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8:59:06

벨라루스-아르메니아 관계



Armenia–Belarus relations

1. 개요2. 역사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20년대

1. 개요

아르메니아 벨라루스의 외교관계를 다룬 문서. 양국은 소련 해체 이후 1992년 7월 13일 수교했다.

벨라루스와 아르메니아는 독립국가연합, 집단안보조약기구,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에 함께 가입되어 있다.

2. 역사

2.1. 20세기

아르메니아와 벨라루스는 제정 러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제정 러시아가 무너지면서 일시적으로 독립국가가 되었으나, 소련에 의해 점령당하면서 각각 벨라루스 SSR 아르메니아 SSR이 세워졌다.

1988년 아르메니아 대지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이 벌어지면서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은 벨라루스에 이주하게 되었다.

1999년 벨라루스 조사에 의하면 약 1만명의 아르메니아인이 벨라루스에 거주하고 있던 걸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 벨라루스계 아르메니아인은 약 8500명으로 약간 감소했다.

2.2. 21세기

2016년 4월,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이 벌어진 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세르지 사르키샨 아르메니아 대통령과 일함 알리예프 아제바이잔 대통령이 만나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에 대해 논의했으나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2.2.1. 2020년대

2024년 4월, 벨라루스에서 아르메니아 간 관계를 조명한 학술회가 열렸다. #

2024년 6월 13일, 벨라루스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아제르바이잔의 포병 현대화 및 전자전 장비와 드론을 지원한게 폭로되면서 급격히 악화되었다. 폴리티코 기사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CSTO를 탈퇴하겠다고 밝힌 후 벨라루스 주재 아르메니아 대사를 소환했다. 벨라루스는 관련 의혹을 부인하는 한편 아르메니아 주재 벨라루스를 소환하는 걸로 맞대응했다.

2024년 6월 20일, 아르메니아 외무장관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의 정적이자 벨라루스의 야당 정치인 스뱌틀라나 치하노우스카야와 만남을 가졌다. #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계속 집권하는 한 벨라루스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2024년 6월 21일, 벨라루스 외무장관 세르게이 몰루노프는 아르메니아 대리대사 나렉 티라투리얀에게 서한을 전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