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8:52:56

부천 버스 7-3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7-3.jpg
마지막 운행일이었던 2016년 7월 15일에 촬영.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천시 CI_White.svg 부천시 일반형버스 7-3번
기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송내역) 종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화곡역)
종점행 첫차 04:50 기점행 첫차 05:50
막차 22:40 막차 23:40
평일배차 13~20분 주말배차 25~35분
운수사명 소신여객 인가대수 7대[1]
노선 송내역 - 사랑마을 - 넘말 - 계남중학교 - 유베이스 - 신중동역 - 약대동주민센터 - 부천체육관 - 부천테크노파크 - 삼정사거리 - 도당사거리 - 오정구청 - 고강1동주민센터 - 신월5동주민센터 - 화곡역

2. 개요

소신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3. 역사

  • 1995년에 다른 7번 시리즈들과 함께 개통했으며, 당시에는 송내역 - 복사골문화센터 - 노동부사무소 - 설악마을 구간을 운행했었다.
  • 2001년에 송내역 - 사랑.보람 - 넘말 - 그린타운 - 증흥.은하 - 덕유마을 - 테크노파크로 변경되었다.
  • 2009년 8월 31일에 기존 테크노파크 회차에서 오정구청(現 오정어울마당) 회차로 연장되었고 출발지가 기존 송내역에서 상동차고로 연장되면서 '벚꽃마을 - 타이거월드 - 행복한마을 - 하얀.백송 - 부천정보산업고 - 송내역' 구간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0년 7월 29일에 회차구간이 '근화아파트 → 백산빌라 → 오정구청 → 원종사회복지회관 → 대한노인회 → 수도로 → 근화아파트'에서 '근화아파트 → 백산빌라 → 오정구청 → 신동문아파트 → 오건아파트 → 원종사거리 → 방배아파트 → 수도로 → 근화아파트'로 바뀌었다. 또한 '부천초교사거리 - 중원초교 - 덕유마을3단지 - 덕유.설악마을' 구간이 '부천초교사거리 - 신흥시장 - 약대동주민센터 - 덕유.설악마을'로 변경되었고, '상동차고 - 상동 - 송내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2년 10월 25일에 중앙공원.미리내마을, 부천시청, 덕유.설악마을 대신 위브더스테이트5단지, 신중동역, 부천세무서 경유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북부천전화국, 원종사거리 대신 도당교, 원종2동주민센터 경유로 바뀌었다. 또한 기점이 고강동으로 변경 및 연장되면서 기점과 종점이 맞바뀌었다. 관련 게시물
  • 2013년 3월 3일에 '고강공영차고 - 화곡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동시에 또 다시 기점과 종점이 맞바뀌었다.
  • 수요 저조로 인해 2016년 4월 이후 6-1번, 96-1번과 함께 폐선이 예고되었다. 소신여객 공지사항 나머지 두 노선은 7월 1일에 각각 폐선/이관되었지만, 7-3번은 그대로 남았다.

4. 특징

  • 굴곡이 많은 노선이었다. 오정구청 종점 시절까진 나쁘지 않은 선형이었으나 2012년 10월에 노선이 개편되면서 노선 전체적으로 굴곡 구간이 급격히 많아졌다.
  • 한국빌딩.유베이스[2] 정류장과 두산위브트레지움2단지[3] 정류장은 이 노선만 정차하였다.
  • 상대적으로 긴 배차간격, 수많은 대체 노선, 의도를 알 수 없는 굴곡과 소신여객의 노선 운영 의지 결여 등 많은 요인들로 인해 폐선되는 그 날까지 적자를 벗어나지 못 하던 소신여객의 찬밥 신세 노선이었다.
  • 2009년 이후로 노선 변경이 자주 있었다. 기종점 연장 및 단축은 물론 중간 구간 변경도 많았는데, 특정 구간을 거의 다른 노선 수준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얕게나마 있던 기존 수요층이 상실되는 와중 신규 수요 창출까지 저조하여 제자리걸음만 하다가 폐선까지 이어지고 말았다.
  • 노선이 변경될 때마다 증차가 이루어져 한시적으로 배차간격이 대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적이 있으나, 오래 가지 못하고 바로 감차되어 시간이 지나면 결국 1시간에 육박하는 배차간격으로 회귀하곤 하였다.[4]
  • 이는 화곡역 연장 당시에도 그대로 이어져 2013년 3월 9대로 증차되어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것이 1달도 못 가 5대로 감차되어 30분 간격으로 감회되었으며 2015년 이후 중형화되어 3대로 1시간 넘는 간격을 폐선되는 날까지 유지하였다.
  • 소신여객에서 이 노선을 살리기 위해 수 차례 노선 변경 시도를 하였으나 결과는 항상 공기수송이였다. 화곡역 연장 이후에는 수요도 급증하고 배차도 이전보다 훨씬 촘촘해져 드디어 노선이 성장하나 했으나 어김없이 바로 감차되는 바람에 다시 공기수송 노선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배차간격도 들쑥날쑥하였으며 폐선 직전에는 파행 운행으로 심하면 배차간격이 2시간 가까이 될 정도였다.

5.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3대로 운행. [2] 본래 5-2번이 지나던 구간이지만 2012년 10월 폐선 이후 이 노선이 정차하게 되었다. [3] 나성빌딩 옆이 아닌 단지 정문 옆에 있는 정류장. [4] 실제로 2012년 10월 고강동 연장 및 노선 변경 당시 배차 1시간을 유지하던 노선이 20~30분 간격으로 줄어든 후 화곡역 연장 직전 다시 2대 운행, 1시간 간격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