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의 통화 | |||
|
|||
유로 ( ( ( 안도라) |
|||
유로(비협약) ( 몬테네그로, 코소보) |
|||
불가리아 레프 | 세르비아 디나르 | 태환 마르카 |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
루마니아 레우 | 알바니아 레크 | 튀르키예 리라 | 지브롤터 파운드 |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통화 변천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영토 및 지역 | 1918 ~ 1919 | 1920 ~ 1940 | 1941 ~ 1943 | 1944 ~ 1991 | 1992 | 1994 | 1995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6 | 2007 ~ 2022 | 2023 |
마케도니아 (남부 세르비아) |
세르비아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KJ 디나르) |
불가리아 레프(동부) 알바니아 레크(서부)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기 ~ 3기) |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4기 ~ 7기 1차)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2차) |
세르비아 디나르 | ||||||||||
코소보 | 알바니아 레크 | 독일 마르크 |
유로 (비협약) |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페르페르 | 이탈리아 리라 | ||||||||||||
슬로베니아 | 유고슬라비아 크로네 | 독일 제국마르크 | 슬로베니아 톨라르 | 유로 | 유로 |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쿠나 | 크로아티아 디나르 | 크로아티아 쿠나 | |||||||||||
크라이나 | 크라이나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 | 태환 마르카 | ||||||||||||
스릅스카 | 스릅스카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
}}} |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ски Денар ( 마케도니아어)
1. 개요
북마케도니아의 디나르 계열 통화[1]. ISO 4217 코드는 MKD[2], 기호는 앞의 3글자를 따와 ден(덴)으로 표기하며 보조단위는 데니(дени)이나 실물 화폐는 실험용 1종류 밖에 없어서 사실상 없는 것과 다름없다.한국을 포함한 타국에서는 간혹 북마케도니아 달러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복수형은 데나리라고 읽는다.
1992년 4월 26일에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등가비로 대체하며 첫등장했고, 1년 후인 1993년 5월 5일에 1:100 비율의 신 데나르로 교체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물가는 낮은 편으로 식당 물가가 100 ~ 300데나르가량, 시내 교통비는 약 50데나르, 종합 하루 체류비용이 비싸봐야 1,500~2,000데나르 선에서 해결될 정도.
인플레이션은 2.8%(2013년 추정)이며 2024년 12월 현재 환율은 약 25원.
1 EUR = 61.3644 MKD +/- 1%의 비율로 유로와 고정환율을 맺고 있다.
2. 1기 (MKN)
1992 | 앞면 | 뒷면 | |
ден10, 25, 50, 100, 500, 1000 | 담배 수확 | 크루셰보의 성 일리야제의 기념물[3] | |
ден5,000 | 워드프로세서를 쓰는 여인 | ||
ден10,000 | 오흐리드의 성 소피아 교회 | 마케도니움 & 전통춤 추는 사람들 |
- 이 시리즈에는 동전이 없다.
- 슬로베니아 조폐국에서 찍은 것을 수입해다가 썼다. 여기서의 관점 포인트는 슬로베니아도 구 유고연방의 일원이었고, 첫번째로 탈퇴한 나라라는 것. (마케도니아는 두번째.) 그래선지 품질은 정말 조악했다.
3. 2기 (MKD)
3.1. 1차 (구권)
앞면 | 뒷면 | ||
ден10 | 고지대 주택 | 린덴 기념물 | |
ден20 | 탑 | 다우드파샤 터키탕 | |
ден50 | 국립은행 | 성 팔틸레이몬 동방 정교회 교회 | |
ден100 | 국립 박물관 | 성 소피아 성당 | |
ден500 | 오흐리드성 | 성 요한 동방 정교회 교회 |
3.2. 2차 (현행권)
1996년부터 등장한 시리즈.2019년 2월 19일 국명이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바뀜에 따라 화폐의 변경 또한 불가피해지게 됐었는데, 이듬해인 2020년부터 500데나르를 시작으로 북마케도니아로 국명을 수정해서 재발행을 진행하고 있다.
앞면 | 뒷면 | ||
ден10 | 토르소, 귀걸이 | 스토비 성당 바닥의 공작 모자이크 | |
ден50 | 성 판텔레이몬 교회, 폴리스 청동화[4] | 성 지오르기교회의 수태고지화 | |
ден100 | 바로크식 목조 천정 장식판 | 1594년의 스코페[5] | |
ден200 | 테라코타에 조각된 여호수와와 갈렙 | 사레나 자미야 모스크의 아라베스크 문양 | |
ден500 | 트레베니쉬타 공동 묘지의 데스마스크 | 양귀비꽃 | |
ден1,000 | 성 브라치-말리 교회의 마리아와 예수 이콘 | 오흐리드 성 소피아 성당의 벽면 | |
ден2,000 | 전통 복장을 입은 신부 | 금도금 꽃병의 공작 모자이크 | |
|
춤추는 바커스의 여사제 | 케르베로스 모자이크 |
- 2014년 11월 말에 200, 2000데나르 신권발행계획을 발표했으며 언제 나올지는 미지수였다가 2016년 12월부로 발행되었다. 또 기존의 최고액인 5000데나르(약 11만원)는 2017년 3월 1일부터 유통 정지되며 무기한으로 중앙은행에서 소액권으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 10, 50데나르권은 2018년 5월 말부터 폴리머로 전환했으며 1년 후부터는 해당 면소재 지폐 역시 은행에서 폴리머로 교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3.3. 동전
초반에 50데니 및 1, 2, 5, 10, 50데나르화가 발행되었다.이중에서 50데니화는 1993년 단 한차례만 시험삼아 찍었으며 고작 10원에 불과한 가치와 불필요한 단위라는 점에서 제대로 풀리지도 못한채 2013년에 완전 폐기당했으며 10, 50데나르화의 경우 기존의 지폐를 더 선호함에 따라 잘 쓰이지 않아 마찬가지로 폐기되었다.
그렇게 남은 1, 2, 5데나르 3종은 잘 쓰여지고 있으며 2020년부터는 변경된 국호인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수정되어 발행하고 있다.
ден1 : 사프라니낙
ден2 : 오흐리드송어
ден5 : 발칸시라소니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e600><colbgcolor=#d20000> 상징 | <colcolor=#000,#fff>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2016년 혁명 ·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
외교 | 외교 전반 · NATO · 유럽안보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 |
국방 | 북마케도니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마케도니아어 | |
지리 | 발칸반도 · 마케도니아 · 스코페 · 오흐리드 | |
민족 | 마케도니아인 |
[1]
명확히는 고대 로마의 통화,
데나리우스에서 직접 가져왔다. 고대 마케도니아와는 무관하다.
[2]
이전엔 MKN
[3]
별칭은 마케도니움.
[4]
고대 로마(~동로마 제국)와
바빌로니아의 동전으로 29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개혁 목적으로 도입했으며
라틴어로 가죽주머니를 의미한다. 상단의 북마케도니아 국립은행 로고에도 그려져 있다.
[5]
야코부스 하레빈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