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념
요리에서 드레싱(Dressing)은 샐러드에 간을 하는 것을 말한다. 소스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후술되어있듯 오일, 과일, 채소, 조미료 등 여러 재료들을 혼합한 혼합소스가 많이들 이용된다. 사실 귀찮으면 한가지 소스만 이용해도 먹을만하면 그만이긴 하다. 너무 거추장스럽게 생각할거 없이, 드레싱이라는 말 자체에서 유추할 수 있듯, 옷(Dress)을 입히듯(-ing) 가볍게 넣는 정도가 기본이다.다이어트용으로 샐러드를 만드는 경우, 드레싱이 칼로리를 좌우하는 핵심이므로 드레싱을 잘 선택해야 한다. #
1.1. 종류
조합해서 만들면 그만이라, 당연히 아래 외에도 흑임자, 요구르트, 키위, 레몬 드레싱 등 종류는 많다.-
마요네즈(Mayonnaise) : 프랑스의 오래된 샐러드 드레싱 중 하나.
기름(오일)과
계란노른자,
식초를 재빠르고 오래 섞어 유화시켜 만든다. 보통
겨자와 같은 향신료를 몇가지 더 첨가해서 드레싱으로 만든다. 하지만 재료가 재료다보니 상당히 고칼로리라 다이어터라면 요주의 대상이다. 워낙에 별다른 맛이 없고 시큼 고소하기만 하다보니
특히나 크림 덕후가 넘쳐나는미국에선 이것을 베이스로 해서 만든 드레싱이 많고, 또한 그런 개념을 각국에 수출까지 했다. 아예 드레싱의 분류 중에 마요네즈 계열이 있을 정도. 드레싱을 고를 때 성분표를 보자.
-
사우전드 아일랜드(Thousand Island Dressing) :
마요네즈를 베이스로
올리브유,
과일
즙,
우스터 소스,
파프리카,
식초,
핫소스,
토마토(또는
케첩) 등을 섞어 만들고, 다진
피클 따위를 버무린 드레싱. 이름만 보고 감이 안온다면 흔히
사라다 등에 들어가는 그 살구빛 소스를 생각하면 된다. 다만 정석적인 방법으로는 재료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사라다 따위에 이 녀석이 올라간다면
오뚜기 1000아일랜드 소스나케첩과 마요네즈를 섞은 케요네즈 소스를 많이 사용한다.
- 코울슬로 드레싱(Coleslaw Dressing) : 사과와 양배추와 양상추를 혼합해서 만든 드레싱으로 맛은 사과맛이 나며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뿐 아니라 중국이나 이탈리아에서도 자주 먹으며 코을슬로에 햄을 넣은 Insalata capricciosa라는 샐러드를 먹는다. 다른 드레싱들과 비교했을 때 부담없는 맛이라서 대중적인 드레싱 중 하나라지만 시중에 파는 소스는 다른 재료들도 섞여서인지 보면 칼로리가 그닥 낮진 않다. 무슨 음식이든 그렇지만 적당히 먹도록 하자. 또 브랜드마다 맛이 좀 갈리는 드레싱 중 하난데, 잘못 고르면 맛없는 코울슬로 드레싱을 사게 될 수도 있으니 꼼꼼하게 리뷰를 보고 사는게 좋다. 아니면 직접 만들어도 된다.
- 랜치 드레싱(Ranch Dressing) : 미국인들이 애용하는 드레싱이자 미국식 그린 샐러드의 드레싱으로 자주 쓰인다. 무지방 우유 혹은 사워크림에 허브와 향신료 및 다진 마늘과 양파를 섞어 만든다. 채식가용 랜치는 우유 대신 연두부를 쓰기도 한다.
- 비네그레트(Vinaigrette) : 식초 계열 드레싱을 일컫는 프랑스어.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드레싱은 대부분 이 계열이다. 경우에 따라선 레몬즙을 쓰기도 한다. 식초와 기름의 비율은 레시피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1:2 ~ 1:1정도이다.
- 아체토 발사미코(Aceto Balsamico) : 발사믹 식초. 이탈리아의 발효 포도 식초. 포도주와 만드는 과정이 비슷하지만, 이쪽은 발효를 더 진행시켜 식초로 만든 것이다. 올리브유와 섞어서 드레싱으로 사용한다. 간혹 피자에 찍어먹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사실 토스트 등에 찍어먹어도 꽤 맛나다. 애초에 드레싱이란게 개인 취향 따라 찍어먹어보고 맛있으면 그만인지라.. 보통 시판되는 드레싱들 중 칼로리가 제일 낮다.
- 자지키(Τζατζίκι) : 그리스식 요구르트 드레싱. 요구르트에 오이와 딜, 다진 마늘, 올리브유를 섞어서 만든다. 왠지 요구르트 드레싱이라 새콤할 것 같지만, 굳이 말하면 짠맛이 좀 더 강하다. 튀르키예의 자즉(Cacık)에서 비롯되었으며, 정작 그리스나 튀르키예나, 자즉은 요리에 곁들여먹는 소스나 애피타이저 개념이지 드레싱으로 쓰지 않는다. 자지키를 샐러드에 부어먹는건 미국에서 시작되었다고... 그리스와 튀르키예에서는 일반적으로 레몬즙과 소금, 올리브유 섞은 것을 드레싱으로 쓴다.
- 타히니(Tahini) : 아랍 요리에 쓰이는 참깨 소스. 이것으로 드레싱처럼 만들어 사용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참깨 드레싱은 마요네즈가 들어가므로 마요네즈 계열로 분류한다.
- 오리엔탈 드레싱(Oriental D.)[1] : 간장+ 참기름을 베이스로 한 드레싱. 나물 무칠 때 쓰는 양념을 서양식 샐러드용 드레싱으로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는데, 보통 한국에서 오리엔탈 드레싱이라 파는 것들은 안에 깨 비슷한 자잘한 건더기들 + 참소스 비슷하지만 좀 더 톡 쏘는 맛이 나는 간장소스 + 유막(기름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짭조름하면서도 신맛이 단맛보다 좀 더 강한 새콤달콤한 맛 때문에 고기의 느끼함을 잡아줘서 채소 외 고기 요리와도 제법 잘 어울린다. 카프리제 드레싱에 발사믹 식초 대타로도 쓸 수 있다. 단, 식초 특유의 시큼한 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잘못하면 발냄새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니 취향껏 먹자. 간장 베이스 소스인만큼 만두와도 잘 어울린다. 칼로리도 비교적 낮은 만큼 이모저모 사랑받는 소스.
2. 의학적 치료
외과적 창상에 대한 치료를 뜻한다. 밀폐 드레싱은 상처가 생겼을 때 상처부위를 소독하고 약을 바른 다음 거즈 및 붕대 등으로 그 부위를 싸주는 처치를 말한다. 화상을 입었을 경우엔 화상 부위를 소독하고 죽은 피부를 제거한 다음 조치한다. 상처에서 생기는 삼출액을 흡수해서 적절한 습윤 상태가 만들어지고 회복 속도가 좀 더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복부 소화기관 수술 후, 흉부 호흡기 및 순환기 수술 후, 근골격계 수술 후, 치과적 수술 후, 안과적 수술 후, 이비인후과적 수술 후, 중추신경계 수술 후, 비뇨기계 수술 후, 피부 및 연부조직 재건 수술 후 등 많은 케이스에 따라 각각 따로 배워야 한다. 예를 들어 성형외과 전문의는 성형외과 수술 후 드레싱에는 전문가이지만, 대장수술 후 환자의 드레싱은 하지 못한다. 드레싱에 대해 잘 알려면 외과학 총론의 wound healing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성형외과학에도 wound healing이 있지만 이쪽에서는 내장 기관과의 연관은 나오지 않는다.
간단한 드레싱은 일반인도 할 수 있다. 다친 곳을 소독하고 밴드를 붙이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 드레싱이라고 할 수 있다. 애초에 밴드라는 물건의 유래는 어떤 제약회사원 남편이 덜렁대는 아내를 위해 자기가 없을 때 혼자서도 드레싱을 할 수 있도록 만든 물건이다. 소독용 알콜 혹은 빨간 소독약, 멸균거즈와 코반(Coban)붕대[2]만 있으면 누구나 간단한 드레싱을 할 수 있다. 코반이 없거나 비싸다 싶으면 마이크로포어(Micropore)[3]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나 화상, 감염이 일어나기 쉬운 환부, 특수한 상처 등의 경우들에는 응급구조사, 간호사, 심하면 의사가 해야 한다. 안 그러면 상처가 덧나거나, 흉터가 남거나, 2차 감염이 생겨 치료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할 수 있고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보통은 치료과정에서 붕대나 거즈같이 의료용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이러한 도구가 없는 오지 같은 곳에서는 넓직한 식물의 잎사귀나 생고기, 또는 생선의 껍질로 드레싱 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생선 껍질의 경우 브라질에서 틸라피아의 껍질을 사용하여 # 화상 환자의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했다. 물론 어디까지나 의료지원을 기대하기 힘든 오지에서나 급한대로 사용하는 것이지 실 생활에서 무턱대고 잎사귀나 고기로 상처를 덮으면 상처의 감염이 가속화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앞서 서술한 브라질의 경우에도 틸라피아의 껍질을 그냥 냅다 덮는 것이 아니라 탈취와 소독처리를 마친 뒤, 저온에 보관하는 과정을 거쳤다.
3. 팀 샐러드의 팬애칭
- [ 전 멤버 ]
- ||<-5><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매니저 ||
메타
{{{#!folding [ 관련 문서 ]
자세한 내용은 팀 샐러드 문서 참고하십시오.
마인애플, 카운터, 꾸몽으로 이뤄진 팀 샐러드의 팬 애칭이다. 각자의 팬 애칭이 있지만[4] 주로 '드레싱'으로 포괄해 부르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