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역 | ||
설화명곡 방면
서부정류장 ← 0.8 ㎞ |
1호선 (124) |
안심 방면
안지랑 0.8 ㎞ → |
역명 표기 | ||
1호선 |
대명 Daemyeong 大明 / [ruby(大明, ruby=テミョン)] |
|
주소 |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로 지하71 ( 대명동 1291) | ||
관리역 및 고객센터 | ||
송현관리역 / 1고객센터 | ||
운영 기관 | ||
1호선 | 대구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97년 11월 26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4.6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대명역 2번 출구 |
대합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4번,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로 지하71 ( 대명동) 1291 소재.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 남대구세무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대명초등학교가 있다. 그것들을 빼면 딱히 대표할 만한 건물이나 역세권이 발달하지 않은 편이라 승객 수는 저조한 편이다. 아파트도 있지만, 저층에다가 오래 된 것들이다. 하지만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가 2022년 입주하여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월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으므로 내리거나 탈 때 주의해야 한다. 발빠짐 안내방송은 설화명곡 방면에서만 방송된다.
남대구세무서가 있기 때문에, 역 근처에 세무서가 있는 감삼역 및 북구청역같이 역 주변에 세무회계사무소가 많이 있다.
2. 명칭 유래
역명은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임진왜란때 조선의 원병으로 왔던 명나라의 장수 두사충은 왜란이 끝난 후 귀국했다가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다시 와서 정유재란을 평정했다. 난이 끝나고 나서는 조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두 아들과 함께 조선에 귀화했고 이에 조정은 현재 경상감영공원 일대를 주고 살도록 하였다. 그러나 타국에서 항상 고향에 두고 온 부인과 친척을 생각하다[1] 이 땅을 조정에 반납하고 대덕산 밑으로 집을 옮기고 고국인 명나라를 생각하고 잊지 않는다는 뜻에서 대명이라 하였다. 참고로 현재 두사충의 후손은 전국에 100여명이 있으며, 종손들은 모명재 주변에서 살고 있다.참고로 대명이란 지명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도 있는데, 이 역시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와 귀화한 풍수가 시문용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붙인 지명이다. 시문용은 광해군 당시 실세 정인홍의 추천으로 한양에 올라가 궁궐터 소점에 관여한 풍수로 유명하다. 두사충의 무덤과 모명재는 만촌역 근처에 있다.[2]
3. 일평균 이용객
대명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93f5c><bgcolor=#d93f5c><width=30%> 연도 ||<width=40%>
||<width=30%><bgcolor=#d93f5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5,402명 | |||
2002년 | 5,548명 | ||||
2003년 | 3,316명 | [3] | |||
2004년 | 5,220명 | ||||
2005년 | 5,376명 | ||||
2006년 | 6,636명 | ||||
2007년 | 6,336명 | ||||
2008년 | 6,338명 | ||||
2009년 | 6,105명 | }}}}}}}}} | |||
2010년 | 5,939명 | ||||
2011년 | 6,741명 | ||||
2012년 | 7,220명 | ||||
2013년 | 7,659명 | ||||
2014년 | 7,828명 | ||||
2015년 | 8,063명 | ||||
2016년 | 8,783명 | ||||
2017년 | 9,340명 | ||||
2018년 | 9,887명 | ||||
2019년 | 10,516명 | ||||
2020년 | 4,895명 | [4] | |||
2021년 | 4,958명 | ||||
2022년 | 5,429명 | ||||
2023년 | 6,348명 | ||||
출처 | |||||
이 역의 승하차 인원은 하루 평균 6천 명 남짓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사람들이 찾는다. 행정동 11동까지 있는 거대 동인 대명동의 이름을 딴 역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승객이 적은데, 이는 같은 노선의 월배역과 비슷하다. 역 이름의 인지도가 대구 내에서 굉장히 높지만, 정작 이들의 이름을 가져온 역은 주변 역들에 비해 승객이 적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명역의 수요가 저조한 이유로는, 역세권의 범위가 좁고 주변 역과 거리가 가깝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하필이면 대구 남서부의 교통 요충지인 서부정류장역 일대(성당네거리)와 700m 떨어져 있는데, 여기까지는 걸어서 10분이면 충분히 갈 수 있는 거리이다. 또한 두류공원로와 합쳐지며 막창골목으로 유명한 안지랑역과도 800m 거리로 상당히 가까워서, 두 역 사이에서 상당수의 역세권 파이를 빼앗기는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역간 거리가 짧으면 인구 밀도가 높냐, 그렇지도 않다. 이 역 주변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회계사무소 등의 소규모 업무지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몇몇 오피스를 제외하면 모든 구역이 저층의 낡은 주거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대명역의 역세권 지역은 대명6동 및 대명10동인데, 1970~1980년대에 조성된 4층 이하의 저층 주거단지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도심 치고는 인구 밀도가 낮은 곳이다.
하지만 역세권의 개발이 차차 진행되면서 보잘 것 없던 역세권에 상당수의 사업체가 들어오면서 2011년 이후로 빠른 속도로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의 여파가 있었던 2003년을 제외하면 2011년까지 하루 평균 5천~6천 명 정도의 저조한 이용률을 보여왔는데, 2010년대의 고유가 시대 개막과 더불어 역세권에 기업들이 하나 둘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차츰 이용객이 늘어나 2019년에는 개통 최초로 일평균 이용객 1만 명을 돌파하였다. 과거에는 안지랑역에 비해 이용객이 월등히 적었는데, 이제는 안지랑역과 맞먹거나 그 이상의 사람들이 찾는 역이 되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한 타격을 크게 받아 1년 만에 이용객이 절반 이하로 급감하고 말았다. 2020년 초에 발생한 대구 지역에서의 코로나-19 대유행을 일으킨 신천지 대구교회가 대명역 4번 출구 앞에 존재했기에, 대명역을 포함한 인근 지역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2021~2022년부터 차츰 코로나-19 이전의 이용객 수를 회복해가고 있는 다른 역들과 달리, 대명역은 여전히 코로나-19의 여파로 다른 역들에 비해 이용객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설화명곡역~ 동대구역 구간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인근의 골안지구가 29층, 1,051세대 규모의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라는 아파트로 재건축되면서 아파트 입주가 완료되면 이용객은 지금보다 더 늘어날 것이다. 또한 1번 출구 북서쪽에는 아직도 20세기 말인 듯한 주택가가 있는데, 2027년에 재건 목표를 하고 있으므로 향후 이용객이 급증할 것이다.
4. 승강장
대명역 승강장 |
역 안내도(성당못역이 서부정류장역으로 바뀌기 이전) |
서부정류장 ↑ | |||
하 | ㅣ | ㅣ | 상 |
↓ 안지랑 |
상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 상인· 대곡· 설화명곡 방면 |
하 | 반월당· 중앙로· 동대구· 안심 방면 |
5. 출구 정보
- 1번 출구: 남대구세무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삼아맨션, 스카이파크, 우방코스모스아파트
- 2번 출구: 우방뉴코스모스아파트, 대명빌라, 대명동교회,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
- 4번 출구: 나나바루아아파트, 안지랑우체국, 기아오토큐, 대명10동행정복지센터
6. 역 주변 정보
7. 연계 버스
대명역(1번출구) (02178) |
|
간선 | |
지선 |
대명역(2번출구) (05188) |
|
간선 | |
지선 |
8. 둘러보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93f5c> |
안심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본선) |
설화명곡 -
화원 -
대곡 -
진천 -
월배 -
상인 -
월촌 -
송현 -
서부정류장 -
대명 -
안지랑 -
현충로 -
영대병원 -
교대 -
명덕 -
반월당 -
중앙로 -
대구역 -
칠성시장 -
신천 -
동대구역 -
동구청 -
아양교 -
동촌 -
해안 -
방촌 -
용계 -
율하 -
신기 -
반야월 -
각산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9ac22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9ac22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노선명 | 역명 | |
대구교통공사 | 대구 1호선 | <colbgcolor=#fff,#000> 서부정류장(관문시장)(123) · 대명(124) · 안지랑(125) · 현충로(126) · 영대병원(127) · 교대(128) | |
대구 3호선 | 건들바위(332) · 대봉교(333) | ||
환승역 |
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 (331) (
대구 3호선) 1호선 명덕역 역사는 중구에 있다. |
||
중구 ·
서구 ·
동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경산시 · 구미시 · 영천시 · 칠곡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