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 몽 | 유니코드 | BABD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구성 | ㅁ+ㅗ+ㅇ | 두벌식– QWERTY | ahd | 세벌식 최종–QWERTY | iva |
[clearfix]
1. 동남아시아의 민족
동남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국인 | 베트남인 | 필리핀인 | 크메르인 | 라오인 | |
인도네시아인 | 자바인 | 발리인 | 아체인 | 미낭카바우 | ||
부기스인 | 마카사르인 | 다약 | 카다잔두순 | 마두라인 | ||
바탁 | 네그리토 | 말레이인 | 태국계 말레이시아인 | 말레이계 태국인 | ||
버마족 | 샨족 | 카렌족 | 몽 | 로힝야 | ||
인도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필리핀인 / 상글레이 | ||
참족 | 수이족 | 태족 | 모로인 | 사마 바자우 | ||
비사야인 | 프라나칸 | 친디언 | 브루나이인 | 타갈로그인 | ||
테툼족 | 라카인족 | 비콜라노인 | 파푸아인 | 고산족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몽몐계 민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121c><colcolor=#FFF> 민족 | 묘족( 몽족) | 요족 |
언어 | 몽몐어족 | |
다수 거주 지역 | 중국( 구이저우성 | 후난성 | 광시 좡족 자치구의 요족 자치현들) | 베트남 북부 | 라오스 북부 | 태국 북부 | 미얀마 북부 | |
해당 지리적 인종 | 동아시아인 | 동남아시아인 | |
신화 | 묘족 신화 | }}}}}}}}} |
몽
Hmong Người H'mông / Mông ม้ง မုံလူမျို |
|
|
|
총 인구 | <colbgcolor=#fff,#010101>400만 명 ~ 500만 명 |
분포도 |
중국 2,777,039명 베트남 1,393,547명 라오스 595,028명 미국 327,000명 태국 250,000명 미얀마 40,000명 아르헨티나 4,000명 호주 3,438명 프랑스 2,000명 캐나다 600명 |
1.1. 개요
중국 남부, 베트남, 라오스, 태국, 미얀마 등지에 분포한 민족으로, 더 크게 보면 묘족의 일파이다. 1970년대 베트남 전쟁의 여파로 미네소타, 위스콘신과 같은 미국 중북부, 캘리포니아의 새크라멘토나 프레즈노에도 많이 이주해 살고 있다. 언어는 몽어이다.영문으로는 Hmong. 살짝 H발음 비음이 섞어서 몽이라고 읽으면 된다.[1] 그래서, 미국이나 영어를 통해 국제질서/세계사를 수입한 한국에서는 무분별하게 '흐몽족'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검은 몽족(Hmoob Dou), 하얀 몽족(Hmoob Dawb)처럼 세부적인 씨족 이름은 표기법 자체가 정리가 안 되어 있고, 아예 언론이나 전문서적마저 블랙흐몽족, 화이트흐몽족 따위로 비판 없이 수용한 실정.
미국의 배우 브렌다 송이 몽족계열인 것으로 유명하다.[2] 2020 도쿄 올림픽 기계체조 금메달리스트 수니사 리(Sunisa Lee)[3]도 이 민족의 일원이다. # JYP엔터테인먼트의 미국 현지화 걸그룹 오디션 프로젝트 A2K(America2Korea)를 통해 2023년 결성된 6인조 다국적걸그룹 VCHA의 미국인 멤버 렉시(Lexi)[4] 역시 몽족출신이다.
1.2. 베트남 전쟁과 몽족
베트남전 당시 미국은 베트남 공산정부에 반감을 가진 소수민족들을 찾았고, 그 중 대표적인 집단이 바로 몽족이었다. 몽족들은 대부분 베트남과 국경지대였던 라오스 산간지대에 거주했는데,[5]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기 전까지 베트남은 이 지역을 자주 침략했었기 때문에 몽족은 베트남에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은 북베트남에 접한 라오스 산간지역이란 지리적인 장점과 베트콩 못지않게 현지 지형에 익숙하면서, 반 베트남 감정이 높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래서 승전 후의 보상을 약속하며 이들을 미 공군용 비행장 건설과 북베트남에 대한 첩보활동 등에 동원했고, 천조국 답게 많은 경제적인 보상을 베풀었다. 특히 몽족들은 전쟁기간 동안 다양한 게릴라 작전을 수행해 게릴라 잡는 게릴라로서 북베트남을 상대로 전적을 거뒀다. 몽족들은 자신들만의 독립국가 건설을 기대하며 이 전쟁에 매우 열성적으로 참전했다고 한다. 그래서 미군들은 이들이 부패한 베트남 공화국군보다 사기도 높고 역량도 더 우수하다고 판단하여 이들과 작전하기를 선호했다고 한다. 그러나 전쟁은 시종일관 미군이 밀리는 양상으로 계속되었고, 북부에서 작전보단 남베트남의 방어에 급급해진 미군이 이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일도 점차 줄어든다.1.3. 베트남전의 종전과 미국의 배신
결국 전쟁이 미군의 패배로 끝나고 1973년 완전히 철수하던 미군들은 이들을 딱히 구하려 들지 않았다. 미군의 지원이 완전히 끊어진 몽족 세력은 붕괴되었으며, 결국 공산 베트남에 의해 완전히 소탕된다. 이후 몽족은 국외로의 탈출을 시작한다.하지만 미국이 이들을 난민으로 인정하거나 망명을 받아주는 일은 거의 없었다. 남베트남이 멸망한 1975년에 미국이 인정한 몽족 망명자는 겨우 3천 명 정도. 사실상 미국과 연결되어서 반 베트남 전쟁을 벌이던 왕빠오를 비롯한 주요 몽족 지도자들만 망명이 허용 되었다고 해석해도 무방한 수준이다. 이듬해는 1만 명, 그 다음해는 다시 3만 명의 망명자가 허용되었으나, 이것도 미국의 지원 및 지시 하에 게릴라전에 참여했던 남성병사 본인에 한해서였고, 가족 단위 망명은 난민법이 성립된 80년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그나마 병사 본인의 망명이 받아들여진 것도, 실제로 몽족과 같이 전쟁을 뛰었던 그린베레를 포함한 미군 참전병사들을 통한 동정론이 퍼졌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오히려 태국 난민 수용소에 있던 몽족들을 UN의 이름으로 라오스에 송환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미국의 배신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바람에 멈추는 일까지 있었다. 당시 라오스 내부에서 몽족들이 독립하겠다고 내전을 벌였고, 공산 라오스는 그런 몽족을 학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라오스와 몽족 저항군 간의 전쟁은 1990년대에 들어서야 끝이 났고, 이후로도 이들의 미국 이민은 2004년까지 금지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후 베트남의 도이머이 정책으로 미국과 수교가 이뤄지면서, 몽족은 완전히 토사구팽당한 처지가 되었다. 한 일례로 위에 언급한 왕빠오는 이후 라오스 내 몽족 반군 지원과 베트남과 라오스 지역 몽족 자치정부를 수립하려는 반체제 활동 혐의로, 미국 연방경찰에 의해서 체포되는 일도 있었다. 다행히 당시 라오스에서 활동했던 전 CIA 요원들의 탄원으로 풀려났고 2011년 사망했다.
이런 이유로 몽족의 과반인 300만 이상은 중국에 거주한다. 본래 거주지역이 베트남은 80만, 라오스가 70만, 그 외에 미국이 17~22만, 태국이 15만 정도.
캘리포니아에서 한 한글학교가 몽족 난민을 돕고 있다. #
1.4. 대외관계
1.4.1. 미국
자신들을 배신한 증오스러운 국가 1하긴 베트남 전쟁이 끝나자 마자 자신들을 나몰라 했던 나라 이기도 했으니 그럴 만 하다.
다만 일부 베트남 참전용사들은 이들과 함께 나눈 동료애 때문에 나름대로 동정하기도 한다.
1.4.2. 베트남
증오스러운 국가 2말 그대로 역사에서 대대로 내려온 가장 철천지 원수 같은 상대다.
1.4.3. 프랑스
자신들을 식민지배한 국가자신들을 맨날 참략하던 베트남과 다를 봐 없다고 본다.
1.5. 미디어에서
김성모의 만화 여인추억에서 등장인물 깐디와 알리가 몽족 출신으로 나온다.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 및 주연을 맡은 그랜 토리노에서 옆집에 이사온 가족이 몽족 출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대로 된 미국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는 입장에서는 몽족이라고 하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인데, 그래서인지 영화에서도 미국에게 배신당한 역사를 짧게나마 읊어주고 편협한 노인이던 주인공 월트가 점점 그들에게 마음을 열어 아버지 비슷한 포지션이 되어주는 등 다소 속죄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작중에서는 그 가족 중에서도 아들딸 남매인 수와 타오가 주요 인물로 등장. 누나인 수는 아주 당찬 소녀로 "우리 이름은 흐몽(작중 월트가 발음하는 법을 잘 몰라 초반에 이렇게 불렀다)이 아니라 몽이다"라고 말하기도 하고, 몽족의 역사를 설명해주는 것도 수. 남동생 타오는 월트에게 도움과 가르침을 받아 성장하는 인물이다.
베트남 전쟁을 그린 일본 전쟁만화 Cat Shit One에서는 모든 등장인물이 동물인데, 일반 베트남인들은 샴고양이로 그려지지만 몽족은 줄무늬고양이로 그려진다. 실제 역사처럼 미군 특수부대를 돕는 조력자로 나온다.
1.6. 출신 인물
2. 이름에 들어가는 단어
여기서부터는 1번 단락의 '몽족'을 의미하지 않으며, 로마자로는 대체적으로 'Mong'이라고 불리는 경우이다.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3. 대한민국의 단편 영화
2001년 한국에서 개봉한 조용석 감독의 단편영화이다.영화지만 이렇게 문서가 단출한 이유는 현재 이 영화를 구해서 볼 방법이 만무하기 때문이다. 즉 로스트 미디어란 소리. 이 영화를 본 대다수는 TV서비스나 군대에서 본 사람들이 많으며 평은 대체로 감동적이고 뇌에 남는 내용이라고 한다. 이것도 본 사람들만 알지, 못 본 사람들은 이제 찾아서 볼 수도 없으며 어느 순간부터 TV에서 볼 수 있다고 했지만 서비스를 종료해 이젠 찾아볼 수도 없다.
[1]
몽족 스스로는 당연히 '몽'으로 읽는다.
[2]
원래는 Xiong이었는데 부모님이 Song으로 개명했다고 한다. (몽족들은 보통 Xiong, Vang, Thao, Thor 같은 성씨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미국 이민자 사회에서 자녀가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어서, 누가 보아도 이민자 같은 성을 적당히 발음이나 뜻이 비슷한 현지인스러운 성으로나, 아니면 적어도 영어로 발음하기 쉽게라도 바꾸는 것은 드물지 않다.
[3]
줄여서 수니(Suni) 라고도 부른다.
[4]
본명은 렉서스 뱅(Lexus Vang)이다.
[5]
그래서 베트남 전쟁을 다룬 미디어를 보면 몬타나(山)족 혹은 몽타냐드라고 지칭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