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0:59:11

도쿠가와 이에츠구

도쿠가와 이에쓰구에서 넘어옴
파일:design_img_f_1499012_s.png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도쿠가와 이에츠나 도쿠가와 츠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도쿠가와 이에츠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도쿠가와 공작가 당주 →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도쿠가와 이에츠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조정
고세노 마로 다지히노 아가타모리 후지와라노 우마카이
후지와라노 마로 후지와라노 츠구타다 후지와라노 오구로마로
오토모노 야카모치 기노 고사미 오토모노 오토마로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 훈야노 와타마로
훈야노 와타마로 후지와라노 다다부미 미나모토노 요시나카
가마쿠라 막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후지와라노 요리츠네 후지와라노 요리츠구 무네타카 친왕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고레야스 친왕 히사아키 친왕 모리쿠니 친왕
겐무 신정
모리요시 친왕 나리요시 친왕 아시카가 다카우지
남조
오키요시 친왕 무네요시 친왕 유키요시 친왕
무로마치 막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아시카가 다카우지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아시카가 요시미츠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아시카가 요시모치 아시카가 요시카즈 아시카가 요시노리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아시카가 요시카츠 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히사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시카가 요시타네 아시카가 요시즈미 아시카가 요시하루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아시카가 요시테루 아시카가 요시히데 아시카가 요시아키
에도 막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도쿠가와 이에츠나 도쿠가와 츠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도쿠가와 이에츠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width=81>
하얀색 칸
검은색 칸
}}}
및 🎎 표시: 생전 서위
}}}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720년 11월 27일
724년
737년 8월 25일
(화력 서위일 불명)
요로 4년 10월 23일
진키 원년
덴표 9년 7월 25일
737년 11월 3일
749년 5월 4일
760년 9월 20일
762년 2월 28일
덴표 9년 10월 7일
덴표칸포 원년 4월 14일
덴표호지 4년 8월 7일
덴표호지 6년 2월 1일
770년 10월 23일
785년 6월 14일
785년 10월 31일
788년 6월 21일
호키 원년 10월 1일
엔랴쿠 4년 5월 3일
엔랴쿠 4년 9월 24일
엔랴쿠 7년 5월 13일
791년 1월
791년 1월
806년 6월
806년 6월
엔랴쿠 9년 12월
엔랴쿠 9년 12월
다이도 원년 6월
다이도 원년 6월
819년 1월 18일
823년 6월 17일
823년 6월 17일
826년 9월 1일
고닌 9년 12월 19일
고닌 14년 5월 6일
고닌 14년 5월 6일
덴초 3년 7월 26일
833년
833년
847년 11월 16일
848년 1월 28일
덴초 10년
덴초 10년
조와 14년 10월 5일
조와 14년 12월 19일
850년 9월
854년 10월 28일
858년
867년 11월 9일
가쇼(嘉祥) 3년 8월
닌주 4년 10월 4일
덴난 2년
조간 9년 10월 10일
869년 4월
872년 10월 9일
877년 1월
877년 1월
조간 11년 3월
조간 14년 9월 4일
조간 19년 1월
조간 19년 1월
884년 3월 23일
884년 3월 23일
891년 2월 24일
895년 9월 20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표 3년 1월 13일
간표 7년 8월 28일
897년 7월 19일
898년 1월 3일
900년 4월 15일
906년 6월 24일
간표 9년 6월 16일
간표 9년 12월 7일
쇼타이 3년 3월 14일
엔기 6년 5월 30일
907년
909년 4월 27일
913년 4월 27일
937년 11월
엔기 7년
엔기 9년 4월 5일
엔기 13년 3월 18일
조헤이 7년 10월
949년 9월 13일
949년 9월 13일
962년 11월 17일
967년
덴랴쿠 3년 8월 18일
덴랴쿠 3년 8월 18일
오와 2년 10월 18일
고호 4년
969년 12월 2일
970년 6월 26일
972년 12월 13일
978년 1월 1일
안나 2년 10월 20일
덴로쿠 원년 5월 20일
덴로쿠 3년 11월 5일
조겐(貞元) 2년 11월 20일
987년 3월
989년 8월 23일
992년 7월 18일
993년 6월 12일
간나 3년 2월
에이엔 3년 7월 20일
쇼랴쿠 3년 6월 16일
쇼랴쿠 4년 5월 20일
993년 8월 19일
995년 6월 25일
995년 6월 25일
1025년 9월 23일
쇼랴쿠 4년 7월 29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만주 2년 8월 29일
1029년 11월 25일
1073년 6월
1073년 6월
1075년 11월 16일
조겐(長元) 2년 10월 17일
엔큐 5년 5월
엔큐 5년 5월
조호 2년 10월 6일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1094년
1107년
1146년 11월 9일
(화력 서위일 불명)
가호 원년
가쇼(嘉承) 2년
규안 2년 10월 4일
1146년 11월 9일
1166년 9월 8일
1168년 7월
1168년 7월
규안 2년 10월 4일
에이만 2년 8월 12일
닌난 3년 6월
닌난 3년 6월
1177년 8월 28일
1190년 5월
1220년
1242년
지쇼 원년 8월 3일
겐큐 원년 4월
조큐 2년
닌지 3년
1617년 4월 14일
1628년 7월
1632년 3월 30일
1651년 7월 4일
겐나 3년 3월 9일
간에이 5년 7월
간에이 9년 2월 10일
게이안 4년 5월 17일
1680년 6월 17일
1709년 3월 4일
1709년 10월 9일
1712년 12월 1일
엔호 8년 5월 21일
호에이 6년 1월 23일
호에이 6년 9월 7일
쇼토쿠 2년 11월 3일
1716년 7월 1일
1752년 7월 20일
1761년 8월 24일
1786년 10월 13일
쇼토쿠 6년 5월 12일
호레키 2년 6월 10일
호레키 11년 7월 24일
덴메이 6년 9월 22일
1841년 4월 8일
1848년 8월 7일
1853년 9월 23일
1858년 8월 29일
덴포 12년 2월 17일
가에이 원년 7월 9일
가에이 6년 8월 21일
안세이 5년 7월 21일
1866년 8월 29일
1880년 7월 20일
1882년 8월 7일
1885년 7월 20일
게이오 2년 7월 20일
메이지 13년 동월 동일
메이지 15년 동월 동일
메이지 18년 동월 동일
1891년 2월 18일
1898년 3월 18일
1899년 9월 26일
1900년 11월 16일
메이지 2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1년 동월 동일
메이지 32년 동월 동일
메이지 33년 동월 동일
1901년 5월 16일
1901년 5월 16일
1903년 6월 27일
1904년 3월 17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6년 동월 동일
메이지 37년 동월 동일
1908년 4월 2일
1908년 9월 9일
1915년 8월 18일
1917년 11월 17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다이쇼 4년 동월 동일
다이쇼 6년 동월 동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역대 내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내대신부 내대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남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무가관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

에도 막부 제7대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이에츠구
徳川家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okugawa_ietsugu.jpg
출생 1709년 8월 8일
사망 1716년 6월 19일 (향년 6세)
신체 135cm[1], A형[2]
원호 유쇼인(有章院)
재임기간 1713년 ~ 1716년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에도 막부의 제7대 쇼군. 정덕의 치(正德之治, 쇼토쿠노치, 쇼토쿠의 치)가 이루어졌던 시기로, 일본 역사상 제일 어린 나이에 쇼군에 취임하여 일찍 죽은 탓에 '쇼넨 쿠보'(少年 公方) 또는 '쇼넨 쇼군'이라고 불린다.

2. 생애

'이에츠구'라는 이름은 당시 상황(上皇)이었던 레이겐 덴노가 직접 하사한 이름이었다. 상황이었던 레이겐 덴노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살아있을 적, 후지와라(藤原)씨 고셋케(오섭가)의 우두머리이자 후지와라씨 전체의 종가였던 고노에 모토히로[近衛基熙]를 통해 이에츠구와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 1714~1758)의 혼인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츠구가 일찍 사망하자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은 출가해서 비구니가 되었다. 만일 오래 살았으면 최초의 '공무합체'는 도쿠가와 이에츠구와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이 되었을 거라고.

도쿠가와 이에노부와 오키요(1658 ~ 1752)[4]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으로 넷째 아들이었으며 1709년 출생이었다. 어릴 적 이름은 '나베마츠'(鍋松). 이에츠구 위와 아래로도 형제, 남매들이 있긴 했지만 정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토요히메는 1681년, 세 형과 남동생 그리고 성별은 전하지 않는 동생이 1699, 1707, 1708~1710, 1710, 1711이라는 짧은 생을 산 데다 심지어는 양녀까지 6세에 사망한다. 살아남은 자식이 나베마츠(이에츠구) 밖에 없었다.

1712년, 제6대 쇼군에 취임한 지 4년째 되던 해에 도쿠가와 이에노부는 병으로 쓰러졌고, 가신인 아라이 하쿠세키(1657 ~ 1725)와 마나베 아키후사(1666 ~ 1720)를 불러 후계를 지시했는데 도쿠가와 이에츠구가 너무 어렸던 탓에 쇼군 이에노부는 오와리에 있는 도쿠가와 가문의 방계인 도쿠가와 무네하루(徳川宗春, 1696 ~ 1764)를 후계로 지명했다고 하며, 이후 또 다른 유언으로 이에츠구를 쇼군으로 세우고, 무네하루가 섭정으로 정무를 대행하게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이에노부는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후계를 놓고 마찰이 일었다고 한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오와리에서 무네하루 공 가신들이 오면 막부의 신료들과 갈등이 생겨서 천하가 소란해진다. 차라리 이에츠구 공을 쇼군으로 세우고 우리들이 후견을 하는게 낫다."
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다른 이들은
"이에츠구 공은 아직 어리다. 게다가 후계자 없이 돌아가시면 그 뒤는 어떻게 하나?"
라는 반박이 일었다. 이에 아라이 하쿠세키가
"그렇게 되면 그때 요시미츠 공을 옹립하면 된다."
라고 설득해서 1713년 어린 이에츠구가 쇼군의 직에 오르게 되었다고 한다.

겨우 네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쇼군이 된 탓에 정무는 아라이 하쿠세키와 마나베 아키후사가 전담해 쇼토쿠의 개혁을 계속 추진해 나갔다. 그러나 어머니인 겟코인(月光院)과 마나베 아키후사 사이에 불륜설이 돌았고, 1714년에는 오오쿠에서 에지마 이쿠시마 사건이 일어나 어머니의 세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어린 나이였지만 이에츠구는 제왕학 교육을 받아 아라이 하쿠세키도 이에츠구의 영특함을 인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아라이 하쿠세키와 마나베 아키후사의 사이는 점점 악화되어 갔다.

그런 가운데 1716년 3월에 감기가 악화되어 병석에 누운 끝에 결국 8세의 나이로 4월 30일에 사망했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츠구의 죽음으로 제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핏줄은 쇼군에서 끊기게 되었고, 키슈 도쿠가와 가문의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제8대 쇼군으로 뒤를 잇게 되었다. 다만 도쿠가와 이에미츠에게는 딸인 치요히메가 있었는데, 치요히메의 손자가 오와리 도쿠가와 당주인 도쿠가와 요시미츠였다. 즉 이에미츠 아들들의 후손은 단절되었으나 가계가 끊긴 것은 아닌 셈이다.[5]

도쿠가와 이에츠구와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촌수는 요시무네가 재종조(6촌 대숙부)에 해당했다고 한다.

3. 기타

재위 기간이 3년밖에 되지 않았기에, 제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 이후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 이르는 역대 쇼군들 가운데 조선 통신사를 맞이하지 못한 유일한 쇼군이 되었다. 다만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이에츠구에 대한 언급이 나오긴 했다.[6]

재임기간이 짧아서 큰 의미는 없지만 그의 치세는 조선의 숙종 재위기 후반과 일치하며 청나라의 제4대 황제 강희제 재위기와도 일치한다.

[1] 위패로 추정한 사망 당시의 키다. 사망한 나이를 감안하면 오히려 굉장한 장신으로 거인증으로 추정된다. 2022년 현재 일본의 6세 남아, 여아 평균 신장이 115cm이다. # 아이러니하게도 전전대 쇼군은 성년에도 키가 130cm 미만의 왜소증 환자였다.(...) [2] 유골 조사 결과에서 나온 혈액형. [近衛基熙] 1648 ~ 1722. 제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정실인 덴에이인의 아버지였으며 "타이코(태합)"로 불린 적이 있었다. [4] 서민 출신으로 이에노부 사후에 '겟코인'(月光院)이라는 법명을 얻었다. 이전 설명에는 오오쿠에 들어와서 얻었다고 되어 있었으나 오오쿠에 들어가기 전부터 있었던 첩이었다. [5] 치요히메의 후손은 21세기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 일본 황실. [6] 숙종실록 53권, 숙종 39년 5월 30일 병오 3번째 기사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