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4:26:52

스파이더맨(1967년 애니메이션)

스파이더맨 관련 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TV 방영 및 스트리밍 전용 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스파이더맨
(1967 - 1970)
스파이더우먼
(1979)
스파이더맨
(1981)
스파이더맨과 그의 놀라운 친구들
(1981-1983)
스파이더맨
(1994 - 1998)
스파이더맨 언리미티드
(1999 - 2001)
스파이더맨 NAS
(2004)
스펙타큘러 스파이더맨
(2008 - 2009)
얼티밋 스파이더맨
(2012 - 2017)
디스크 워즈: 어벤저스
(2014 - 2015)
스파이더맨
(2017 - 2020)
스파이디 그리고 놀라운 친구들
(2021 - 방영 중)
유어 프렌들리 네이버후드 스파이더맨
(2024)
스파이더맨: 소포모어 이어
(방영일 미정)
◇: 스파이더맨 단독주연이 아닌 작품.
◆: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관련 인물이 주연인 작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극장 상영 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colbgcolor=#027CC4><colcolor=#E50100> 스파이더맨 (1967~1970)
Spider-Man
파일:스파이더맨 1967.jpg
{{{#E501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colbgcolor=#027CC4><colcolor=#E50100> 장르 애니메이션, 슈퍼히어로, SF, 액션, 어드벤처, 키즈
제작 로버트 L. 로렌스
랄프 바크시
연출 레이 패터슨
출연 폴 솔스
폴 클리그먼
페그 딕슨 외
제작사 마블 코믹스 그룹
그랜트레이-로렌스 애니메이션
크랜츠 필름
방영 기간 1967. 09. 09. ~ 1970. 06. 14.
방송국 파일:미국 국기.svg ABC
편당 러닝타임 25분
화수 총 52화
}}}}}}}}} ||

1. 개요2. 상세3. 등장인물
3.1. 주인공3.2. 조연3.3. 빌런
4. 오프닝5. 인터넷 밈
5.1. 삿대질 밈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pider-Man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방영되었던 스파이더맨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미국-캐나다 합작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파이더맨 대중화에 큰 도움을 주었다.

2. 상세

마블식 평행우주 분류법으로는 지구-6799로 설정되어 있다.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의 성우는 캐나다 출신의 폴 솔스. 1966년에 나온 마블 슈퍼 히어로 쇼 애니메이션에서 스파이더맨 역을 맡은 바 있다. 여담으로 스파이더맨 슈트의 거미 마크의 다리가 여섯 개 뿐이다.


여기서 스파이디는 웹 슈터로 전기 공격도 막고, 거미줄로 야구방망이도 만드는 거의 그린 랜턴급의 만능 캐릭터였다. 사실 이 무렵의 만화책에서도 스파이더맨은 거미줄로 방패를 만드는 등 거미줄을 특이하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4년 최초의 스파이더버스에서는 얼티밋 스파이더맨(TVA)의 스파이더맨이 여기 스파이더맨은 "거미줄을 가늘게 쏘는데 뭔 담요가 튀어나오냐"고 놀라기도 했다. 쌈마이한 연출이나 캐릭터도 그렇고, 제작비 절감을 위해 의도적으로 프레임이 최소화되는 모습도 보인다. 여러모로 지금 시각에서 보면 차지맨 켄!을 연상케하는 괴작이지만, 이 작품 덕분에 스파이더맨의 인기가 증가했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다.

한국에서는 1970년 12월 4일부터 1971년 12월 17일까지 KBS-TV를 통해 <왕거미>란 제목으로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15분마다 방송한 바 있으며, 이하 가사의 주제가도 있었으나 음성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당할 자가 그 누구냐 나서 보아라
신비하다 그 힘 앞엔 어림 없구나

하늘을 주름잡아 뛰고 날으는
신비하다 그 힘 앞엔 어림 없구나

왕거미~ 왕거미~ 정의의 사나이
왕거미~ 왕거미~ 무적의 사나이

번뜩이는 그 힘 앞엔 당할 자 없다
악당들을 무찌르며 오늘도 간다
오늘도 간다

3. 등장인물

3.1. 주인공

3.2. 조연

  • 그레이스 코너
    커트 코너의 아내
  • 빌리 코너
    커트 코너의 아들
  • 팔리 스틸웰
    스콜피온을 만든 과학자
  • 벤 파커
    스파이더맨의 삼촌. 작중에선 이미 고인이다.
  • 스카이보이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3.3. 빌런

  • 플루토니안
    명왕성 출신의 외계인. 얼음으로 이루어진 생명체다.
  • 리저드맨
    본명 커트 코너로 도마뱀으로 변이한 빌런이다. 참고로 원작과는 다르게 인간 상태일때 양팔 모두를 가지고 있다.
  • 벌처 - 길리 펜윅
    에이드리안 툼스가 아닌 블래키 드라고 버전이다.
  • 헨리 스마이스
  • 메탈 이팅 몬스터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 팔라피노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직업은 왁스 조각가이며 팔라피노 왁스 박물관의 소유자로 스파이더맨을 자신의 컬렉션에 포함시키기 위해 납치하려 한 빌런.
  • 할리 클리벤던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사냥꾼으로 작중에서 J 조나 제임슨에게 최면술을 걸거나 리저드를 납치하려 하지만 스파이더맨에게 패배한다.
  • 마토 매그니토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물체를 자석화 하는 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엑스맨 시리즈 매그니토와는 관련 없다.
  • 임포스터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본명은 찰스 카메오. 변장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더블 아이덴티티 에피소드에서 스파이더맨으로 변장하여 삿대질을 하는 장면을 만든 장본인이다.
  • 미스 트러블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그리스 신화 캐릭터와 생물의 살아있는 조각상 버전을 소환할 수 있는 상자를 가지고 있다.
  • 블랭크
    투명 능력을 가진 빌런
  • 판타스틱 파키르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동물을 조종할 수 있는 빌런.
  • 인포서즈
    • 플로터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인포서즈의 리더.
    • 옥스
    • 카우보이
      원작에서는 몬테나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
  • 플라이 트윈스
    본작의 오리지널 팀으로 구성원은 스탠 패티슨과 패티슨.
  • 폰 슐릭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 강도
    스파이더맨의 삼촌을 죽인 범인.
  • 킹핀 - 톰 하비
    수면 가스를 방출하는 지팡이를 무기로 사용한다.
  • 마스터 태크니션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방사능 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 몰맨
    판타스틱 포의 하비 엘더가 아닌 머그컵 라일리라는 오리지널 캐릭터가 몰맨으로 등장한다. 지하 세계를 지배하는 빌런.
  • 파르도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능력은 최면술과 검은 고양이로 변신하는 것이다.
  • 스파이더맨(외계인)
    외계 종족.
  • 벌탄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화성인으로 지구의 금을 약탈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4. 오프닝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으로 시작하는 오프닝곡이 아주 유명하다. 곡조도 중독성이 높지만 가사 또한 스파이더맨을 잘 설명하는 내용이라, 50년이 넘는 현재까지도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

이 곡은 이후에 등장한 스파이더맨 관련 매체에서도 여러 번 리메이크 돤 바 있으며, 소니의 영화 시리즈에서도 깨알같이 등장했다. 스파이더맨 트릴로지 중 1탄에서는 에어로스미스 편곡한 것이 OST에 원곡과 함께 실려 있다.[1] 그 외에도 2편에서 이 곡을 연주하는 길거리 악사가 등장하며,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는 피터의 휴대폰 벨소리로 나온다. 스파이더맨: 홈커밍에서는 마블 스튜디오 로고가 나오는 인트로에서 상당히 웅장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편곡되어 나온다.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에서도 몇 번 등장. 그리고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티저 예고편 후반부에 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웅장하게 편곡되어 나온다.

유명한 만큼 공식 스파이더맨 시리즈외의 패러디 사례도 많다. 대표적으로 심슨가족 더 무비에서, 호머 심슨이 애완돼지의 등을 밑에서 받쳐 주며 천장에서 거꾸로 걷게 하는 놀이를 하며 "스파이더 피그"노래를 부른 사례가 있다. 이후 둘 다 디즈니 산하에서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는 것이 아이러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Spider-Man, Spider-Man, Does whatever a spider can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거미가 할 수 있는 건 뭐든 할 수 있지
Spins a web, any size, Catches thieves just like flies
어떤 크기로든 거미줄을 뿜어내고, 파리 잡듯이 도둑들을 잡아 내지
Look Out! Here comes the Spider-Man
조심해! 스파이더맨이 온다

Is he strong? Listen bud, He's got radioactive blood
그가 강하냐고? 들어 봐 친구, 그는 방사능 피가 흐른다고
Can he swing from a thread, Take a look overhead
거미줄에 매달려 날아 다니지, 한 번 머리 위를 살펴 봐
Hey, there... There goes the Spider-Man
이봐, 저기... 저기 스파이더맨이 간다

In the chill of night, At the scene of a crime
싸늘한 밤중, 범죄가 벌어지는 곳이라면
Like a streak of light, He arrives just in time
한 줄기 빛처럼 딱 맞춰서 등장한다네

Spider-Man, Spider-Man, Friendly neighborhood Spider-Man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친절한 이웃 스파이더맨
Wealth and fame, He's ignored, Action is his reward
돈과 유명세엔 관심이 없어, 선행만이 그가 받아가는 보상이지

To him, life is a great big bang up
그에게 삶이란 고단한 것
Wherever there's a hang up
무슨 일이 생기면 어디서든
You'll find the Spider-Man!
스파이더맨이 나타난다네
}}}}}}}}}

5. 인터넷 밈

2010년대 이후부터는 특유의 쌈마이함 때문에 인터넷 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히어로 갤러리의 소개문을 빌리자면, "스파이더맨이 매우 수상하게 생겼으며 수상해보이는 행동을 하는 것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신선한 애니메이션." 악당들의 못생긴 모습이 '나랑 내 친구들'이라는 밈에 응용된 것이 최초의 사례 중 하나다. 이후 암드립에 해당하는 침대에 누워 있는 스파이더맨, 자기 사진이 든 액자를 걸어놓은 채 책상에 앉아 있는 스파이더맨[2] 등등 수많은 장면들이 밈으로 재발굴되어 쓰이고 있다. 손발저림에 등재된 사진도 알고 보면 이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장면이다.


스펙태큘러 스파이더맨판의 피터 파커 성우였던 조시 키턴이 스파이더맨 관련 밈을 읽어주는 영상.

5.1. 삿대질 밈

파일:Spider_Man_pointing.jpg
이 작품의 수많은 밈 중에서도 유독 두 명의 스파이더맨이 서로를 향해 삿대질을 하는 장면이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웃기기도 하지만 마블 코믹스의 평행우주를 그림 하나만으로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는 그림이기도 해서, 공식 매체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 사실상 스파이더버스를 상징하는 장면이 되었다.
파일:Spider-Man-point.jpg

이후 여러 스파이더맨의 버전으로 해당 짤방이 패러디되는데,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도 해당 장면이 재현된다. 네드가 피터 파커를 부르니까 3명이 일어나서 서로를 지목하는 식.
파일:삿대질 스파이더맨.png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시리즈에서도 재현된다.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의 쿠키 영상에서 스파이더맨 2099의 스파이더맨[3]이 1967년 스파이더맨[4]의 세계로 가서 만나 서로 삿대질을 하는 상술한 밈이 된 장면을 재현하였다, 이를 지켜보던 경찰과 J. 조나 제임슨이 만담이 압권.[5]
파일:너도나도스파이더맨인데.gif

그리고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서도 삿대질 밈은 업그레이드되어 등장한다. 스파이더맨 2099가 스파이더맨을 체포하라고 명령하자 수백 명의 스파이더맨이 서로를 지목하는 개그신.

6. 관련 문서



[1] 그 전에 펑크 그룹 라몬즈가 커버를 하여 정규앨범에 실은 적이 있다. [2]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의 크레딧 영상에서 수없이 많은 스파이더맨들이 자신의 수많은 사진들을 벽에 건 채 각자 책상에 앉아 있는 장면이 나오면서 공식 작품에도 재등장하였다. [3] 성우는 오스카 아이작. [4] 성우는 요르마 타코네. 본작에서 그린 고블린 역을 맡는다. 더빙판 성우는 홍진욱. [5] 경찰: "도대체 누가 먼저 삿대질한 거지?" / JJ: "당연히 스파이더맨이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