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룩셈부르크 대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기욤 1세 | 기욤 2세 | 기욤 3세 | 아돌프 | |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기욤 4세 | 마리아델라이드 | 샤를로트 | 장 | |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 ||||
앙리 |
}}} }}}}}} |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룩셈부르크 나사우 왕조 제4대 여대공 샤를로트 Charlotte, Groussherzogin vu Lëtzebuerg |
|||
|
|||
출생 | 1896년 1월 23일 | ||
룩셈부르크 베르그 성 | |||
사망 | 1985년 7월 9일 (향년 89세) | ||
룩셈부르크 피쉬바흐 피쉬바흐 성 | |||
재위기간 | 룩셈부르크 여대공 | ||
1919년 1월 14일 ~ 1964년 11월 12일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가문 |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
이름 |
샤를로트 아델공드 엘리자베트 마리 빌헬미네 (Charlotte Adelgonde Elisabeth Marie Wilhelmine) |
||
아버지 | 기욤 4세 | ||
어머니 |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공주 | ||
형제 | 마리아델라이드, 힐다, 안토니아, 엘리자베트, 소피 | ||
배우자 | 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 (1919년 결혼 / 1970년 사망) | ||
자녀 | 장, 엘리자베트, 마리 아델라이드, 마리 가브리엘, 샤를, 알릭스 | }}}}}}}}} |
[clearfix]
1. 개요
룩셈부르크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여대공.2. 상세
룩셈부르크 대공 기욤 4세와 포르투갈의 공주인 마리 안 대공비의 차녀로 태어났다.본래 룩셈부르크는 살리카법을 취하고 있었으나 기욤 4세가 슬하에 여섯 자매를 두었을 뿐,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907년에 장녀 마리아델라이드를 후계자로 정했다.
1912년에 아버지 기욤 4세가 승하하면서 언니인 마리아델라이드가 18살의 나이로 대공위를 계승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점령군에게 친화적인 행보를 보여 민심을 잃고 퇴위를 강요받았다. 이에 샤를로트가 1919년 1월에 자녀가 없는 언니를 대신해 룩셈부르크의 여대공이 되었다. 샤를로트는 언니와는 달리 정치에 개입하지 않으려 했으며, 1919년 9월 28일 공화국/군주국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서 77.8%의 지지를 받아 군주제의 기반을 다시 튼튼하게 만들었다.[1]
1919년 11월에 부르봉-파르마 공가( 보르본 왕조의 방계) 출신이자 이종사촌이기도 한 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2]와 결혼해서 슬하에 2남 4녀를 두었다. 이 결혼으로 룩셈부르크 대공가의 경칭이 HGDH(Grand Ducal Highness)에서 HRH(Royal Highness)로 승격되기도 했다.
1940년 나치 독일이 침공하자 룩셈부르크 대공가와 정부는 프랑스, 포르투갈, 미국을 거쳐 캐나다로 몽진하였다. 나치 독일은 나치에 협력하면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복위해 주겠다고 회유하였으나 여대공은 이를 거절했다. 이 와중 1942년에는 헝가리에 망명해 있던 둘째 여동생 바이에른 왕세자비 안토니아가 나치 독일에게 붙잡혀 수용소로 끌려가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종실이 캐나다에 있는 동안 샤를로트 여대공 본인과 룩셈부르크 망명정부는 1943년 영국 런던으로 이동했고 BBC에서 정기적으로 나치에 대한 레지스탕스 라디오를 방송했다. 이후 나치 독일이 패망한 1945년 환어(還御)하였다.
1964년 11월 장남인 장 대공에게 양위하였다.
3.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남 |
룩셈부르크 대공 장 (Jean, Grand Duke of Luxembourg) |
1921년 1월 5일 | 2019년 4월 23일 |
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 공주 슬하 3남 2녀[3] |
1녀 |
호엔베르크 공작부인 엘리자베트 (Princess Elisabeth, Duchess of Hohenberg) |
1922년 12월 22일 | 2011년 11월 22일 |
호엔베르크 공작 프란츠[4] 슬하 2녀 |
2녀 |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백작부인 마리 아델라이드 (Princess Marie Adelaide, Countess Karl Josef Henckel von Donnersmarck) |
1924년 5월 21일 | 2007년 2월 28일 |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백작 카를 요제프 슬하 3남 1녀 |
3녀 |
홀슈타인레드레보르 백작부인 마리 가브리엘 (Princess Marie Gabrielle, Countess of Holstein-Ledreborg) |
1925년 8월 2일 | 2023년 2월 10일 |
홀슈타인레드레보르 백작 크누트 요한 슬하 7녀 |
2남 |
샤를 공자 (Prince Charles) |
1927년 8월 7일 | 1977년 7월 26일 |
조앤 더글라스 딜런[5] 슬하 1남 1녀 |
4녀 |
리뉴 공비 알릭스 (Alix, Princess of Ligne) |
1929년 8월 24일 | 2019년 2월 11일 |
13대 리뉴 공 앙투안 슬하 3남 4녀 |
[1]
참고로 공화제 19.7%, 대공 교체 1.5%, 왕조 교체는 1.0%의 지지를 받았다. 한편 같은 날 치러진 경제동맹을
프랑스와 맺을지
벨기에와 맺을지에 대한 국민투표에서는 73%가 프랑스를 선택했지만 실제 경제연합은 1922년 벨기에와 맺었다. (벨기에-룩셈부르크 경제연합)
[2]
이모 마리아 안토니아와
파르마 공국의 마지막 공작
로베르토 1세의 아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후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의 남동생이다.
[3]
앙리(룩셈부르크) 등.
[4]
호엔베르크 공작 막시밀리안의 장남, 1927~1977. 결혼 후 딸 둘만 태어나서 그의 사후 호엔베르크 공작위는 동생인 게오르크(1929 ~ 2019)에게 갔다.
[5]
남편 사후 무시 공작 필리프 드 노아유와 재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