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6 15:59:07

어른도감

<colbgcolor=#d5fcc4><colcolor=#000> 어른도감 (2017)
Adulthood
파일:어른도감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김인선
각본 김인선, 박근범
제작 유영식, 제정주
출연 엄태구, 이재인, 서정연
음악 장영규
촬영 기간 2016년 12월 3일 ~ 2017년 1월 15일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영화아카데미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 진진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8월 23일
상영 시간 92분
제작비 7,000만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069명 ( 2019년 4월 21일 기준)
공식 홈페이지
상영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평가7. 흥행8. 기타

1. 개요

2017년에 제작된 한국 영화. 2017년에 완성되어서 2017년 영화이나, 영화관 개봉은 2018년에 와서야 가능해졌다. 영화제 상영은 2017년부터 진행되었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도대체 진짜 어른 맞아요?”

열 네 살 경언은 아버지 장례식장에서 생면부지의 삼촌 재민을 만난다.
얼치기 사기꾼 재민은 경언 앞에 남겨진 보험금을 모두 잃고,
두 사람은 돈을 마련하기 위해 동네 약사를 상대로 부녀를 가장한 발칙한 사기극을 벌이게 된다.

4. 등장인물

  • 엄태구 : 황재민 역
  • 이재인 : 황경언 역
  • 서정연 : 오점희 역
  • 김희창 : 용식 역
  • 황정민 : 은블리 역
  • 박성연 : 소머즈 역
  • 송별 : 조소연 역
  • 이영숙 : 점희 큰올케 역
  • 하복음 : 산악회 회원 역
  • 황순미 : 담임선생님 역
  • 이동욱 : 부동산중개인 역
  • 김종여 : 횟집사장 역
  • 김호연 : 약국여자 역
  • 오운백 : 점희아버지 역
  • 박근범 : 집배원 역
  • 김준범 : 점희 작은오빠 역
  • 이윤희 : 점희 큰오빠 역
  • 손강국 : 광개토형 역
  • 홍원기 : 집주인 역
  • 공상아 : 소영 역
  • 최재섭 : 소영남편 역
  • 이정은 : 판사 역
  • 유정온 : 보험사콜센터 목소리 역
  • 최덕문 : 경언아빠 역 (우정출연)

5. 줄거리

6.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2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74305"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74305;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74305|{{{#!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89 / 10
관람객
8.45 / 10
네티즌
8.32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89 / 10
관람객
8.45 / 10
네티즌
8.3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7.8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93%



7. 흥행

제작비는 7,000만 대한민국 원으로, 손익분기점은 1억 3000만 원이다. [[http://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00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133명 1,133명 미집계 8,860,600원 8,860,600원
1주차 2018-08-23. 1일차(목) 424명 -명 21위 3,573,300원 -원
2018-08-24. 2일차(금) 391명 22위 3,416,300원
2018-08-25. 3일차(토) 722명 20위 6,243,700원
2018-08-26. 4일차(일) 572명 21위 5,477,100원
2018-08-27. 5일차(월) 257명 25위 1,889,900원
2018-08-28. 6일차(화) 261명 26위 1,944,300원
2018-08-29. 7일차(수) 303명 27위 1,821,300원
2주차 2018-08-30. 8일차(목) -명 -명 -위 -원 -원
2018-08-31. 9일차(금) -명 -위 -원
2018-09-01. 10일차(토) -명 -위 -원
2018-09-02. 11일차(일) -명 -위 -원
2018-09-03. 12일차(월) -명 -위 -원
2018-09-04. 13일차(화) -명 -위 -원
2018-09-05. 14일차(수) -명 -위 -원
3주차 2018-09-06. 15일차(목) -명 -명 -위 -원 -원
2018-09-07. 16일차(금) -명 -위 -원
2018-09-08. 17일차(토) -명 -위 -원
2018-09-09. 18일차(일) -명 -위 -원
2018-09-10. 19일차(월) -명 -위 -원
2018-09-11. 20일차(화) -명 -위 -원
2018-09-12. 21일차(수) -명 -위 -원
4주차 2018-09-13. 22일차(목) -명 -명 -위 -원 -원
2018-09-14. 23일차(금) -명 -위 -원
2018-09-15. 24일차(토) -명 -위 -원
2018-09-16. 25일차(일) -명 -위 -원
2018-09-17. 26일차(월) -명 -위 -원
2018-09-18. 27일차(화) -명 -위 -원
2018-09-19. 28일차(수)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7,069명, 누적매출액 53,604,700원[1]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걸 인 더 포토그래프, 나를 차버린 스파이, 너의 결혼식, 메가 헤드 샤크(이상 2018년 8월 22일),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디셈버 스카이, 꽃찌: 독이 있는 사랑, 나이트메어 비긴즈, 러브 인 뉴욕, 레전드 인 더 스카이, 마일 22, 빅 스코어, 세일즈맨의 전설, 어른도감, 위스키 밴디트, 이미그레이션 게임, 죽음의 리무진, 추룡,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포레스트: 위험한 신고식, 픽시, 항마전: 황금룡의 부활, 호스틸, 휘트니(이상 2018년 8월 23일)까지 총 23편이다.

8. 기타

  • 김인선 감독의 첫 장편 데뷔작이다. 이전에는 알레르기, 아빠의 맛, 수요기도회 등의 단편으로 어느 정도 인디영화 팬들 사이에서 이름을 알렸었다.

[1] ~ 2019/04/21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