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0:56:07

소속사 안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POP'''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bebeb><colcolor=#000> 일반 K-POP ( 역사 · 해외 · 평가) · 한류 음악산업 통계 · 한국 음원시장
아티스트 분류 한국 가수 · 한국 아이돌 ( 목록 · 역사) · 다국적 아이돌 그룹 · 현지화 아이돌 그룹
걸그룹 ( 목록 · 역사 · 포지션) · 보이그룹 ( 목록 · 역사 · 포지션) · 혼성그룹 · 아이돌 밴드
유닛 · 남성 솔로 · 여성 솔로
인원 ( 2인조 · 3인조 · 4인조 · 5인조 · 6인조 · 7인조 · 8인조 · 9인조 · 10인조 이상)
그룹이 변경된 아이돌 · 연기돌 · 형제 그룹 (자매 그룹)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연예 기획사 · 대형 기획사 ( 4대 기획사: SM · JYP · YG · HYBE) · 프로듀서 · 매니저 · 연습생 · 오디션 ·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 문화 팬덤 ( 목록 ( 아이돌 그룹)) · 응원도구 · 응원문구 · 굿즈 ( 그룹별) · 삼촌팬 · 유사 연애 · 홈페이지 마스터 · 총공
직캠 · 안무 영상 · 팬송 · 오프 ( 팬사인회 · 팬미팅 · 위문공연) · 소속사 안티 · MR 제거 · 리액션 비디오 · 커버 · 교차편집 · 엔딩요정 · 군통령 · 군백기 · 팬튜브 · 랜덤 플레이 댄스
각종 기록 및
순위
써클차트 ( 1억 스밍 · 2억 스밍 · 250만 다운 · 500만 다운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멜론 차트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 지니차트 · 벅스차트 · 한터차트 · 아이차트
초동 기록 (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 총판 기록 (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유튜브 조회수 순위 ( 최초 24시간 · 1억 달성 시간) · 유튜브 좋아요 순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케이팝 레이더 · 빌보드 차트 한국 가수 기록 · 컴백 기록 · 역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기록 · 역대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 달성 앨범
대중음악 시상식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 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멜론의 전당 · 멜론 선정 명반 · 스페이스 공감 선정 2000년대 한국대중음악 명반 100
활동 플랫폼 콘서트 ( 공연장, MC) · 유튜브 채널 · K-POP 플랫폼
음악 방송 · 뮤직뱅크 ( 차트 · 순위) · 쇼! 음악중심 ( 차트 · 순위) · SBS 인기가요 ( 차트 · 순위) · 엠 카운트다운 ( 순위) · 쇼챔피언 ( 순위) · 더 쇼 ( 순위) · Simply K-Pop · MC
논란 및 문제점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 · 음원 사재기 · 음반 사재기 · 아이돌 7년 징크스 · 악성 개인팬 · 사생팬 · 극성팬 · 까빠 · 외퀴
}}}}}}}}} ||

1. 개요2. 원인
2.1. 비난을 표출할 곳의 필요성2.2. 소속사의 운영능력 문제
2.2.1. 팬덤의 니즈와 소속사의 입장 충돌2.2.2. 아이돌 7년 징크스
3. 사례

1. 개요

어떤 팬덤이 그 팬덤 대상에 대한 애정은 유지하는 가운데 그것을 소유, 지배하는 주체에 대해서는 적대적으로 대하는 것이다.경우에 따라서는 팬덤 뿐만 아니라 소속 연예인이 직접 회사를 까는 경우도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이홍기.

2. 원인

2.1. 비난을 표출할 곳의 필요성

기본적으로 팬들은 무언가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하고 싶을 경우 자신이 아끼는 연예인 대신 다른 것을 탓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것이 작곡가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소속사나 사장인 경우가 많으며 팬덤에 이런 기조가 깔려있는 것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런 원인으로는 원래 상품에 문제점이 있으면 상품과 회사에 모두 불만을 가지는 일반적인 소비자와 다르게 연예계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에 대한 비판이나 불만은 철저하게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다보니 이런 기조와 다르게 연예인들은 연습생 시절부터 데뷔 초까지는 소속사의 계획과 운영 하에 육성되고 만들어진 기획 상품이며, 데뷔 연차가 쌓이고 나서는 연예인 본인들도 기획에 어느정도 관여하기 때문에 둘을 완전히 별개의 관계로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둘을 분리해서 바라본다. 그리고 이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은 완벽하지만 소속사는 언제나 문제라는 마인드를 가지게 되어 잘되면 연예인이 잘나서, 잘 안되거나 문제가 터지면 소속사 때문이라는 이중잣대를 들이대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연예인의 잘못으로 인해 사건이 터지더라도 소속사를 지적하는 경우도 많고 소속사와 연예인 사이에 문제가 생기면 무조건 연예인의 편을 든다.[1]
이렇게 소속사를 악의 축으로 취급하는 이유 중 하나가 대체로 운영 주체인 소속사는 그 활동과 평가가 피운영대상인 연예인이나 운동 선수에 비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비록 팬덤은 그 대상에 대하여 SNS나 커뮤니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일반적인 수준 이상의 정보를 얻는 경우가 드물게나마 있지만 결국 불특정 다수로부터 검증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어서 올바른 정보인지 여부는 상당히 불투명하다. 여기에 팬덤의 맹목적인 성향이 겹쳐 해당 연예인에 의한 효과를 과대 평가하거나 소속사의 전략을 비난한다.

2.2. 소속사의 운영능력 문제

팬들이 주장하는 소속사 안티가 되는 또하나의 이유 중 하나로는 소속사의 부족한 일처리를 꼽는다. 문제는 이걸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충분한 인원이 필요한데 업계가 운영되는 자본 규모에 비해 4대 소속사 중 HYBE를 제외하면 다른 분야의 중견기업들에 비해 사원의 수가 적은 편이다. 그래서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각종 구인구직 사이트 후기에서 연봉에 비해 과도한 업무와 야근이 빠짐없이 언급되는 만큼 다른 기업들에 비해 4대 소속사나 영세한 소속사나 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업무 강도가 높기로 유명하다. 게다가 사내 노조도 없고 제대로 된 인사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합리적인 절차가 부족해 사기업에서 이루어지는 폐쇄적인 조직 내부에서의 의사 결정 내용은 정상이 아닌 경우가 많다. 직원들의 경우에도 어지간한 대기업에 준하는 조건과 능력을 요구하는 직책인 경우도 있지만 회사나 부서에 따라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 등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다른 분야에 비해 업무 수행의 편차가 큰 편이다.[2]

이는 연예계 산업이 요구되는 자본력에 비해 굉장히 리스크가 큰 산업이기 때문이다. YG 보석함에서 신인 개발팀의 직원은 연습생 한 명에게 투자하는 비용이 연 1억 정도라고 언급했으며, 블랙아이드필승의 라도도 구라철을 통해 걸그룹을 하나 육성하는 돈이 제대로 할 경우 20억 가까이 들어 적어도 그 이상 수익이 나야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투자된 비용을 통해 그룹이 뜬다면 그만큼 큰 수익을 얻게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이 비용들이 적게는 수십억, 많게는 수백억 단위의 적자로 고스란히 축적된다.

그러다보니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 영역을 줄여 피해를 최소화 해야하는데 그 중 하나가 인건비다. 그래서 소속 연예인이나 연습생 수에 비해 이를 관리할만한 직원의 수는 턱없이 부족한데 실제로 웹예능인 장스타에서 울림엔터테인먼트 방문 에피소드를 통해 소속 아티스트 수에 비해 지나치게 작은 부서 규모와 열악한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소수의 인원이 필요 이상의 업무량을 수행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일처리도 느려지고 질과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2.2.1. 팬덤의 니즈와 소속사의 입장 충돌

아이돌 그룹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뜨기 위해 필요한 시기의 마지노선이 2~3년이라는 것은 이 기간 내에 어느정도 손익분기점을 달성해야 회사에도 미래가 생긴다는 의미에 가깝다. 그래서 이 시기 내에 어떻게든 뜨기 위해 데뷔 초부터 방송도 몇 개씩 출연하면서 동시에 쉬지 않고 각종 행사 스케줄을 소화한다. 이때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하거나 지출폭이 더 커질 경우 적자를 감당하지 못한 대부분의 소속사는 연예인을 방치하다 계약만료와 함께 관계가 끝난다.

그렇다고 손익분기점을 넘으면 그것으로 끝이 아니고 데뷔 후 3년 정도 시간이 지나면 소속사에서는 회사와 기존 그룹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뿐만 아니라 차기 그룹을 준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그룹이 커져서 투자금을 회수할 때 쯤 해외 활동처럼 시장 규모와 수익 구조상으로 이익을 더 많이 낼 수 있는 스케줄들 위주로 하게 된다. 문제는 추가적인 비용을 마련해 투자한 후속 그룹이 데뷔를 했는데 뜨지 못해 이익은 전혀 없고 지출만 장기화가 될 경우 이미 수익이 안정화 된 기존 연예인이 모든 비용을 커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수익을 내고 소속사를 유지하기 위해 활동이 더 많아지고 국내와 해외를 오가는 활동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혹사 논란이 나오게 된다. 즉, 데뷔 초의 혹사는 소속사가 연예인의 지망생 단계부터 불확실한 가능성 하나만 믿고 투자한 것에 대해 증명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문제라면 어느정도 궤도에 오른 뒤에는 대부분 소속사의 생존과 직결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연예인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이상 1차적으로는 기획과 마케팅에 실패해 팔릴만한 요소를 만들어내지 못한 소속사의 책임이 가장 크며 그렇다고 팬덤이 이런 소속사의 자본 사정까지 따져가며 소비해줘야 할 의무는 없다. 그러다보니 회사로서는 어떻게든 운영을 위한 수익을 내고자 최대한 적은 노동력과 비용을 지출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렇게 비용을 아끼고 아껴 제작한 앨범이나 컨셉 포토, 영상 자료는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멋진 모습을 바라는 팬들의 눈에 차지 않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을 위해 이윤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소속사와 달리 좋아하는 연예인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더 많이 소비하고 싶어하는 팬덤의 기대는 필연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해외투어는 소속사나 아티스트에게 많은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마디로 찬밥에 이미 잡힌 물고기 취급이라는 점에서 분노하게 된다. 이 문제는 아이돌만 그런게 아니라 대중음악의 역사가 시작한 이래 자유로운 활동을 원하는 아티스트와 수익을 추구하는 음반회사 간 갈등도 마찬가지다. 당장 대중음악 최고의 스타인 비틀즈도 EMI가 요구한 하드한 스케줄에 지쳐서 음반도 제대로 안 나오고 갈등이 격화되었던 사례가 있다.

2.2.2. 아이돌 7년 징크스

이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아이돌 7년 징크스이다. 이 징크스의 원인은 철저하게 소속사와 아티스트 간의 갑을관계 때문이라 최장 7년까지 보유할 수 있는 소속 아티스트의 영업권을 가지고 수익을 내고자 하는 소속사와, 소속사의 간섭이나 제한 없이 아티스트의 활동을 마음껏 보고 싶어하는 팬덤의 갈등이 악화될 때 출현하는 것이 소속사 안티다. 특히나 아이돌 그룹의 경우는 아티스트 개인의 개성 못지 않게 소속사를 거쳐 만들어진 컨셉과 설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게 갈라져버리면 아이돌그룹의 정체성이 분열되거나 소실될 가능성이 커서 팬들만 일방적으로 손해볼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팀이 계약해지로 끝장나는 사태는 피하고 싶어하는 열성 팬덤이 소속사 안티로 변질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3. 사례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티스트 혹사와 방치 문제는 대다수의 중소기획사로 아티스트 예시 없이 통합 서술 }}}}}}}}}
  • 대다수의 중소기획사 - 기본적으로 상당한 자본과 리스크가 동반되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특성상 투자 규모에 한계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인력이나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데뷔 후 계속 앨범을 내는데도 수익이 나지 않으면 어느 순간부터 소속사에게 계약 만료 전까지 활동 없이 장기간 방치를 당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그나마 최소한의 인지도라도 있다면 걸그룹은 지방 소규모의 행사에 동원되고, 보이그룹은 해외 프로모션을 돌다가 어느 순간 국내에서의 공백기가 장기화되고 계약만료로 인해 자동으로 활동이 종료되는 경우가 많다.


[1] 스포츠 팬들도 이런 반응을 보이곤 한다. '우리 팀은 잘하는데, 우리 선수는 잘하는데...누구 때문일까?'라는 심리로 특정인을 타겟 삼아 욕하는 것이다. 주로 감독이 타겟이 된다. [2] 채용사이트 기준으로 다수가 신입 또는 경력을 내세우거나 경력이라도 년수 무관을 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팀장급 요구 사항도 다른 분야와 비교하면 이제 경력직에 진입한 수준이다. 학력 또한 일부 소속사를 제외하면 2~3년제나 무관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