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대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초대 | 임시 | 제2대 |
칭기즈 칸 | 툴루이 | 오고타이 칸 |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귀위크 칸 | 몽케 칸 | 세첸 칸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올제이투 칸 | 쿨루크 칸 | 부얀투 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게겐 칸 | 이순테무르 칸 | 아슈케베 칸 | |
제12대 | 제13대 | 복위 | |
자야아투 칸 | 후투그투 칸 | 자야아투 칸 |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린칠반 칸 | 우카가투 칸 | 빌레그투 칸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우스칼 칸 | 조리그투 칸 | 엥케 칸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니굴세그치 칸 | 토코칸 칸 | 오루크테무르 칸 |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올제이테무르 칸 | 델베그 칸 | 에세쿠 칸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아다이 칸 | 타이순 칸 | 오케크트 칸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다이온타슨다이 칸 | 오헤크트 칸 | 멀런 칸 |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만돌 칸 | 다얀 칸 | 바르스볼라드 칸 |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알라그 칸 | 구덴 칸 | 자삭투 칸 | |
제38대 | 제39대 | - | |
부얀 세첸 칸 | 링단 칸 |
|
|
비정통 | |||
아리크부카 · 카이두 | |||
원 · 몽강국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 }}}}}}}}}}}} |
<colbgcolor=#004db1> 몽골 제국 제19대 대칸 ᠡᠩᠬᠡ ᠬᠠᠭᠠᠨ| 엥케 칸 |
|
|
|
칸호 |
엥케 칸(Энх хаан) 恩克汗(은극한) ᠡᠩᠬᠡ ᠬᠠᠭᠠᠨ |
성 |
보르지긴(Боржигин) (孛兒只斤 / 패아지근) ᠪᠣᠷᠵᠢᠭᠢᠨ |
휘 |
엥케(Энх) 恩克(은극) ᠡᠩᠬᠡ |
종교 | 텡그리교 |
생몰 기간 | ? ~ ? |
재위 기간 | 1392년 ~ 1394년 |
[clearfix]
1. 개요
몽골 제국의 제19대 대칸.아리크부카의 후손이었던 조리그투 칸 예수데르의 아들이었다.
2. 생애
역사적인 기록이나 관련된 문헌 자료가 매우 적다 못해 거의 없다시피 한 인물이다. 내몽골 출신의 역사학자인 작치드 세첸(札奇斯欽)이 저술한 《몽고황금사역주》[1] 등에 기반하여 천원제 우스칼 칸 토구스테무르를 죽이고 대칸에 오른 조리그투 칸 예수데르의 장남으로 알려져 있으나, 《몽고원류》 등에 따르면 엥케 칸은 조리그투 칸과 동일 인물이다는 설도 있이 있어서 엥케 조리그투 칸(恩克 卓里克圖 汗)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바오인후(薄音湖), 우란(乌兰)[2] 등의 학자들에 따르면 두 사람이 2대가 맞다고 한다. 휘인 '엥케'(Engke)는 몽골어로 ' 평화'를 의미한다.한 몽골 역사학자에 따르면, 명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중앙아시아의 정복군주인 티무르와 동맹을 맺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재위하는 동안의 치적 정보와 활동 기록이 매우 부족하며, 정확한 생몰년도 역시 알 수 없다. 재위기간은 《 황금사》에 따르면 4년 동안이라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