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7-26 20:23:55

순우의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淳于意
생몰년도 미상

전한 문제 시대의 명의. 흔히 창공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졌다.

청주 제국 임치현 사람으로 제국의 태창 장관이고 젊어서부터 의술을 좋아했고 공손광, 양경 등에게 차례로 의술을 배웠으며, 기원전 180년에 양경에게 배워서 비전의 의서, 황제, 편작이 남긴 맥서를 전수받았다. 그 맥서는 얼굴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빛깔을 보고 오장의 병을 진단해 병자의 생사를 판별하고 병의 증세를 알아내 치료법을 결정하는 것이며, 3년간 가르침을 받아 사람의 병을 고쳐주고 생사를 판단하는 것이 효험이 많았다.

그러나 여러 제후국들을 돌아다니면서 노닐기만 하고 집을 집으로 여기지 않거나 때로는 남의 병을 치료해주지 않기도 해서 병자가 있는 집에서 그를 원망하는 자가 많았다고 하며, 기원전 176년에 고발당해 신체를 불구로 만드는 형벌을 받게 되자 사내 아이를 낳지 않아 긴급할 때 쓸 자식이 없다고 한탄했다. 이에 딸인 순우제영이 한문제에게 사정해 벗어날 수 있었다. 죄를 면하고 집에 돌아간 후에 한문제가 조서를 내려 순우의가 치료해서 효험있는 자, 순우의의 의서, 의술, 약제 등에 대해 물었다.

이에 순우의는 양경에게 비전의 의서를 전수받고 3년간 배운 것을 이야기한 후에 환자들을 치료하거나 진단한 것을 이야기했는데, 다음과 같다.
  • 제의 시어사 성의 종기에 대해 그가 죽을 것이라 진단한 것
  • 제왕 유장여의 아들의 기격병을 치료한 것
  • 제의 낭중령 순이 아랫배가 아파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병을 치료한 것
  • 제의 중어부의 장관인 신의 열병을 치료한 것
  • 초나라의 아전이 한기를 쐬면 고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 것
  • 제왕 유장여의 태후의 소변을 보지 못하는 병을 치료한 것
  • 제나라의 조산부가 소갈, 한열병으로 죽을 것이라 진단한 것
  • 제나라의 중위 반만여가 아랫배의 통증을 앓자 소변에 피가 나와 한 달 후에 죽게될 것을 진단한 것
  • 양허후 유장여[1]의 승상 조장이 동풍으로 죽을 것이라 진단한 것
  • 제북왕 유지의 풍궐을 치료한 것
  • 제나라 북궁 사공의 부인인 출오의 기산을 치료한 것
  • 제북왕의 유모의 열궐을 치료한 것
  • 제북왕의 시녀 수가 과로로 죽게 될 것을 진단한 것
  • 제나라의 중대부의 충치를 치료한 것
  • 치천왕의 미인의 병을 치료하고 해산할 수 있게 한 것
  • 제나라의 승상 가신의 하인이 죽게 될 것을 진단한 것
  • 치천왕의 궐을 치료한 것
  • 제왕의 왕후의 동생인 송건이 뼈가 상한 것을 치료한 것
  • 제북왕의 시녀 한녀가 월경이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 것
  • 임치현의 박오의 요하를 치료한 것
  • 제나라의 사마인 순우씨의 동풍을 치료한 것
  • 제나라의 중랑 파석이 죽을 것을 진단한 것
  • 제왕의 시의 수가 몸속에 열이 차고 있는 병을 진단한 것[2]
  • 제왕 유장여가 양허후일 때 궐을 치료한 것
  • 안양현의 성개방의 답풍에 걸려 손발을 쓰지 못하고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되다가 죽을 것이라 진단한 것
  • 안릉의 공승 항거가 모산에 걸린 것을 진단하고 방사를 절제하지 않으면 죽을 것이라 진단한 것

한문제가 진찰해 고친 병이 명칭이 같은 것이 많은데도 진단이나 생사여부가 다른 것을 묻자 이에 대해 설명했으며, 제후, 왕, 대신 중에 치료를 구하지 않은 사람이 있는 것에 대해 묻자 관리가 구속할까봐 두려워해서 가지 않는 것, 제문왕의 병에 대한 것을 이야기했다. 한문제가 양경에 대한 것을 묻자 양경은 누구에게 전수받았는지 알 수 없지만 부유해서 남의 병을 고치려고 하지 않았기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하며, 공손광을 통해 양경을 알게 되어 의술을 배웠다는 것을 이야기했다.

의술을 가르친 자에 대해 묻자 임치현의 송읍, 제북왕의 태의 고기, 왕우, 치천왕의 태창의 마장인 풍신, 고영후의 집사인 두신, 임치현의 당안 등을 이야기했으며, 병을 진찰한 것에서 실수가 있는 것을 묻자 마음이 정밀하게 볼 수 없는 상태일 때는 사기를 예측해 단정하기도 하고 치료할 수 있는 병으로 보기도 해서 때때로 실수해 완전하게 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사마천 사기(역사책)에 순우의의 일화를 춘추시대 진월인과 함께 엮어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으로 수록했다. 위 이야기도 편작창공열전에 실려 있는 내용.


[1] 유장여는 양허후였다가 제왕이 된 것이다. [2] 순우의는 진단법을 알려주면서 오석을 달여 먹지 말라고 했만 수는 그 방법을 따르지 않고 자가진단을 했는데, 순우의는 100일여 후에 종기가 유방 위에 생겼다가 결분 속으로 들어가다가 죽을 것이라 했고 수는 그 말대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