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아오바급 중순양함 | |
아오바 | 키누가사 |
青葉型巡洋艦 |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중순양함 아오바급 중순양함(青葉型巡洋艦).후루타카급 중순양함을 발전시킨 중순양함으로 후속 함급은 묘코급 중순양함이며 총 2척이 건조되었다. 1번함인 아오바는 1924년에 기공되었으며 1945년 7월 28일에 격침된 후 동년 11월에 해체되었고, 2번함 키누가사는 1942년 11월 13일에 격침되었다.
2. 제원[1]
아오바급 중순양함 靑葉型重巡洋艦 |
||
이전급 | 후루타카급 중순양함 | |
다음급 | 묘코급 중순양함 | |
기준배수량 | 7,100 → 8,300톤 | |
만재배수량 | 7,500 → 8,900톤 | |
전장 | 185.17미터 | |
전폭 | 15.83 → 17.56미터 | |
흘수 | 5.71 → 5.66미터 | |
출력 | 102,000 → 104,200SHP | |
추진 | 보일러 | 함본식 12기 |
터빈 | 4축 프로펠러 결합식 파슨스제 | |
최고 속력 | 34노트 (약 63km/h) | |
항속 거리 | 14노트 (약 26km/h)에서 11,000km 정도 | |
승조원 | 625명 | |
무장 | 주포 | 2연장 7.9인치 50구경장 Mk.1 3문 → 2연장 8인치 50구경장 Mk.2 3문 |
부포 |
4.7인치 45구경장 4문 없음 → 2연장 25mm 60구경장 96식 4문 |
|
어뢰 발사관 | 2연장 24인치급 6문 | |
어뢰 | 93식 24 → 16발 | |
장갑 | 측면 | 76mm |
탄약고 | 51mm | |
포탑 | 25.4mm | |
사령탑 | 없음 | |
갑판 | 35mm | |
상부 갑판 | 48mm | |
함재기 | 수상기 1 → 2기 | |
캐터펄트 | 1기 |
1937년부터 1940년에 걸쳐 개장된 이후로 위의 무장을 보유하게 되었다. 카탈로그 상의 성능은 나름대로 준수하지만 일본 군함답게 거주성은 안 좋은 편이었다. 1942년에 아오바에 4개월간 승함했던 종군기자 우미노 쥬조의 증언에 따르면 그러하다.[2]
전쟁이 진행되면서 대공화력을 계속 강화했으므로, 25mm 기관포의 수는 막바지에는 50문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것은 아오바 기준이고, 과달카날 해전에서 침몰한 키누가사는 그 정도로 대공무장을 강화하지 못했다. 당연히 미군의 막강한 대공화력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지만, 함생 항목에서 나오듯이 스펙을 뛰어넘는 활약을 한 군함이기도 하다.
3. 성능
아오바급 중순양함 1번함 아오바 | 아오바급 중순양함 2번함 키누가사 |
후루타카급 중순양함이 20cm 단장포 6문을 탑재한데다, 인력으로 재장전을 하는 바람에 전투력이 떨어졌던 것을 개량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우선 주포를 20cm 2연장포 3문으로 교체하고, 기계의 도움을 받아 장전속도가 빨라졌으며, 캐터펄트를 탑재해서 수상기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연장포를 탑재한 일본군 중순양함은 아오바급이 최초이며, 특히 2번함 키누가사는 1928년에 일본군 최초로 항공기 사출용 캐터펄트를 탑재한 군함이기도 하다.
4. 특징
- 현측장갑은 76mm, 갑판 장갑은 36mm로 건조 당시에는 나름대로 두꺼운 편이다.
- 일본 최초로 수상정찰기를 탑재해서 색적능력을 상승시켰다.
- 후루타카급이 수동장전식 단장포 6기를 채용한데 비해, 기계의 도움을 받아 장전되는 연장포 3기를 채용했으므로 포탑이 갑판을 메우는 불상사를 피할 수 있고, 재장전속도도 한층 빨라졌다. 그러나 일본산 20.3cm 포의 성능이 연합군이나 동맹국 독일의 포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포가 6문에 불과하므로 수량에서도 열세라는 문제점이 있다. 3연장 주포를 달면 해결될 문제이지만 일본군은 3열 포탑을 개발할 생각조차 안 했고,[3] 아오바급의 후계자인 묘코급 중순양함은 연장 포탑 5기를 달아서 화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3번 포탑을 역행 배치한 문제로 애를 먹게 되었고, 이 문제는 일본군 중순양함들의 고질병으로 남게 된다. 물론 아오바급은 전면 포탑이 2개이므로 역행 배치 문제가 전혀 없다.[4]
- 포탑 장갑이 25mm여서 구축함의 포격에도 관통당할 수 있으며, 산소어뢰 발사관에 피격되면 유폭을 일으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부분은 일본군 순양함들만의 문제라기 보다는 조약형 중순양함 자체의 한계에 가깝다. 당장 영국의 카운티급 중순양함도 포탑 장갑은 1인치 수준으로 25mm보다 조금 두꺼운 수준밖에 안되고 후계함급인 요크급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 중순양함들은 사정이 좀 낮기는 하지만 이쪽은 아예 3열포를 올려서 포탑 수 자체를 줄이거나 현측 방어력을 타협했음을 감안해야 한다. [5]
- 무게중심이 조금 높아서 안정성 문제가 있었다.
- 거주성은 별로 좋지 않다.
5. 함생
1번함 아오바와 2번함 키누가사 모두 일본 해군의 수훈함으로 이름을 남겼다. 특히 1번함 아오바는 사보섬 해전에서 미 해군과 미 해병대,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을 정찰기 하나로 농락하면서 과달카날의 제공권과 제해권, 심지어 미 해군의 명예까지 빼앗아갔고 전설의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가 속했던 함대는 겁쟁이로 매도당했다. 미군은 세 번이나 아오바를 대파시켰지만, 아오바는 아무리 때려도 가라앉지 않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솔로몬의 늑대, 불침중순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전쟁 내내 활약했다. 심지어 아오바가 최후를 맞는 구레 군항 공습에서는 홀로 미 항모전단과 육군항공대에 맞서서 최후까지 싸운 끝에 격침되었다. 관련 내용은 링크 참조.후계 중순양함들의 배수량이 쭉쭉 늘어 나중에는 거의 두 배로 늘어나지만 이 두 척에 한참 못 미치는 그들의 행보를 보면, 3~4 개 포탑으로 만족하고 정찰기 운용 능력을 키워 조약형으로 건조하는 게 나았을 지도 모를 일이다. 물론 저런 식으로 활약하려면 배의 성능만이 아닌, 우수한 군인들과 운까지 받쳐줘야겠지만.
6. 매체에서의 아오바급
- 월드 오브 워쉽에서는 6 티어의 일본 순양함으로 등장한다.
- 콘솔 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는 5 티어 일본 순양함으로 나온다.
- 전함소녀에서 아오바와 키누가사가 모두 등장한다.
- 대중매체에 아오바급이 나올 경우, 1번함 아오바가 주로 소개된다. 관련 내용은 아오바 참조.
[1]
화살표 오른쪽에 있는 건 개장 후의 제원이다.
[2]
우미노 쥬조가 아오바에서 취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책이 적도남하(赤道南下)이다.
서적정보
[3]
8인치 3연장포를 개발해서 써먹은 나라가 미국뿐이기는 하다.
[4]
사실 묘코급도 8인치 10문에서 8문으로 요구조건을 완화시켜줬지만, 포격덕후
히라가 유즈루가 어뢰를 빼고 10문을 달아버렸다. 그 후 건조 중에 히라가를 외근보낸
일본 해군이 거주공간을 희생해
산소어뢰를 다시 달면서, 강력한 무장과 나쁜 거주성으로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 묘코급이 탄생했다.
[5]
순양함 계열 보조함들이 집중방어나 대응방어 개념을 적용해 취역한 시기는 아오바나 묘코가 건조될 때보다 한참 뒤다. 다만, 구일본해군 순양함은 그런 와중에도 기술수준이 낮고 예산이 적은 후발국으로서 양과 화력을 따라잡느라 그랬는 지, 사람을 갈아넣는 낙후된 운용개념 특출나게 얇은 장갑은 부인할 수 없는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