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4 17:30:20

백제대방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추존
태조 도모왕
}}}}}}}}}



당 작위 백제대방왕(百濟帶方王)[1]
당 직위 미상
성씨 부여(扶餘)
이름 미상, 혹은 부여경과 동일
생몰년도 ? ~ ?

1. 개요

백제의 유민. 725년 당의 내신으로 고려조선왕(고려조선군왕)과 함께 당 현종의 봉선대전에 참석한 기록만이 남아있으며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

2. 생애

682년 부여융이 사망한 후 대방군왕에 임명된 부여경과 동일인이거나 부여경의 자손 혹은 친족으로 추정된다.[2]

3. 기타

봉선제에 참여한 고려조선왕과 함께 내번지신(內蕃之臣)으로 기록된 점을 보면 백제대방왕은 당나라 휘하에서 받은 명목상 칭호인 걸로 보인다.[3]

4. 참고문헌

대방군왕 작호에 대한 고찰 - 중국과 백제의 관계로부터 -, 풍입군, 백제학보(2017)
[1] 724년 당 현종의 봉선제 기록에서는 등장하는 호칭. 아마 대방군왕을 대방왕으로 축약한 걸로 보인다 [2] 725년 봉선제에 참석한 백제대방왕이 부여경의 몰년이 확실치 않기 때문에 동일인물로 단정지을 수가 없다 [3] 봉선제에서 신라, 말갈, 일본은 외국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고려조선왕, 백제대방왕은 당의 내번지신으로 구분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