따니 | Pattani | ปัตตานี |
프라야 | Phraya | พระยา |
시창 | Si Chang | ศรีชัง |
신라빠차[aa] | Sinlapaacha | ศิลปอาชา |
솜분 | Sombun | สมบุณ |
송크람 | Songkhram | สงคราม |
습웡리 | Suepwongli | สืบวงศ์ล |
수쿰윗 | Sukhumwit | ถนนสุขุมวิท |
수윗 쿤끼띠 | Suwit Khunkitti | สุวิทย์ คุณกิตติ |
탐마몽콘 | Thammamongkhon | ธรรมมงคล |
타파랑시 | Thappharangsi | ทัพพะรังส |
야이 | yai | ใหญ่ |
3. 문제점
- ว /w/는 종성일 때는 RTGS에서 -o로 적으나 표기법에서는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아 규정의 보기에는 -w '우'로 표기되었고, 용례에서는 단어마다 -o '오'와 -w '우'가 뒤섞여 표기가 통일되어 있지 않다.
- 제3항에서 같은 계열의 자음이 연달아 오면 겹쳐 적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tch-도 로마자 철자에서 직관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뿐 -pph-, -tth-와 같은 케이스에 해당되나 언급이 없다.
-
세칙에서 통용 로마자 표기를 다루고 있으나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일단 태국 문자 표기와 통용 로마자 간 대응을 모두 다루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저 세칙을 참고해도 Bhumibhol Adulyadej만 보고는
푸미폰 아둔야뎃이라고 옮겨적을 수 없다.
통용 로마자 표기에 대한 모든 사항을 규정해도 문제이다. 궁극적으로 통용 표기만 보고서 태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통용 로마자는 영어식 철자로 표기해 영어에 없는 음운 구별을 복원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다 아예 원어인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의 발음을 묘사해서 태국어 발음과 동떨어진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로 당시 왕세자였던 라마 10세의 이름인 와치랄롱꼰([watɕʰiraːloŋkɔːn])을 로마자 표기인 Vajiralongkorn만 보고 제4항을 적용해 '와찌랄롱꼰'으로 잘못 심의했다가 고친 사례가 있다. -
현행 표기법은 /ɔ/, /ɔː/로 발음되는 เ◌าะ, -อ를 โ◌ะ(/o/), โ-(/oː/)와 구분하지 않고 '오'로 적는데, 이를 '어'로 적어 โ◌ะ, โ-와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
관련 기사) 하지만 RTGS에서도 1968년 이후로 /ɔ/와 /o/를 구분하지 않고 둘 다 o로만 표기하며, 외래어 표기법의 국제 음성 기호 대조표에서도 [ɔ] 발음은 '오'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통용 로마자 표기에서는 /ɔː/를 주로 or로 표기하나 o로 표기할 때도 있다.
중국어 표기법에서 '어'로 표기하는 /ɤ/ 발음은 통용 한글 표기에서 /ɔ/를 '어'로 적는 경향이 있는 것을 의식했는지 '어'가 아니라 '으'로 표기하게 되어 /ɯ/와 구분되지 않게 되었다.
3.1. 일부 태국어 자모의 한글 대조표 부재
대조표가 태국 문자가 아닌 태국어 로마자 전사 표기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신경을 쓰지 못했는지 다음 문자들이 대조표에서 누락되어 있다. (동그라미 자리에는 자음이 들어가서 초성과 종성을 이룬다.)- 암(am): ำ
- 아오(ao): เ◌า
- 아우(au): ◌าว, ◌าว
- 에오(eo): เ◌็ว
- 에우(eu): เ◌ว, แ◌ว
- 이아(ia): เ◌อะ, เ◌อ, เ◌ิ◌
- 이아우(iau): เ◌ียว*
- 이우(iu): ◌ิว
- 오(o): ◌็
- 르(rue) : ฤ, ฤๅ
- 르(lue) : ฦ, ฦๅ
- 으(ue): ◌ือ
- 우아(ua): ◌ัวะ, ◌ว
- 으아(uea): เ◌ือะ, เ◌ือ
- 오이(oi): ◌็อย, ◌อย, โ◌ย
- 우아이(uai): ◌วย*
- 으아이(ueai): เ◌ือย
- 우이(ui): -ูย, ◌ุย
저 문자들은 대응하는 RTGS 표기를 보면 모두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태국어의 공식 문자는 로마자가 아니라 엄연히 태국 문자이므로 로마자 표기 없이 태국 문자만 표기되어 있으면 옮길 수 없으며, 더불어 태국인들은 실제 언어 생활에서 공식 태국어 로마자 표기법을 잘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1]
태국 문자 표기는 หาดเจ้าหลาว로, 태국에 있는 해변의 이름이다. 대조표의 보기에는 ว /w/를 w로 적어 'Caolaw 짜올라우'로 되어 있으나 용례집에서는 'Caolao 짜올라오'로 표기하고 있다. RTGS와 ISO 11940-2로는 -าว를 aw가 아니라 ao로 적는다.
[2]
시암의 태국어 이름 สยาม은 사얌([sajaːm\])으로 발음된다.
[3]
원문에는 따옴표가 전부 여는 작은따옴표(‘)로 시작해서 아포스트로피(')로 끝나는 오타가 있다.
[aa]
태국의 정치인 반한 신빠아라차(บรรหาร ศิลปอาชา / Banharn Silpa-archa)의 성씨이다. 통용 로마자 철자에도
-가 들어가 음절이 구분되어 있고 표기 세칙에도 별다른 규정이 없는데도 무의식적으로 장모음 표기라고 생각했는지 '신라빠아차'가 아니라 '신라빠차'로 잘못 표기되었다.
[l]
태국 북동부에 있는 주 이름이자 해당 주의 주도이다. 원래 이름은 깔라신(กาฬสินธุ์ / Kalasin)이나 로마자 철자를 Kallasin으로 오타를 냈고 한글 표기도 '깐라신'으로 오기되었다.
[e]
태국의 도로 이름으로, 옆에 있는 '쾌 강(River Kwai)'의 이름을 딴 것이다. 원래 이름은 매남쾌(แม่น้ำแคว / Maenam Kwai)이나 오기되었다.
[l]
[8]
찹쌀이나 찹쌀밥을 뜻하는 ข้าวเหนียว는 카오니아오([kʰaːw niaw\])로 발음된다.
[e]
[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