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7 04:25:40

보수양당제

1. 개요2. 사례
2.1. 현재의 사례2.2. 논란이 있는 사례2.3. 과거의 사례

1. 개요

양당제의 한 종류로, 2개의 보수 정당(또는 연합)이 정계의 우위를 점하는 경우이다.

사실 범주가 어디까지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2개의 보수· 우익 정당이 정계를 주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보수·우익 정당의 강력한 상대가 자유주의· 중도 정당인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양당제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2. 사례

2.1. 현재의 사례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고정된 정당 제도를 시행하지는 않으며, 대신에 개혁파(중도파)와 원칙파(보수파)로 뭉칠 뿐이다. 다만 파벌 정치의 특성상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 파벌이 사실상 범여권으로 볼 수 있다.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우익 성향의 법과 정의당과 중도우파 성향의 시민 연단이 보수양당제를 구성하고 있다. 과거에는 보수 양당의 전신과 중도좌파 민주좌파연합의 전형적인 보혁 체제였으나(다만 양당제는 아니었음), 민주좌파연합의 몰락 이후 보수양당제로 굳어졌다.

2.2. 논란이 있는 사례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등은 보수 정당과 자유주의( 리버럴) 정당의 양당제인데[1], 이 때문에 보수양당제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2], 반대로 자유주의 진영은 범 중도좌파 세력이지 보수 세력이 아니라고 보는 시각도 있어, 보수양당제인지 보수-자유주의 양당제인지는 학자들끼리도 견해가 갈린다[3].

일본이나 파라과이처럼 보수 정당이 장기집권하고 그 반대편에 있는 세력들이 집권 가능성이 미미해 보일 경우, 리버럴 정당이 야당으로 있다손 치더라도 보수양당제보단 일당우위제로 보는 시각이 더 많다.

2.3. 과거의 사례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피어너 팔 피너 게일 2개의 중도우파 정당이 장기간 양당제를 구성해 왔으나,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피어너 팔이 몰락하면서 2011년 총선 이후 노동당이 급부상해 양당제는 붕괴되었다. 이후 노동당이 몰락하고 2016년에는 나름 보수양당제로 회귀하는 듯 싶었으나, 피너 게일 정권을 피어너 팔이 지지하는 모양새가 되었고, 2020년에는 신 페인의 등장으로 다당제로 전환되었다. 사실 아일랜드 특유의 정치 풍토상, 분명한 좌파 정당인 신 페인 말고도 나머지 주요 양당들도 진보 성향 당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우파라고 보기 힘든 수준으로 좌경화된 지 오래긴 했다.[4] 즉, 과거의 정치 지형 상으로도 보수양당제라고 하긴 상당히 애매한 수준이었다.[5]


[1] 다만 캐나다는 21세기 들어 사회민주주의 세력도 치고 올라와서 3당제에 가깝다. [2] 다만 이 기사에서 한국을 보수양당제라고 주장한 김누리(교수)는 정치학이나 사회학 전문가가 아니며 본인 스스로 민주노동당등 좌파 정당에 몸담았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 [3] 그도 그럴게,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자유주의 진영은 사회자유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경제적 자유주의를 지양하거나, 어느 정도 받아들이더라도 잘해야 제3의 길 수준에 그쳤으므로, 제대로 된 우파 정당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는 사회 전반에 반공주의 기조가 강한 나라들의 특징으로, 필리핀이나 우크라이나, 칠레 등의 국가들에서도 자유주의 정당들은 경제적 자유주의나 신자유주의를 지향하는 일부를 제외하면, 명백하게 범 좌파 진영으로 분류된다. [4] 그도 그럴게, 양대 보수정당들 중 하나인 피어너 팔은 본래 좌파 정당으로서 처음 출범했던 당이라서 도로 좌경화된다고 해도 이상할 것도 없었다. [5] 이는 상기했듯 20세기엔 사회주의 아니면 죄다 보수정당 취급해서 그런 부분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