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d5c5c> 구조 | 대뇌 | 뇌량 | 전두엽 (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두정엽 (감각 피질) | 측두엽 ( 해마 · 베르니케 영역)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
사이뇌 | 솔방울샘 | 시상 | 시상하부 | 뇌하수체 | 시상밑부 | 시상상부 | ||
소뇌 | |||
뇌간 | 중뇌 | 교뇌 | 연수 | ||
기저핵 | 선조체 | 창백핵 | 흑질 | 시상밑핵 | ||
그 외 | 뇌실 | 뇌척수액 | 변연계 ( 편도체 · 해마) | ||
주요 신경전달물질 | 글루탐산 | GABA | 도파민 | 세로토닌 | 아세틸콜린 | 노르아드레날린 | 히스타민 | ||
이론 |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 |
[clearfix]
1. 개요
솔방울샘 | Pineal Gland뇌의 내분비샘 중 하나로 인간에 경우 뇌량의 뒷부분 아래에 위치하며 솔방울 모양을 하고 있다. 예전에는 한자로 송과선(松果腺)이라고도 했다.
2. 특징
척추동물별 솔방울샘(pi)과 두정안(pp) 구조
눈 중에서 두정안, 두정안이 퇴화된 동물은 일반 눈의 망막에서 외부 밝기에 대한 정보를 받거나 솔방울샘 자체가 머리 표면까지 연장되어 빛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1]
그에 따라 밝으면 일광욕을 해 체온을 조절하고( 변온동물), 어두워지면 이곳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을 생성 및 방출한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데, 멜라토닌이 수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체내 멜라토닌 수치가 가장 높을 때 잠을 더 잘 잘 수 있다.
척추동물 진화 초기에는 미간에 있는 눈과 비슷한 기관인 ' 두정안'이라는 기관으로 햇빛을 보고 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정온동물인 척추동물( 포유류, 수각류 등)에서는 그 필요성이 적어져서 두정안은 퇴화되고 두개골 안쪽에 솔방울샘만 남았다. 인간의 솔방울샘은 대뇌의 밑, 간뇌의 시상 상부에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작은 솔방울과 비슷하게 생겼다.
3. 질병
나이가 들수록 이곳에 석회질이 쌓여서 멜라토닌 분비가 일어나지 못하고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마찬가지로 플루오린(불소)이 너무 과하면 솔방울이 석회화 하는데에 영향을 끼쳐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고 한다. # 그래서 수돗물 불소화 반대론의 근거로 쓰이기도 한다.
4. 대중 매체에서
- 저 너머에서: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단편소설. 솔방울샘이 중요한 소재로 나온다.
- 지옥인간: 해당 소설을 영화화한 스튜어트 고든 감독의 영화다.
- 팀 포트리스 2: 헤비의 근접무기 '강철 주먹'[2]에는 솔방울샘이 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이것을 때려부술 수 있게 만들어졌다는 골때리는 설명이 달려있다. 공식 코믹스에서는 메딕이 죽은 스나이퍼를 살리려고 이것저것 때려넣는 와중에 대왕고래의 솔방울샘까지 때려넣는다. 그리고 스나이퍼는 12시간만에 부활한다.
5. 여담
[1]
이런 구조를 솔방울눈(Pineal eye)이라고 부른다.
[2]
들고 있으면 받는 원거리 공격 피해가 감소하지만 받는 근거리 피해가 증가한다.
[3]
재미있는 점은, 데카르트의 이 솔방울샘 발언은 정신이 육체의 일부라는 사실을 인정해버린 것과 다름이 없다는 것이다. 정신이 솔방울샘에 깃드는 순간, 솔방울샘=정신이 되어 정신은 신체의 일부가 되어버리기 때문. 데카르트 입장에서는 심신이원론의 한계를 보완할 일종의 예외를 설정한 것이긴 한데, 이 때문에 다른 철학자들인 팔츠의 엘리자베트 공주나
바뤼흐 스피노자한테 자기가 비판하던 스콜라 철학자들처럼 괜히
신비주의적인 요소를 덧붙였다고 태클을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