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kt wiz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군 |
'''70
김태균 · 71
이강철 [[틀:kt wiz 감독| ★ ]] · 72
김강 · 75
장재중 · 76 박기혁 · 78 김호 · 81 유한준 · 82 제춘모 · 84 최만호 · 87 전병두 · # 이종범 · # 박경수''' |
|
2군 | |
'''74
홍성용 · 77
김태한 [[틀:kt wiz 2군 감독| ★ ]] · 79
이준수 · 80
박정환· 86 김연훈''' |
|
육성·재활군 | |
85 이성열 · 88 곽정철 · 89 백진우 · 91 배우열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박정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2 | 2006 | 2008 | 2010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2021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번 | ||||
홀 (1999) |
→ |
박정환 (2000~2007) |
→ |
박석민 (2008~2010) |
SK 와이번스 등번호 6번 | ||||
김태균 (2007) |
→ |
<colbgcolor=#f47725><colcolor=#fff> 박정환 (2008~2011) |
→ |
김성현 (2012~2019) |
SK 와이번스 등번호 89번 | ||||
타시로 토미오 (2011) |
→ |
박정환 (2012) |
→ |
유영하 (2013) |
SK 와이번스 등번호 111번 | ||||
결번 | → |
박정환 (2013) |
→ |
김승리 (2014) |
SK 와이번스 등번호 84번 | ||||
정효원 (2013) |
→ |
박정환 (2014) |
→ |
허일상 (2015) |
SK 와이번스 등번호 87번 | ||||
김제성 (2013~2014) |
→ |
박정환 (2015) |
→ |
데이브 (2017)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6번 | ||||
전병우 (2015) |
→ |
박정환 (2016~2018) |
→ |
손인호 (2019) |
kt wiz 등번호 80번 | ||||
이광길 (2017) |
→ |
박정환 (2019~) |
→ | 현역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kt wiz No.80 | |
박정환 朴廷煥 | Park Jeong-hwan |
|
출생 | 1977년 10월 23일 ([age(1977-10-23)]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효제초 - 청원중 - 동대문상고 - 동국대 |
포지션 | 내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6년 2차 6라운드 (전체 45번, 삼성)[1]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00~2007) SK 와이번스 (2008~2011) |
지도자 |
SK 와이번스 2군 수비코치 (2014~2015)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16)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17)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18) kt wiz 1군 수비코치 (2019~2021) kt wiz 2군 작전코치 (2022) kt wiz 1군 외야·주루코치 (2023) kt wiz 2군 수비코치 (2024~) |
프런트 | SK 와이번스 전력분석원 (2012~2013) |
병역 | 전시근로역[2] |
응원가 | Ricky Astley - Together Forever[3] |
[clearfix]
1. 개요
前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 소속의 내야수. 現 kt wiz 1군 외야/주루코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동대문상고 시절부터 주목받은 선수로 1996년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지만, 동국대학교에 진학한다. 1999년 전국 대학야구 춘계리그 최우수 타격상을 수상하였다.2.2. 삼성 라이온즈
|
동국대 졸업 후 2000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으며, 삼성의 첫 한국시리즈 우승 시즌인 2002 시즌 당시 삼성의 주전 2루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2003년 초 한화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넘어온 재일교포 고지행이 주전 2루수 자리를 차지하며 백업으로 밀렸고,[4] 설상가상으로 2004년 병역비리에 연루되어 시즌 아웃.
이후 2005년에 받은 재검에서 완전 면제 판정을 받고 팀에 복귀하였으나,[5] 팀에는 이미 2004년 FA를 통해 영입된 박종호가 2루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라 박정환의 입지는 좁아졌다.
어느 정도 괜찮았던 내야 요원이었으나 팀에서 방출되기 몇 년 전부터는 유독 욕을 많이 먹었다. 선동열 감독이 박정환을 양준혁과 플래툰으로 사용했기 때문.[6] 결정적으로 한화 이글스와 맞붙었던 2007 준플레이오프 3차전, 6회초 1사 1, 2루라는 찬스 상황에서 삼진당하면서 까임은 배로 늘어났고, 준플레이오프가 끝나자마자 30세의 젊은 나이였는데도 불구하고 삼성에서 방출당했다.
2.3. SK 와이번스
|
이후 김성근 감독의 부름을 받고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여 주로 대타나 내야 유틸리티 수비요원으로 출장하였다.
2010년 초반 16연승을 내달릴 때 꿋꿋한 밀어치기로 4할의 타율을 넘나들며 팀의 상승세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이 16연승은 SK의 페넌트레이스 우승에 큰 버팀목이 되었다. 김성근 감독이 16연승 기간동안 임훈과 함께 그를 최고의 공헌 선수로 꼽았을 정도. 하지만 5월에 타격감이 떨어지면서 실책마저 계속 범하고, 결국 2군으로 내려가기에 이른다. 1군에 올라오긴 했지만 이때와 같은 의미있는 경기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2010년 9월 2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최종전 8회 4:2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세이브 왕 손승락을 상대로 동점을 만드는 적시타를 터뜨려 역전승에 공헌했다.
현역 마지막 시즌이던 2011년 9경기 출장에 그치며 대부분 2군에서 머물렀고, 시즌 후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
2011 시즌 후 은퇴해 SK 와이번스 전력분석관이 되었으며, 2013 시즌 후 2군 수비코치로 보직 변경되면서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2015 시즌 후 롯데 자이언츠의 2군 수비코치로 합류했다.
2018년 롯데의 1군 외야 수비코치[7]를 맡았다가 시즌 후 kt로 팀을 옮겼다. 보직은 1군 수비코치로 동일.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00 | 삼성 | 47 | 60 | .267 | 16 | 4 | 0 | 2 | 5 | 19 | 0 | 7 | .433 | .343 |
2001 | 84 | 217 | .263 | 57 | 8 | 3 | 5 | 36 | 30 | 0 | 22 | .396 | .328 | |
2002 | 119 | 316 | .234 | 74 | 12 | 2 | 9 | 36 | 49 | 3 | 41 | .370 | .320 | |
2003 | 81 | 177 | .237 | 42 | 12 | 0 | 1 | 20 | 24 | 0 | 23 | .322 | .320 | |
2004 | 29 | 33 | .121 | 4 | 0 | 0 | 0 | 3 | 3 | 0 | 6 | .121 | .256 | |
2005 | 26 | 38 | .184 | 7 | 1 | 0 | 1 | 7 | 5 | 1 | 4 | .289 | .256 | |
2006 | 43 | 91 | .165 | 15 | 1 | 0 | 0 | 2 | 8 | 1 | 4 | .176 | .200 | |
2007 | 46 | 76 | .224 | 17 | 3 | 1 | 0 | 5 | 7 | 1 | 4 | .289 | .256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08 | SK | 25 | 50 | .240 | 12 | 4 | 0 | 1 | 6 | 3 | 1 | 9 | .380 | .356 |
2009 | 45 | 60 | .317 | 19 | 4 | 0 | 1 | 9 | 4 | 2 | 5 | .433 | .369 | |
2010 | 44 | 92 | .304 | 28 | 9 | 0 | 1 | 10 | 15 | 0 | 8 | .435 | .360 | |
2011 | 9 | 9 | .222 | 2 | 1 | 0 | 0 | 2 | 1 | 0 | 2 | .333 | .364 | |
<rowcolor=#373a3c>
KBO 통산 (12시즌) |
598 | 1219 | .240 | 293 | 59 | 6 | 21 | 141 | 168 | 9 | 135 | .350 | .314 |
5. 여담
- 선수 시절 삼성에서 2개(2002년, 2006년), SK에서 2개(2008년, 2010년) 해서 4개의 우승반지를 얻었고, 은퇴 후 kt 코치 시절 1개(2021년)를 더 추가하면서 총 5개의 우승반지를 가지고 있다. 리그 정상급 성적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평생 우승반지 하나 껴보지도 못하고 은퇴하는 선수들이 많은 만큼 대단한 기록.
6. 관련 문서
[1]
지명 이후 대학진학, 데뷔는 2000년
[2]
위축로으로 면제 판정을 받았다.
[3]
박정환 날려라 날려버려 불!꽃!투!혼! 박!정!환! 박정환 날려라 날려버려 인!천!S!K! 박!정!환!×2
[4]
당시 클린업트리오
이마양을 내세워서 공격야구를 하였던 삼성에 타격이 괜찮았던 고지행이 들어오자 타격이 약했던 수비형 선수인 박정환은 당연히 벤치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5]
한쪽 신장의 크기가 작고 정상 신장에 비해 30%밖에 기능을 하지 못하는 '위축신' 이라는 지병을 가지고
있었는데, 위축신의 경우 병역 면제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6]
또한 이때
한대화 수석코치가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동국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아, 동국대 라인이란 말이 나왔다.
박한이도
한대화의 손을 거쳤다.
[7]
현역 때 내야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