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0:31:30

대 한파

대 열파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의미에 대한 내용은 한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유희왕의 마법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46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대 한파,
일어판명칭=<ruby>大寒波<rp>(</rp><rt>だいかんぱ</rt><rp>)</rp></ruby>,
영어판명칭=Cold Wave,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 1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다음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까지\, 서로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의 발동 / 세트는 할 수 없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유희왕 공식 DB 일본어판 재정
■자신 턴의 메인 페이즈 1 개시시에, 최초에 진행하는 행동으로서, 발동을 선언할 수 있는 마법 카드다.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아니다.
■이 효과가 적용되었을 경우, 서로 마법 / 함정 카드의 카드의 발동은 실행할 수 없고, 서로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할 수 없다.
■이 효과가 적용되었을 경우, 서로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의 발동을 실행할 수 없으나, 이미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있는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 등의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적용되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는 계속해서 적용되는 것이 된다.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과 세트를 막는 카드. 기본 전술은 태풍이나 허리케인처럼 상대의 마법 / 함정을 봉인하고 안전하게 몬스터의 소환이나 공격을 하는 것이다.

마함 카드를 제거할 순 없지만, 태풍이나 허리케인과 달리 다음 상대 턴에 마함이 발동 / 세트될 일은 없으니 좀 더 오랫동안 안심할 수 있다. 다만 이 카드에 체인을 거는 형태로 속공 마법이나 함정 카드를 쓸 수 있다.

이 카드가 출시된 초기엔 원턴킬하려면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이 거의 필수였고, 그렇기에 원턴킬 상황이 나와서 대 한파로 상대의 반격을 막으면 자신도 원턴킬할 수 없는 상황이 종종 발생했기에 이 카드의 평가는 안 좋았다. 또한 같은 값이면 마법 / 함정을 아예 파괴해서 못 쓰게 만들어버리는 태풍 등의 카드가 더 고평가됐기에 이 카드의 채용률은 거의 없다시피 했다.

그러나 듀얼 환경이 변하고, 점점 더 제거계 카드의 평가가 높아지며 1턴에 다수의 제거계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해두고 블러핑하는 상황이 늘어났고, 신의 심판이나 마궁의 뇌물 같은 퍼미션 계열 카드들이 기승을 부리게 되자 퍼미션 / 제거 카드를 큰 손해 없이 1턴간 막을 수 있음이 부각돼서 상대적으로 마법 / 함정의 의존도가 낮은 사이칼리에어고즈 덱이나 황천 제왕 덱 등에서 제거 가제트 덱이나 토마 한데스 덱의 카운터로 사이드 덱에 두세 장씩 넣기 시작했다. 명령 호루스의 흑염룡 덱에서도 호루스 레벨 6을 보호하고 호루스 레벨 8이 소환될 때 함정에 제거되는 걸 막기 위해 한두 장씩 채용했다. 당시 2007~2008년 우승 덱의 사이드를 보면 거의 다 대 한파가 2~3장 정도 들어간 걸 볼 수 있다.

이 카드가 본격적으로 고평가 받기 시작한 건 2008년 말 다크 암드 드래곤, 저지먼트 드래곤 등 별도의 마함 소모 없이 소환도 용이하고 돌파 능력도 탁월한 몬스터들의 출시 이후다.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주제에 타점도 높고 자체 효과로 상대의 마함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덕분에 대 한파로 락을 걸어도 다음 턴에 마함을 그대로 쓸 수 있다는 단점을 상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대회 덱은 대 한파를 3장씩 채용한 라이트로드 vs 담드의 병림픽이 되어버렸다.

거기에 필드에 몬스터를 늘어놓기만 해도 묘지가 세팅되고 고타점 몹이 쏟아져 나오는 싱크로 소환이 추가되면서 안 그래도 온갖 전개용 카드들로 묘지 자원을 늘리던 담드 덱은 레스큐 캣이나 긴급텔레포트등을 채용하면서 그대로 싱크로축으로 선회하며 타점 싸움에선 싱크로, 마함 컨트롤 덱 상대로는 대 한파란 이지선다를 성립시키며 대회를 장악했다.

이 때문에 2009년 9월에 제한, 2011년 3월에 금지 카드가 됐다. 초기엔 쓸모없다고 평가받던 카드가 이렇게까지 위상이 뛴 걸 보고 이 카드도 레스큐 캣처럼 시대를 앞서간 카드란 평가를 받는다. 발매 후 금지되기까지 10년 2개월이나 걸렸다.

2024년 기준으로도 루닉이나 순성 등 마법/함정과의 연계로 돌아가는 테마가 즐비해있기 때문에 여전히 강력한 억제력을 가진다. 비슷하게 선공해 발동해 상대의 무브를 억제하고 턴을 받아오는 용도로 쓰이는 대열파와는 다르게 발동 후 필드를 어느 정도 세워두고 턴을 넘길 수 있으며, 후공에 발동하면 견제마함들을 다 밟고 돌파할 수 있는 오버밸류 카드다. 시간이 지나도 금지에서 풀리기는 힘들 듯 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노아 편 102화에선 오오타키 슈조 마자키 안즈와의 듀얼 중 사용. 후공 첫 턴에 발동하여 안즈가 세트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얼려버린 뒤 씨자리온으로 고대 엘프를 전투 파괴했다.[1]

2.1.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0-12-14 |
[[일본|]][[틀:국기|]][[틀:국기|]] TB-12 | Thousand Eyes Bible - 千眼の魔術書 -
2002-12-12 |
[[일본|]][[틀:국기|]][[틀:국기|]] DL3-009 | DUELIST LEGACY Volume 3
2008-06-21 |
[[일본|]][[틀:국기|]][[틀:국기|]] SD15-JP02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アンデットワールド -
2002-10-20 |
[[미국|]][[틀:국기|]][[틀:국기|]] PSV-062 | PHARAOH'S SERVANT
2008-05-12 |
[[미국|]][[틀:국기|]][[틀:국기|]] CP06-EN018 | CHAMPION PACK GAME SIX
2008-10-21 |
[[미국|]][[틀:국기|]][[틀:국기|]] SDZW-EN019 | ZOMBIE WORLD STRUCTURE DECK
2023-04-21 |
[[미국|]][[틀:국기|]][[틀:국기|]] PSV-EN062 | PHARAOH'S SERVANT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4-06-19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SV-K062 | 파라오의 사도
2008-09-1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ESP1-KR024 | 익스팬션 팩 Vol.1
2009-04-1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D15-KR021 | 스트럭처 덱 - 언데드 월드 - 패밀리 에디션

2.2.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대 한파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大寒波<rp>(</rp><rt>だいかんぱ</rt><rp>)</rp></ruby>,
영어판명칭=Cold Wave,
효과1=마법: 필드의 모든 공룡족 몬스터를 파괴!)]

공룡족 전용 종족 말살용 카드.

3. 관련 카드

3.1. 대열파

파일:大熱波.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HeatWave-STBL-EN-R-1E.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대열파,
일어판명칭=<ruby>大熱波<rp>(</rp><rt>だいねっぱ</rt><rp>)</rp></ruby>,
영어판명칭=Heat Wave,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 1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다음 자신 드로우 페이즈까지\, 서로 효과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효과 몬스터 버전 대 한파.

보통의 듀얼에서는 작정하고
일반 몬스터 및 같은 취급의 토큰을 쓰는 덱이 아닌 이상 소환에 큰 제약이 걸릴 것이다. 잘만 쓰면 대천사 크리스티아만큼의 위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다만 효과 몬스터의 세트는 못 막는다.

듀얼 몬스터들은 패나 덱에선 효과 몬스터 취급돼서 세트밖에 못 하지만, 묘지에선 자신의 효과로 일반 몬스터 취급이 되므로 묘지에서 소생시킬 수 있다.

고스트릭과는 호궁합. 상술했듯이 세트하는 건 상관없고, 고스트릭은 뒷면으로 꺼내는 일이 많다 보니 상대 몬스터의 전개를 억제하고 이쪽은 오히려 유리한 상황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다음 턴까지 방어의 주축 중 하나인 스펙터와 랜턴을 못 쓰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

몬스터를 한방에 대량으로 소환하는 펜듈럼 소환이 등장한 이후에도 써먹을 구석이 많으며, 일반 펜듈럼 몬스터가 많은 테마에서 상대 전개를 막고 일방적으로 두들길 수도 있다.

버제스토마는 어차피 첫 턴에 전개할 수 없어서 큰 손해 없이 상대의 전개를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버제스토마는 묘지에서 올라왔을 때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므로 상대 턴에 버제스토마들의 소환도 방해받지 않는다. 물론 이렇게 소환한 몬스터는 소환 제한이 사라진 자신 턴에 엑시즈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천배룡이 나오면서 드디어 티어권에서의 채용이 이루어졌다. 순수 천배룡은 철저하게 후공형 덱이라 선공을 받으면 빌드를 세울 게 없는데, 사이드전에서 선공을 받으면 서로의 전개를 아예 틀어막고 다시 턴을 받기 위해 이 카드나 카이저 콜로세움을 채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천배룡이 미캉코 누메론과 다르게 상대 몬스터가 없어도 턴킬이 가능한 점 역시 이 카드와 궁합이 좋은 부분. 이후에도 메타비트나 함떡 뿐만 아니라 비슷한 후공형 덱에서도 채용할만한 가치가 생긴 셈이다.

듀얼링크스에서 백룡 덱이 채용하기도 한다. 스킬로 인해 백룡과 영룡을 릴리스 없이 소환할 수 있어서 이 카드의 락 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반면 상대는 전개가 막혀서 자신이 엄청나게 유리해지기 때문. 선후공 가리지 않고 상대의 플레이를 완전히 봉쇄하는 효과로 특수승리 카드로 불렸고, 결국 2024년 6월에 금지되었다.

내수판은 공룡이 불타면서 해골이 되어가는 모습인데 해외판의 공룡은 수정됐다. 뒤의 이미 해골이 된 공룡은 그대로인 걸 보면 타들어가는 과정을 잔인하다고 본 듯. 그래서 공룡족 몬스터가 언데드족 몬스터에게 쫓기는 일러가 됐다.
수록 시리즈
2010-07-17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TBL-JP061 | STARSTRIKE BLAST
2020-07-04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39-JP02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精霊術の使い手 -
2010-11-1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TBL-EN061 | STARSTRIKE BLAST
2019-08-02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S03-ENA23 | SPEED DUEL STARTER DECKS: ULTIMATE PREDATORS
2023-03-08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TP5-EN028 | SPEED DUEL TOURNAMENT PACK 5
2010-10-20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TBL-KR061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2020-10-16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39-KR028 |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3.2. 대 한기


[1] 메인 페이즈가 시작되자마자가 아니라 씨자리온을 소환한 다음에 발동했기에 엄밀히 따지면 로그 오류지만, 순서만 바꾸고 진행해도 그만이므로 전개상 치명적인 오류까지는 아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