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23:14:32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에서 넘어옴
파일:display_f2501d129a896944133d1896a4753ced.png
Chicago Symphony Orchestra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시카고심포니오케스트라.png

1. 개요2. 연혁3. 역대 음악 감독과 수석 지휘자4. 특징

1. 개요

미국 시카고를 거점으로 하는 오케스트라. 미국에서 소위 '빅 파이브' 라고 칭하는 5대 관현악단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악단의 기량으로 따지면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더불어 미국 양대 오케스트라라고 할만큼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금관 파트는 자타공인 세계 최고로 꼽히고 있다.

2. 연혁

1891년에 사업가 찰스 노먼 페이가 '시카고 관현악단' 이라는 명칭으로 창단했고, 동시에 초대 음악 감독으로 시어도어 토머스를 초빙해 그 해 10월 16일에 첫 공연을 개최했다. 토머스는 악단의 합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악단의 전용 공연장을 새로 짓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토머스는 1905년 폐렴으로 타계했고, 후임으로는 1899년부터 토머스 밑에서 부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던 독일 출신의 프레데릭 스톡이 임명되었다.

토머스 타계 직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악단 명칭이 '시어도어 토머스 관현악단' 으로 바뀌었고, 1913년에 현재의 것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스톡은 1942년 사망할 때까지 무려 38년 가까이 음악 감독직을 역임했고, 이 기간 동안 레코드 취입과 세계 유명 연주가들과의 협연 무대, 동시대 유명 작곡가들의 신작 공연 등의 기회가 자주 마련되어 악단의 유명세를 높이는데 이바지했다.

스톡 사후 벨기에 출신의 데지레 드포가 제3대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는데, 평판은 전임자들보다 별로 좋지 않아 5년 정도 재임하는데 그쳤다. 드포의 후임이었던 아르투르 로진스키도 리허설을 너무 빡세게 하기로 악명 높았고, 단원들과의 관계도 좋지 않아 겨우 한 시즌 머무른 것이 고작이었다.

로진스키 퇴임 후 악단 운영진은 차기 상임지휘자로 독일의 본좌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를 초빙하려고 물밑 작업에 들어갔다. 푸르트벵글러는 미국인들의 음악적 수준을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거부 의사를 밝혔다. 당시 음악계도 시카고 심포니가 한번 찔러보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 보았지만, 의외로 시카고 측의 의중은 진심이었다. 시카고 심포니는 푸르트벵글러에게 베를린 필의 네 배에 달하는 파격적인 연봉을 제안했고, 그럼에도 일년에 시카고에 불과 몇 주만 체류하면 된다는 객원지휘자 수준의 의무만을 요구했다. 거의 간판만 걸어 놓으라는 것과 마찬가지의 제안이라 푸르트벵글러도 이에 마음을 돌려 계약 성사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이 소식을 들은 미국의 많은 음악인들이 대대적인 반대 운동을 벌였다. 표면적으로는 반나치의 명분을 걸었지만, 실제로는 푸르트벵글러의 미국 진출에 대한 밥그릇 지키기 싸움의 성격이 컸다. 소요가 확산되자, 푸르트벵글러와 시카고 심포니 측 모두 계약 의사를 철회하여 결국 무산되었다.

결국 1950년 체코 출신의 유망전도한 젊은 지휘자 라파엘 쿠벨릭이 상임지휘자에 취임했다. 쿠벨릭은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독일 고전파, 낭만파 등 주류 레퍼토리에 정통했을 뿐만아니라 체코 음악을 연주 곡목에 적극 추가시키고 창단 최초로 고음질 테이프 녹음을 취입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문제는 무려 푸르트벵글러가 거론되던 자리에 그가 앉았다는 점이다. 푸르트벵글러 영입 실패로 실망한 시카고 평론가들은 30대 중반에 불과한 애송이 쿠벨릭이 영입되자 그에게 과할 정도로 비판적인 평론을 가했다. 또 쿠벨릭 본인의 다소 깐깐하고 비타협적인 성격 때문에 오케스트라와 다소 마찰을 빚기도 했다. 쿠벨릭이 당대 거장 지휘자들에 비해 크게 깐깐한 성격이라 보긴 어렵지만, 당시에는 30대 중반의 새파란 신예 지휘자였을 뿐이었다. 결국 시카고 심포니와 쿠벨릭과의 파트너쉽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쿠벨릭의 후임으로는 헝가리 출신의 프리츠 라이너가 취임했다. 라이너는 소위 독재자형 지휘자의 전형으로 꼽히는 인물으로 악단을 무지 갈구고 엄격하기로 소문난 지휘자였다. 라이너의 엄격한 조련을 거치면서 시카고 심포니는 미국에서도 본좌급 오케스트라로 명성을 확실히 하게 되었다. 라이너와 시카고 심포니는 RCA에서 많은 양의 음반녹음을 취입했다. RCA는 1954년 상업용 레코드사로는 처음으로 스테레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였는데, 이는 타 음반사에 비해 몇 년이나 앞선 것이었다. 라이너는 취임 직후부터 몇년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스테레오로 음반을 녹음하는 혜택을 누렸다. 스테레오 음질로 녹음된 라이너와 시카코 심포니의 음반들은 당시 음악애호가들과 오디오 매니아들에게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악단 명성의 세계화에 크게 기여했다. 라이너는 8년간 독재 집권하면서 시카고 심포니의 명성을 세계적 수준으로 올려놓았다. 그러나 만년에 건강이 좋지 않아 1960년 심장 발작으로 쓰러져 입원했으며 결국 건강 때문에 1962년 상임지휘자 자리에서 물러나 음악 고문이 되어 2선으로 물러났지만 이듬해인 1963년 11월 지병으로 사망했다.

라이너 사후에는 프랑스 출신의 장 마르티농이 임명되어 1968년까지 재직했다. 그 자신도 작곡가이기도 했던 마르티농은 청중들이 원하는 독일 레퍼토리보다는 상대적으로 듣보 레퍼토리나 실험적인 현대 음악을 자주 올렸고 그나마 알려진 곡들도 본인의 고향인 프랑스 음악이 많았기 때문에 보수적인 관객들이 외면했고 평단의 반응도 냉랑했다. 애초에 마르티농은 시카고 심포니 이사진이 우선적으로 고려했던 지휘자가 아니었지만, 다른 유력한 후보들이 모두 거절하는 바람에 시카고 심포니의 포디움에 오르게 되었다. 마르티농 시절 악단 인기가 떨어지자 위기 의식을 느낀 이사진은 마르티농 임기 후 거장급 지휘자를 영입하기 위해 물밑작업을 시작했고[1] 결국 라이너 임기말부터 구애해왔던 솔티와 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솔티는 런던 코벤트가든 등의 스케줄이 꽉 차 있었기 때문에 당장 스케줄을 내줄 수 없어 어윈 호프먼이 한 시즌 동안 음악 고문 대리라는 임시직으로 공백기를 메웠다.

1969년 게오르그 솔티가 제8대 음악감독에 취임했다. 이미 1962년 프리츠 라이너가 퇴진할 무렵 시카고 심포니 경영진은 라이너의 후임으로 솔티에게 접촉한 적이 있었지만, 솔티가 런던의 코벤트가든 오페라의 업무가 과중해서 거절한 바 있었다. 결국 마르티농의 후임으로 시카고 심포니로 왔지만 여전히 코벤트가든과의 계약 중에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임기 초기에는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를 수석객원지휘자로 영입해서 지휘자로서의 임무를 분담했다. 솔티 재임기에 악단 창단 이래 첫 유럽 순회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전속사 데카에 음반을 취입했다. 이 가운데 명반들도 여럿 탄생하였다. 솔티는 시카고 심포니에 특별한 애정을 가지고 악단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는데, 자신과 반대 성향의 지휘자인 줄리니를 설득 끝에 수석객원지휘자로 영입했고, 줄리니 이후에도 자신과 성향이 대조적인 아바도를 그 자리에 영입했다. 또 솔티는 전임 지휘자들이 별로 다루지 않았던 오페라에도 손을 대 녹음과 콘서트 형식 상연을 시도하기도 했다. 솔티는 날카로운 외모와 강렬한 지휘 스타일과 달리 실제로는 포용력 있는 아버지 리더십의 지휘자였는데, 시카고 심포니 외에도 격연 다녔던 다른 미국 오케스트라들에서 단원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은 지휘자였다고 한다. 솔티는 자신이 너무 오래 머무르는 것이 악단의 발전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1991년 스스로 사임했다. 이미 몇년전부터 사임을 계획했었기 때문에 솔티와 악단 경영진은 후임 지휘자 선임을 충분히 준비할 수 있었고, 솔티가 높이 평가해 적극 추천했던 다니엘 바렌보임이 후임 상임지휘자로 발탁되었다. 악단과의 관계는 좋은 편이라, 퇴임 후에도 여러 차례 객원으로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솔티 역시 상임지휘자에서 물러난 후에도 시카고 심포니는 자신에게 자식과도 같은 악단이라면서 깊은 애정을 표시했다.

솔티의 후임으로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이 부임해 2006년까지 재임했다.[2] 바렌보임도 악단과의 궁합이 좋은 편이었고 여러 청중들에게도 호응을 받기는 했다. 솔티 재임시절 시카고 심포니는 기량은 훌륭하지만 단조롭고 기계적인 연주를 한다는 평을 많이 받았는데, 바렌보임이 재임하면서 악단의 사운드가 다소 유해지고 유려함이 더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바렌보임은 음악 감독으로서 악단 발전 기금 등을 모으러 다니는 행정 업무가 너무 과중하다고 종종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푸르트벵글러를 숭배했던 바렌보임은 가장 미국적인 소리를 지닌 시카고 심포니보다 베를린 필,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와의 공연과 음반작업을 더 즐기는 듯 보이기도 했다.

바렌보임이 유럽 활동에 주력하기 위해 사임한 뒤, 악단 측에서는 새로운 음악감독을 찾기 전까지 네덜란드 출신의 베르나르트 하이팅크를 수석지휘자로 영입했다. 하이팅크는 시카고의 과중하기로 유명한 행정 업무를 피하고 싶었기 때문에 음악감독이 아닌 수석지휘자에 머물었다. 동시에 1995년부터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자주 초빙되었던 프랑스의 저명한 현대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피에르 불레즈에게도 계관 지휘자라는 명예 호칭을 수여했다.

2008년 5월에 악단 측은 제10대 음악감독으로 이탈리아 출신의 리카르도 무티를 영입한다고 발표했고, 무티는 2010/11년 시즌 음악감독직에 취임했다. 2021년 초 악단은 그가 2021/22년 시즌을 끝으로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떠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가, 2021년 9월 계약을 1년 연장하여 2022/2023년 시즌에 떠날 것이라고 다시 발표했다. 이후 발표한 대로 2023년 상반기를 끝으로 임기를 마친 후, 종신 명예음악감독 직책을 맡게 되었다.

2024년 4월 2일, 악단 측은 제11대 음악감독으로 핀란드 태생의 클라우스 마켈라 영입을 발표했고, 마켈라는 2027/2028년 시즌부터 최초 임기 5년간 음악감독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3. 역대 음악 감독과 수석 지휘자

음악감독직은 아니나 실질적인 수장 역할을 한 경우에는 기울임체 표시
  • 시어도어 토머스 (Theodore Thomas, 재임 기간 1891–1905)
  • 프레데릭 스톡 (Frederick Stock, 재임 기간 1905–1942)
  • 데지레 드포 (Désiré Defauw, 재임 기간 1943–1947)
  • 아르투르 로진스키 (Artur Rodziński, 재임 기간 1947–1948)
  • 라파엘 쿠벨릭 (Rafael Kubelík, 재임 기간 1950–1953)
  • 프리츠 라이너 (Fritz Reiner, 재임 기간 1953–1962 / 1962-1963 음악 고문)
  • 장 마르티농 (Jean Martinon, 재임 기간 1963–1968)
  • 어윈 호프먼 (Irwin Hoffman, 재임 기간 1968–1969. 음악 고문 대리)
  • 게오르그 솔티 (Georg Solti, 재임 기간 1969–1991)
  • 다니엘 바렌보임 (Daniel Barenboim, 재임 기간 1991–2006)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Bernard Haitink, 재임 기간 2006-2010. 수석지휘자)
  • 리카르도 무티 (Riccardo Muti, 재임 기간 2010-2023)
  • 클라우스 마켈라 (Klaus Makela, 2027 취임 예정)

4. 특징

미국 중부의 자존심을 지키고 있는 악단으로 상당한 존재감을 갖고 있는데, 미국 전체적으로도 기량에서는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탑을 가르고 있다. 특히 금관악기 파트의 출중함으로 유명하다. 정확한 앙상블과 강한 브라스를 동반한 선굵은 사운드로 인해 미국 오케스트라 사운드의 하나의 전형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다. 20세기 초중반 유럽 이민자들을 많이 수용했던 동부 오케스트라에 비해서는 확실히 더욱 미국적이라 할만한 오케스트라다. 미국에서도 금융과 여타 산업이 크게 발전한 시카고에 연고를 두고 있기 때문에 자금력에 있어서 세계에서도 가장 유복한 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단원 연봉 수준도 세계최고급이다.[3]

여기서 객원으로라도 지휘한 지휘자는 이력에 꽤 강조해 넣기도 하며,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클라우디오 아바도 같은 네임드 지휘자들도 여기서 수석 객원 지휘자라는 직함으로 활동하며 공연과 녹음을 진행한 바 있다.

녹음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16년에 시작했는데, 스톡 지휘로 미국 순회 공연 중 뉴욕의 컬럼비아 그래포폰에서 취입한 것이 첫 번째 음반으로 기록되고 있다. 주로 취입한 음반사는 컬럼비아, RCA, 데카 등이며, 이외에도 도이체 그라모폰을 비롯한 여러 음반사들에 약 900여 종 이상의 녹음들을 남기고 있다. 1925년에는 라디오 방송 공연도 시작했고, 이후 텔레비전의 보급과 함께 미국 각지의 방송국에서 연주회 실황이 생중계되고 있다.

다만 음반 시장이 위축된 2000년대 이후로는 여느 네임드 악단들과 마찬가지로 악단 자체 음반사를 따로 차려서 운영하고 있는데, 2007년부터 'CSO 리사운드(CSO Resound)' 라는 이름으로 공연 실황을 인터넷 다운로드 음원과 CD로 판매하고 있다. 정명훈도 여기서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실황을 취입한 바 있다. 간혹 영화 OST 녹음에도 참가하며,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장편 애니메이션 환타지아 2000 에서도 제임스 러바인의 지휘로 모든 수록곡을 녹음한 바 있다.

악단 상주 공연장인 오케스트라 홀은 미국 유수의 콘서트 전문 공연장으로 꼽히며, 미국 정부에서 한국 국보에 해당하는 '역사적인 건축물' 로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있다. 1997년에는 오케스트라 홀과 병설된 리허설 홀, 레스토랑 등을 통틀어 '심포니 센터' 라고 부르고 있다.

비시즌기인 여름에는 시카고 근교의 하이랜드 파크에서 개최되고 있는 라비니아 음악제(Ravinia Festival)에서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는데, 이 때는 음악제 음악 감독의 지휘로 공연한다. 합창 붙는 작품의 경우 1957년에 창단된 악단 병설 합창단인 시카고 교향 합창단(Chicago Symphony Chorus)이 참가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상적인 관현악 연주회도 열리지만, 오페라나 발레 등의 무대 작품에서도 반주 악단으로 공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직은 다르지만, 1919년에 스톡에 의해 창단된 시카고 시빅 오케스트라(Civic Orchestra of Chicago)도 악단 홈페이지에 병설 단체로 올라와 있다. 이 악단도 자체 공연 활동을 주로 하고 있지만, 음대나 음악원에서 배출된 연주가들이 관현악단 단원으로 일하기 위한 실전 경험을 쌓는 일종의 교육 코스로도 이용되고 있다. 실제로 시카고 교향악단 단원들 중에도 시빅 오케스트라의 정단원 혹은 부단원으로 재직하다가 올라간 이들이 꽤 많다.

금관에 있어서는 세계최고라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특히 1948년부터 2001년까지 무려 53년간 트럼펫 수석으로 활동했던 아돌프 허솃(Adolph Herseth)의 명성은 대단하다.


[1] 카라얀에게도 적극적인 물밑작업을 벌였지만 단호하게 거절당했다. [2] 솔티의 후임으로 바렌보임이 발탁된 것은 거의 전적으로 솔티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다. 솔티는 파리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에 취임했다가 어처구니 없는 일들을 겪은 후 스스로 사임한 적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 자신의 후임으로 취임하여 오랫동안 악단을 무탈하게 이끈 바렌보임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했다. [3] 단원 연봉 등 처우에 있어서 뉴욕 필과 함께 세계최고를 다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