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9:44:04

미전선

미전선
美田線 | Mijeon Line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30211
노선명 경부선 미전선 (京釜線 美田線)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 1.6㎞
궤간 1,435㎜
역수 2
기점 미전신호소
종점 낙동강역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S2
선로 수 2
선로최고속도 120km/h
개업일 1944년 6월 1일
운영노선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화물열차

1. 개요2. 역 목록3. 기타

[clearfix]

1. 개요

경부선 미전역 경전선 낙동강역을 잇는 삼각선. 경전선에서 경부선 서울 방면으로 갈 수 있게 해 주는 삼각선이다. 1944년에 미전역과 함께 개업했다.


형식은 지선이지만, 경전선을 지나는 열차 대부분이 경부선 부산행 하행선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경전선으로 진입하거나, 반대로 경전선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경부선 서울행 상행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본선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한다. 경전선에서 경부선 부산행 하행선으로 진입하거나 그 반대로 운행하는 열차는 일부 부전착발 무궁화호 정도로 많지 않다. 주로 서울, 대구와 마산, 진주를 오가는 열차나, 혹은 진해선을 이용하는 열차가 이 삼각선을 이용한다. 경상남도 최대 도시인 창원시를 거치는 철길이기 때문에, 경부선 지선 중에서는 이용률이 높은 편.

원래는 단선이었고 미전역에서 평면교차로 경부선으로 진입했다. 그러다 1994년 8월에 경부선과 경전선 열차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대형 사고[1]가 발생하고, 이후 KTX의 개통을 앞둔 2003년에 입체교차 선로를 하나 더 놓아 복선화되었다. 경전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확정된 이후에 건설되었으므로 전차선을 가설할 공간을 미리 마련해 비전철 구간으로 개통하였고, 이 구간은 2010년 경전선 KTX가 들어가면서 경전선 본선과 함께 덩달아 전철화가 되었다. 경전선 경유 여객열차는 이 미전선을 통하여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을 오간다.

경전선 본선은 낙동강역에서 삼랑진역으로 진입하는데, 이쪽은 지금도 여전히 평면교차를 한다.

2.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N 남도해양열차 정차 G 서해금빛열차 정차
A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2008년 5월 13일 기준[2]
역명 ARS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미 전 美 田 620 경부선 경상남도 밀양시
1.6 낙동강 洛東江 477 경전선

3. 기타

2023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미전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2023년 미전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컨테이너 화물열차 운행총계
미전신호소 - 낙동강 191 16 8 17 1 42


[1] 이 사고로 기관사 포함 3명이 즉사했고(열차 전두부가 문자 그대로 우그러졌다.) 200명에 달하는 엄청난 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2]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4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