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 대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기욤 1세 | 기욤 2세 | 기욤 3세 | 아돌프 | |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기욤 4세 | 마리아델라이드 | 샤를로트 | 장 | |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앙리 |
}}} }}}}}} |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룩셈부르크 나사우 왕조 제6대 대공 앙리 Henri, Groussherzog vu Lëtzebuerg |
|||
|
|||
출생 | 1955년 4월 16일 ([age(1955-04-16)]세) | ||
룩셈부르크 베츠도르프 베츠도르프 성[1] | |||
재위기간 | 룩셈부르크 대공 | ||
2000년 10월 7일 ~ 2025년 10월 3일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가문 |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
이름 |
앙리 알베르 가브리엘 펠릭스 마리 기욤 (Henri Albert Gabriel Félix Marie Guillaume) |
||
아버지 | 룩셈부르크 대공 장 | ||
어머니 | 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 공주 | ||
형제자매 | 마리 아스트리드, 장, 마르가레타, 기욤 | ||
배우자 |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 (1981년 결혼) | ||
자녀 | 기욤, 펠릭스, 루이, 알렉산드라, 세바스티앙 | ||
종교 | 가톨릭 | }}}}}}}}} |
[clearfix]
1. 개요
룩셈부르크 대공.2. 작위
룩셈부르크의 대공 외에도 나사우의 공작[2], 부르봉파르마의 공자[3], 아메르스테인의 자작 등 여러 칭호를 겸하고 있다.3. 생애
|
가족사진 |
룩셈부르크와 프랑스에서 공부했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샌드허스트 에서 군사교육을 받았다. 제네바 대학교와 국제 연구 대학원에서 1980년까지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제네바에서 있을 때 쿠바 출신의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를 만나 1980년 11월 7일 결혼했다.
1998년부터 2년간 섭정을 맡기도 하였다.
2024년 6월 24일, 국경일 기념 연설을 통해 오는 10월에 기욤 대공세자를 섭정으로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10월 8일, 기욤 대공세자의 섭정 임명식이 거행됐다.
4. 논란
4.1. 안락사 · 개헌 논란
2008년 12월 2일 앙리는 올해 초에 통과된 안락사에 관한 새로운 법률에 대한 동의를 거절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당시 헌법상, 법률이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대공의 제재나 승인이 필요하다는 의미의 '대공이 법령을 제재·공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러한 거부로 인해 이야기 된 대공의 헌법적 지위에 대한 장기적 함의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 클로드 융커 총리는 헌법을 개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룩셈부르크 집권당은 1912년 마리-아델라이드 여대공이 교육법안에 서명하기를 거부했을 때 의회의 결정을 단 한 번 막으려 했었다. 궁극적인 해결책은 대공이 일시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선언되는 것이었다. 이것은 1991년 그의 삼촌인 벨기에의 보두앵 국왕이 낙태법에 서명하기를 거절했을 때 제공한 '탈출 루트'와 비슷했기 때문에 대공의 서명 없이도 법이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정할 필요도 없었다.
이후 헌법 제34조를 개정하여 "찬성"이라는 용어를 삭제하였고, 관련 조항은 "대공이 법률을 공포한다"라고 하였다. 그 결과 그의 서명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그의 서명은 자동이고 결정의 자유가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국가원수는 더 이상 법을 "제재"할 필요가 없다. 그는 단지 법을 공포할 뿐이다. 하지만 이것이 사실인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5. 여담
- 현재 룩셈부르크 IOC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 때문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 현재 가족들과 베르크 성에 살고 있으며, 휴가 때는 프랑스 남부의 보르메 레 미모사 근처에 저택에서 지낸다.
6. 가족관계
6.1. 조상
<colcolor=#000000> 본인 | <colcolor=#000000> 부모 | <colcolor=#000000> 조부모 | <colcolor=#000000> 증조부모 |
룩셈부르크 대공 앙리 (Henri, Grand Duke of Luxembourge) |
룩셈부르크 대공
장 (Jean, Grand Duke of Luxembourg) |
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 (Prince Felix of Bourbon-Parma) |
|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Robert I, Duke of Parma) |
|||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 (Infanta Maria Antonia of Portugal)[5] |
|||
룩셈부르크의 여대공
샤를로트 (Charlotte, Grand Duchess of Luxembourg) |
|||
룩셈부르크의 대공
기욤 4세 (William IV, Grand Duke of Luxembourg) |
|||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공주 (Infanta Marie Anne of Portugal)[6] |
|||
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 공주 (Princess Joséphine-Charlotte of Belgium) |
|||
레오폴드 3세 (Leopold III) |
|||
알베르 1세 (Albert I) |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Duchess Elisabeth in Bavaria)[7] |
|||
스웨덴의 아스트리드 공주 (Princess Astrid of Sweden) |
|||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 왕자 (Prince Carl, Duke of Västergötland)[8] |
|||
덴마크의 잉에보르 공주 (Princess Ingeborg of Denmark)[9] |
6.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 / 자녀 |
1남 |
룩셈부르크의 대공세자 기욤 (Guillaume, Hereditary Grand Duke of Luxembourg) |
1981년 11월 11일 |
라누아 여백작 스테파니 슬하 2남[10] |
2남 |
펠릭스 공자 (Prince Felix) |
1984년 6월 3일 |
클레어 라데마허 슬하 2남 1녀[11] |
3남 |
루이 공자 (Prince Louis) |
1986년 8월 3일 |
슬하 2남[12] |
1녀 |
알렉산드라 공녀 (Princess Alexandra) |
1991년 2월 16일 |
니콜라스 바고리 슬하 1녀 |
4남 |
세바스티앙 공자 (Prince Sébastien) |
1992년 4월 16일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1986년에 Société Européenne des Satellites에 팔려서 1987년 7월부터 인공위성 지상관제소로 쓰이고 있다.
[2]
이 칭호는 1866년 멸망한
나사우 공국의 수장 자격으로 명목상 주장하는 작위이다. 조상
아돌프가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즉위하기 전에 나사우 공국의 마지막 공작이었는데,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한 후에도 멸망한 나사우 공국의 명목상 공작위를 주장한 것이 계속 전해 내려왔다.
[3]
파르마 공국
공가의 남계후손 자격으로 보유한 작위다.
[4]
나머지 한 명은 스페인
보르본 왕조의
펠리페 6세인데, 이 쪽은 딸만 둘이다.
[5]
미겔 1세의 6녀이다.
[6]
미겔 1세의 5녀이다.
[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의 조카다.
[8]
오스카르 2세의 3남이다.
[9]
프레데리크 8세의 차녀이다.
[10]
샤를 공자,
프랑수아 공자
[11]
2014년에 딸을, 2016년과 2024년에 아들을 낳았다.
[12]
2006년 결혼 / 2019년 이혼. 테시 앙토니라는 룩셈부르크 일반인 여성을 만나 2006년 초 장남을
속도위반으로 출산한 뒤
결혼하면서 본인과 자녀들의 룩셈부르크 대공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이후 차남을 낳은 뒤인 2009년에야 앙리 대공으로부터 두 아들이 나사우의 공자(Prince of Nassau)[13] 칭호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