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6:24:1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은어에 대한 내용은 딸(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계 혈족 관계 호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할아버지 | 현조할머니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 고조할머니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할아버지
(조부)
할머니
(조모)
}}}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아버지
( 아빠, 부)
어머니
( 엄마, )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wiki style="margin:-10px -5px" 오빠
남동생 }}} <colbgcolor=#000033> 자매{{{#!wiki style="margin:-10px -5px"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부모의 관점에서 본 자식 명칭
맏이 외딸 장녀 차녀 3녀 딸/4녀 이상 고명딸 장손녀 막내
외아들 장남 차남 3남 아들/4남 이상 고명아들 장손/종손


1. 개요2. 가상인물3. 관련 문서

1. 개요

특정 대상의 자식 중 여성. 남성이면 아들.[1]

첫째 딸은 장녀라고 하며, 둘째 딸은 차녀, 셋째 딸은 3녀, … 식으로 나간다. 자식들 중 딸이 한 명밖에 없으면 외동딸이라고 한다.

근대까지만 해도 남아 선호 사상으로 인해 아들 낳을 때까지 계속 낳아서 딸이 대여섯 명이고 막내가 아들인 집이 많았다. 최근에는 그런 사상이 소멸했고 아들보다 육아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인식이 있는지라 아들 부잣집이라고 말하면 '힘들겠다. 고생이 많다, 딸 하나 낳아'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딸을 선호하는 인식이 강해졌다. 물론 딸도 자식이기 때문에 육아를 결코 만만하게 보면 안 된다. 오히려 사춘기가 되면 아들보다 돈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까칠하고 예민해져서 더 힘들 수도 있다.[2]

그래도 아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어 근래에는 되려 딸을 원하는 부부도 있다. 그 이유가 각종 유전병이나 장애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데다가[3] 커서는 기본적으로 아들은 무뚝뚝한데 반해 딸은 부모의 말벗이 될 수 있다는 인식도 있어서이다. 다만, 후자의 경우 개인의 성격 차이에 따라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 갈수록 고학력 고소득 직종에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구태여 아들을 선호해야 할 이유마저 줄어들고 있다. 입양을 원하는 사람들도 딸을 더 선호하여 남겨진 남아들은 주로 해외로 입양을 간다.

사족으로 태아의 성 염색체는 아버지의 XY 염색체에서 하나, 어머니의 XX 염색체에서 하나를 따온다. 여기서 어머니는 무조건 X를 주고, 아버지가 X를 주면 딸, Y를 주면 아들이 태어나는 것이다. 즉 태아의 성별은 원칙적으로 아버지 쪽에게 달려 있는 셈이다. 하지만 남자 쪽도 유전자의 발현에 따라 X 정자와 Y 정자의 활동성이 다를 수 있고, 여자 쪽도 체질에 따라 생식기 내부로 들어온 X정자와 Y 정자의 활동성과 생존 시간이 달라진다. 즉, 양쪽 모두의 요인이 작용한다. 이 당시 사람들이 이를 알고서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마리아 테레지아가 아들을 못 낳을 때는 다들 프란츠 1세 탓을 했다.

사별, 이혼 등으로 아버지와 둘만 남게 됐을 경우 본인의 의사에 따라서, 혹은 강제적으로 보육원으로 보내는 국가/주가 있다. 친족 성폭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라고. 같은 이유로 독신남의 딸 입양을 제한하는 국가도 있다.[4]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여서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독신남이 딸을 입양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며 같은 이유 때문에 아들또한 입양하기 어렵다. 반면 독신녀의 경우엔 독신남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입양이 가능하다.

프린세스 메이커 시리즈를 플레이하면 딸을 키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 을 리가 없다.[5][6]

딸의 배우자는 사위가 되며, 딸이 결혼하거나 자식을 낳으면 장모/장인어른, 외할머니/외할아버지가 된다.

2. 가상인물

3. 관련 문서



[1] '아들'과 '딸'은 중세 한국어까지만 해도 초성만 빼고 형태가 거의 같았다. 예컨대, '딸'의 중세 한국어 어형은 'ㅳㆍㄹ'로 재구된다. 만약 한국어의 음운변화가 약간 다른 방향으로 일어나서 해당 단어의 초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오늘날 '바들'과 같은 형태로 정착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2] 물론 자녀 용돈 관리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일단 평균적으로는 딸이 조금 더 돈을 잘 쓴다는 데에는 많은 기성세대가 동의하는 듯하다. 사치스럽다기 보다는 말 그대로 잘 쓴다는 표현이 더 맞다고 한다. [3] X염색체 한 쪽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한 쪽이 정상이면 유전병이 발병되지 않는다. 다만 손자 세대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거기다가 발달장애나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 등은 대부분 남자에게 나타난다. [4] 친족 성폭행 문제 뿐만 아니라 편부 가정의 딸은 교우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잦다. 어금니 아빠 살인사건 이후로는 부모가 자녀(특히 딸)의 교우관계에 더욱 각별히 신경쓰게 되어 편부 가정, 조손 가정, 오빠가 있는 친구의 집에는 되도록 놀러가지 말라는 경우가 많다. [5] 당연한 것이 시뮬레이션과 현실은 다르다. 프린세스 메이커 시리즈는 플레이어인 주인공이 얼마나 자신의 '딸'에게 정성과 관심을 가지고 양육하느냐에 따라 '딸'의 운명이 달라지지만 현실에서는 여러가지 부수적인 요소들, 즉 환경, 교육, 여기에 사교적인 면까지 고려해야 하고 아울러 부모가 가진 사회관이나 가치관 역시 양육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로 등장한다. [6] 나는 귀머거리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