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7:09:47

새남터 성지

1. 개요2. 새남터 순교자

1. 개요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 성당 홈페이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관리하는 성지.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신부들과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수녀들이 사목을 맡고 있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을 타고 한강철교를 건너 용산역으로 진입할 때 서쪽에 바로 보이는 그 한옥 건물이 그곳이다. 한옥 건물은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 성당으로 한국 천주교 전래 200주년이었던 1984년 공사를 시작해 3년에 걸친 공사로 완공되었다.

파일:external/info.catholic.or.kr/%BB%F5%B3%B2%C5%CD_%BF%DC%BA%CE_SH100372.jpg
사진은 2009년

조선 시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 한강변 새남터가 있던 곳이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도 여기서 처형당했다.[1] 당대의 교황청에서는 Sai-Nam-Tho[2]라는 음역된 이름으로 파악하고 있었던 듯하다.

조선 초기부터 군사들의 연무장으로 사용되었고, 국사범을 비롯한 중죄인의 처형장으로 사용되어 왔던 새남터는 1801년( 신유박해)부터 1866년( 병인박해)까지 최초의 선교사 순교자인 중국인 주문모 야고보 신부와 프랑스인 사제[3], 김대건 신부를 포함한 11명의 목자들이 이곳에서 거룩한 순교의 피를 흘렸다. 가톨릭 굿뉴스-성지 정보

파일:external/info.catholic.or.kr/%BB%F5%B3%B2%C5%CD2_%B1%E2%B3%E4%B0%FC%B3%BB%BA%CE_SH105759.jpg

한편 현재 서울 서대문역 인근 서소문 공원 쪽은 조선 시대 대표적인 처형장이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주로 평신도들이, 새남터 자리에서는 주로 사제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그래서 서소문 밖 네거리를 ‘평신도들의 순교지’라고 한다면 이곳은 ‘ 사제들의 순교지’로 부르기도 한다.

용산역에서 이어지는 철길과 가까운 곳에 있어 주변이 한적한 편. 처음 찾아가는 사람은 길을 잘 물어보고 가자. 건물 모양이 기와집 형태여서 주변 건축물과 잘 구분되는 편이다. 서울행 열차를 타고 한강철교를 건너면 왼쪽 편에 전통 양식의 건물에 십자가가 있어 눈에 띄게 보인다.

미리내 성지 한국 103위 순교성인 성당과 달리, 새남터 성지에 있는 새남터 성당은 주일 학교와 청년부가 존재하는 사목구 성당이다. 성지 자체가 한강변 아파트 단지 한복판에 있기 때문이다.

2. 새남터 순교자

  • 복자 주문모(周文謨) 야고보 신부(1752년 - 1801년)[4]
  • 성 앵베르(범세형) 라우렌시오 주교(1796년 - 1839년)[A][6]
  • 모방(백다록)[7] 베드로 신부(1803년 - 1839년) [A]
  • 성 샤스탕(아각백)[9] 야고보 신부(1803년 - 1839년)[A]
  •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신부(1821년 - 1846년)[A]
  • 성 현석문(玄錫文) 가롤로(1797년 - 1846년)[A]
  • 성 베르뇌(張敬一) 시메온 주교(1814년 - 1866년)[B][14]
  • 성 도리 헨리코 신부(1839년 - 1866년) [B][16]
  • 성 브르트니에르 유스토 신부(1838년 - 1866년)[B]
  • 성 볼리외(서몰례, 徐沒禮) 루도비코 신부(1840년 - 1866년)[B]
  • 프티니콜라 신부(1828년 - 1866년)
  • 푸르티에 신부(1830년 - 1866년)
  • 성 우세영(禹世英) 알렉시오(1845년 - 1866년)[B]
  • 성 정의배(丁義培) 마르코(1795년 - 1866년)[B]


[1] 시신은 천주교 신자들이 비밀리에 반출하여 경기도 안성에 몰래 묻었다. 그곳이 지금의 미리내 성지. [2] 끝의 음절 '터'에 대해서는 The, Nte 등 다양한 음역이 존재한다. [3] 이들은 모두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4] 2014년 8월 16일 시복. [A] 1925년 7월 5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6] 제2대 조선대목구장. [7] 베드로의 한자 음차. [A] 1925년 7월 5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9] 야고보의 한자 음차. [A] 1925년 7월 5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A] 1925년 7월 5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A] 1925년 7월 5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14] 제4대 조선대목구장.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16] 리슐리외 추기경이 사목하던 교구인 프랑스 뤼송교구 출신.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 [B] 1968년 10월 6일 시복, 1984년 5월 6일 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