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1:38:37

천순제(원)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몽골 대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초대 임시 제2대
칭기즈 칸 툴루이 오고타이 칸
제3대 제4대 제5대
귀위크 칸 몽케 칸 세첸 칸
제6대 제7대 제8대
올제이투 칸 쿨루크 칸 부얀투 칸
제9대 제10대 제11대
게겐 칸 이순테무르 칸 아슈케베 칸
제12대 제13대 복위
자야아투 칸 후투그투 칸 자야아투 칸
제14대 제15대 제16대
린칠반 칸 우카가투 칸 빌레그투 칸
제17대 제18대 제19대
우스칼 칸 조리그투 칸 엥케 칸
제20대 제21대 제22대
니굴세그치 칸 토코칸 칸 오루크테무르 칸
제23대 제24대 제25대
올제이테무르 칸 델베그 칸 에세쿠 칸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아다이 칸 타이순 칸 오케크트 칸
제29대 제30대 제31대
다이온타슨다이 칸 오헤크트 칸 멀런 칸
제32대 제33대 제34대
만돌 칸 다얀 칸 바르스볼라드 칸
제35대 제36대 제37대
알라그 칸 구덴 칸 자삭투 칸
제38대 제39대 -
부얀 세첸 칸 링단 칸 에제이
비정통
아리크부카 · 카이두
· 몽강국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원 황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몽골 제국 중원 통치
초대

세조
제2대

성종
제3대

무종
제4대

인종
제5대

영종
제6대

진종
제7대

천순제
제8대

문종
제9대

명종
복위

문종
제10대

영종
제11대

혜종
몽골 고원 할거 이후
초대

혜종
제2대

소종
제3대

천원제
<colbgcolor=#004db1> 몽골 제국 · 원 추존 황제 · 비황족 추존 황제 · 원 황후 · 원말명초 주요 세력
몽강국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colbgcolor=#004db1> 원 제7대 황제
천순제 | 天順帝
몽골 제국 제11대 대칸
라기바흐 칸 | ᠷᠠᠽᠢᠪᠠᠭ ᠬᠠᠭᠠᠨ
파일:attachment/Ragibagh.jpg
출생 1320년
원나라 진왕부
즉위 1328년 10월
원나라 상도
(現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사망 1328년 11월 14일 (향년 8세)
재위기간 몽골 제국 대칸
1328년 10월 4일 ~ 1328년 11월 14일
(1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db1> 보르지긴(Боржигин)
孛兒只斤(패아지근)
ᠪᠣᠷᠵᠢᠭᠢᠨ
아슈케베(Есөн Төмөр)
阿速吉八(아속길팔)
ᠷᠠᠵᠠᠪᠠᠭ
황후 미상
부모 부황 진종
모후 바부칸 황후
묘호 없음
시호 덕효황제(德孝皇帝)[1]
제호 소제(少帝)
폐제(廢帝)
칸호 아슈케베 칸
阿速吉八汗(아속길팔한)
ᠷᠠᠵᠠᠪᠠᠭ ᠬᠠᠭᠠᠨ
연호 천순(天順) : 1328년 }}}}}}}}}

1. 개요2. 생애3. 휘 표기

[clearfix]

1. 개요

몽골 제국의 제11대 대칸이자, 원나라의 제7대 황제. 묘호를 받지 못하고, 시호는 덕효황제(德孝皇帝). 휘는 아슈케베(阿速吉八)[A]. 진종(晉宗)의 장남. 폐위가 되어서, 묘호를 못받았다. 그래서 연호에서 따온 '천순제'로 주로 불린다.

2. 생애

1328년 9월, 상도(上都)에서 좌승상 다울라트 샤(倒剌沙)[3]에 의해 아슈케베는 칸으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2개월 후에 엘테무르 투그테무르가 반란을 일으켰고, 이 때 패배해서 폐위되었다. 8세의 어린애였으므로 실권을 휘두를 수는 없었고, 폐위 이후의 행적은 기록되지 않아 미상이나 정황싱 폐위 때에 살해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작 1개월 재위하고 쫒겨난 황제라 원사에서는 아슈케베를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고, 그래서 본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3. 휘 표기

천순제의 휘는 ‘아슈케베’이거나 ‘라기바흐’로 표기된다. 원사 태정제 본기에서는 천순제의 휘를 아슈케베라고 표기하는데 반해, 원사 종실세계표에서는 천순제의 휘를 라기바흐로 표기하고 있다. 몽고원류에서는 천순제의 휘를 라기바흐로 표기하고 있어, 라기바흐 쪽이 휘일 가능성이 있지만 의견은 분분하다.

동일한 이름에 대해 음차 표기만 다를 뿐이라는 의견이 많다. 중세 몽골인들이 티베트어를 음차할 때 자음 r 앞에 모음을 붙이는 일이 흔했기 때문이다. 速을 剌의 오기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럴 경우 아리가바그(Arigabag, 阿剌吉八)[4]가 되어 라기바흐/그(Ragibagh)와 거의 같아진다.

라기바흐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도 역시 의견이 분분하다. 티베트어로 된 역사서 《홍사(紅史)》에서는 ར་ཁྱི་ཕག(ra khyi phag)이라고 표기했는데, 우습게도 저 표기를 곧이곧대로 해석하면 ' 염소 돼지'라는 뜻이 된다. 산스크리트어 라자피카(rāja-pika)에서 유래한 이름이란 설도 있는데 이에 따르면 뻐꾸기왕(king cuckoo)이란 뜻이 된다.

[1] 얼마 안가 추탈되었다. [A] 휘가 라기바흐로 표기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3] 이슬람 계열 출신의 원나라 관원이다. [4] 출처인 영문 위키백과에서 같은 한자에 대해 다른 표기를 적어놓았는데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한자 발음을 그대로 몽골어로 옮긴다면 아라기바흐(Aragibagh)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