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22:54:19

방치차

파일:abandoned car.7492.jpg
파일:그레이스방치차.png
[1]
1. 개요2. 상세3. 방치 원인4. 방치자동차 처리법

1. 개요

방치차()는 말그대로 자동차를 일정한 장소에 주차한 뒤, 단기간 또는 장기간 동안 차량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2. 상세

방치차는 주로 무료 공영주차장이나 지하주차장 맨 끝에서 볼 수 있다. 이런 방치차들은 겉보기부터 성한 차들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앞 번호판도 영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천장에서 떨어지는 먼지가 차량에 가득 쌓여 있는 경우가 많고,[2] 특히 3,4년 이상 방치된 장기방치차량들은 외관이 녹슬고 깨져 있는 것은 물론 내부도 쓰레기나 거미줄 따위로 가득 차 상당히 흉물스럽다.

그 외에도 외지 쪽 편도 2차선 길가에 방치되어 있거나, 풀숲에 세워두고 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방치하게 되면 차에는 낙엽이 쌓여있거나 잡초와 넝쿨들이 차량을 덮어버려 자연과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방치차량이라 할 지라도 보존상태가 제각각인데, 번호판만 영치되어 있고 외관은 그럭저럭 준수하게 보존되어 있는 차량이 있는가 하면 아예 부서져 있거나 먼지가 쌓여 문자 그대로 흉물스러운 몰골을 하는 차량들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고차량이거나 폐차장 근처에 버려진 차들이 이러한 몰골을 하는 경우가 많다.

3. 방치 원인

방치차들은 대부분 흉물스럽게 부서진 차량이 많지만, 반대로 외관상 멀쩡한 차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차들을 보면 아깝기도 하며 도대체 왜 버렸을까 생각할 수 있다.
  • 과태료 납부 문제: 방치차량 중에서 노후차량들은 주로 이것 때문에 버려진 경우가 많다. 차량을 폐차하려면 우선 등록관청에 말소신청을 해야 하는데, 이 방치차량의 차주들은 이 과정을 피하기 위해 차를 버린 것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아직 납부하지 못한 세금이나 과태료를 납부하기 싫어서, 그 외에 차량을 말소하면 생기는 불이익 때문에 차를 방치하게 된다. 이들이 생기는 불이익은 대부분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과태료나 압류 때문에 차를 폐차해야 한다면 차령초과말소 제도를 이용하자.
  • 사고 처리 문제: 사고가 나서 폐차나 수리를 해야 하는데 과실여부, 보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 대포차: 폐차나 말소를 하게 되면 이러한 범법행위가 드러날 수 밖에 없기에 차를 버리는 경우가 많다.
  • 기타 소유자의 신변 문제: 잠적[3], 징역[4], 변사[5] 등 소유자의 신변이 도저히 확보되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기도 한다. 보통 이정도 되면 계고 처분 후 강제처리로 넘어가서 매각하거나 폐차처리를 한다.

4. 방치자동차 처리법

방치 차량은 도시 미관을 해치고 주차공간을 낭비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아래의 법률을 참고해서 방치자동차의 사진과 방치자동차가 있는 주소를 넣어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넣으면 처리할 수 있다.

아니면 지자체 담당 부서에 직접 전화해버리는 방법도 있다. 국민신문고는 특유의 처리 방식으로 처리시간이 좀 걸리지만 전화로 위치와 차 번호를 불러주면 담당자가 어지간히 게으르지 않은 이상 당일에 바로 계고장이 붙어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통 계고장이 붙으면 2주~1개월 정도 기간을 준 다음 견인해버린다.
자동차관리법 제26조(자동차의 강제 처리)
① 자동차(자동차와 유사한 외관 형태를 갖춘 것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9. 8. 27.>
1. 자동차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켜 운행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
2. 자동차를 도로에 계속하여 방치하는 행위
3. 정당한 사유 없이 자동차를 타인의 토지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상 방치하는 행위
②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자동차를 일정한 곳으로 옮긴 후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폐차 요청이나 그 밖의 처분 등을 하거나, 그 자동차를 찾아가는 등의 방법으로 본인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명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③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제2항에 따른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해당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알 수 없을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자동차를 매각하거나 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매각 또는 폐차에 든 비용은 그 소유자 또는 점유자로부터 징수할 수 있다.
④ 제3항에 따라 자동차를 매각 또는 폐차한 경우 그에 들어간 비용을 충당하고 남은 금액이 있을 때에는 그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잔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공탁법」에 따라 잔액을 공탁(供託)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 2. 6.]
자동차관리법 제81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5. 24., 2012. 5. 23., 2012. 12. 18., 2013. 12. 30., 2014. 1. 7., 2015. 8. 11., 2015. 12. 29., 2017. 10. 24., 2017. 12. 26., 2019. 8. 27., 2020. 2. 4., 2021. 4. 13.>
8. 제26조제1항(제52조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지행위를 한 자
자동차관리법 제85조(통칙)
① 이 장에서 “범칙행위”란 제79조제13호(자동차정비업자가 제53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범위를 경미하게 위반하여 점검ㆍ정비를 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또는 제81조제2호ㆍ제8호의 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뜻하며, 그 구체적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5. 1. 6.>
② 이 장에서 “범칙자”란 범칙행위를 한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을 뜻한다. <개정 2014. 1. 7.>
1. 범칙행위를 한 날부터 1년 이내에 동일한 위반행위를 한 사람
2. 도난자동차 또는 제34조를 위반한 자동차에 대하여 튜닝을 한 자동차정비업자
3.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제거하거나 차대번호를 훼손하여 자동차를 방치한 사람
4. 그 밖에 죄를 범한 동기, 수단 및 결과 등을 헤아려 통고처분을 하는 것이 타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사람
③ 이 장에서 “범칙금”이란 범칙자가 제86조에 따라 통고처분을 한 시ㆍ군 또는 구의 금고에 내야 할 금전을 뜻한다.
④ 범칙행위에 대한 수사는 검사, 사법경찰관리 또는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제35호에 따라 지명을 받은 공무원(이하 “특별사법경찰관리”라 한다)이 한다. <개정 2015. 8. 11.>
[전문개정 2009. 2. 6.]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제6조(자동차의 강제처리)
① 법 제26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란 2개월(자동차가 분해ㆍ파손되어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15일)을 말한다. <신설 2020. 2. 25.>
②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구청장은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라 한다)은 자동차에 대하여 법 제26조제2항에 따른 처분등 또는 명령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해당 자동차가 법 제26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동차(이하 “방치자동차”라 한다)임을 확인하여야 한다. 이 경우 방치자동차인지 여부는 해당 자동차의 상태, 발견장소, 방치기간, 인근주민의 진술 또는 신고내용 기타 제반정황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개정 1999. 7. 29., 2009. 3. 27., 2018. 10. 23., 2020. 2. 25.>
③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법 제26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치자동차를 폐차 또는 매각하고자 하는 때에는 그 뜻을 자동차등록원부에 기재된 소유자와 이해관계인 또는 점유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7일이상 공고하여야 한다. <개정 1999. 7. 29., 2020. 2. 25.>
④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법 제26조제3항에 따라 방치자동차를 폐차 또는 매각할 수 있는 시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1999. 7. 29., 2001. 3. 17., 2020. 2. 25.>
1. 제3항에 따른 통지를 한 경우에는 통지를 한 날부터 20일이 경과한 때
2. 해당 방치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제3항에 따른 공고기간이 만료된 때
3. 방치자동차의 소유자ㆍ점유자 및 이해관계인이 그 권리를 포기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경우에는 의사표시가 있는 때
⑤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방치자동차중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동차는 이를 폐차할 수 있다. <개정 1999. 7. 29., 2020. 2. 25.>
1.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자동차(법 제27조의 규정에 의하여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자동차는 등록된 자동차로 본다)
2. 장소의 이전이나 견인이 곤란한 상태의 자동차
3. 구조ㆍ장치의 대부분이 분해ㆍ파손되어 정비ㆍ수리가 곤란한 자동차
4. 매각비용의 과다등으로 인하여 특히 폐차할 필요가 있는 자동차
⑥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등록된 자동차를 제5항에 따라 폐차한 때에는 지체없이 그 등록을 한 시ㆍ도지사에게 해당폐차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1999. 7. 29., 2009. 3. 27., 2011. 11. 25., 2020. 2. 25.>
⑦시ㆍ도지사는 제6항에 따라 폐차사실을 통보받은 때에는 지체없이 법 제13조제3항제4호에 따라 해당 자동차의 등록을 말소하여야 한다. <개정 1999. 7. 29., 2016. 1. 6., 2020. 2. 25.>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24조(자동차처리명령)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법 제26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치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폐차등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명하고자 하는 때에는 별지 제15호서식의 자동차처리명령서에 의한다. <개정 1999. 12. 31., 2013. 9. 6., 2016. 2. 4.>


[1] 사진 속의 방치차량은 대우 에스페로 현대 그레이스이다. [2] 누군가가 손가락으로 먼지를 쓸어서 차량에 낙서를 하거나 욕을 쓰기도 한다. [3] 보통 채무 문제가 가장 많으며, 범죄와 연루되지 않는 이상 채무자가 숨어버리면 생각보다 찾기 힘들고, 차는 그대로 방치된다. 범죄 혐의로 인해 도주중이라 방치되는 경우도 있는데, 해외로 도망간 범죄자는 당연히 차를 두고 가게 되므로 그대로 방치되게 된다. [4] 옥살이를 하는 소유주의 가족이 있다면 차를 관리하겠지만, 범죄로 인해 연이 끊어지거나 가족이 없는 경우 각종 세금 및 보험료가 체납되어 번호판이 영치되고 그대로 방치된다. [5] 가장 골치아픈 상황으로 보통 변사자의 경우 범죄 혐의가 없고 신원이 확인된다면 가족들에게 인계되어 장례를 치르게 되지만, 시신이 백골화되는 등 도저히 신원을 특정할 방법이 없으면 범죄 혐의가 없을 시 무연고자로 분류되어 시신 안치실에서 바로 화장터로 옮겨져 무빈소 직장으로 넘어가거나 지자체 조례에 따라 공영장례로 넘어간다. 이러면 사실상 시신이 발견되지 않는 상황처럼 소유주가 계속 실종처리된 것과 다를 바 없어 차는 속절없이 방치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