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06:04:59

다비데 발라르디니

다비네 발라르디니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75대
파일:제노아 CFC 엠블럼 (2023).svg

103대, 109대, 115대, 122대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

78대
}}}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파일:84000.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다비데 발라르디니
Davide Ballardini
출생 1964년 1월 6일 ([age(1964-01-06)]세)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라벤나
국적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직업 축구 선수 (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신체 180cm
경력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AC 체세나 (1982~1983)
감독 파르마 칼초 1913 (2002~2004 / 유스 )
AS 삼베네데테세 (2004~2005)
칼리아리 칼초 (2005)
페스카라 칼초 (2006)
칼리아리 칼초 (2007~2008)
US 팔레르모 (2008~2009)
SS 라치오 (2009~2010)
제노아 CFC (2010~2011)
칼리아리 칼초 (2011~2012)
제노아 CFC (2013)
볼로냐 FC (2014)
US 팔레르모 (2015~2016)
US 팔레르모 (2016)
제노아 CFC (2017~2018)
제노아 CFC (2020~2021)
US 크레모네세 (2023)
US 사수올로 칼초 (2024)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여담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AC 체세나 유스 출신으로 잠시 1군 선수 생활을 했다.

3. 감독 경력

보잘 것 없는 선수 생활을 마친 뒤 체세나, 파르마, 밀란, 볼로냐 등의 유스팀 감독을 맡았으며, 2004년 세리에 B 삼베네데테세에 부임하여 본격적인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 시즌 팀을 승격 플레이오프까지 이끌었으나 나폴리에게 패퇴했고, 시즌 종료 뒤 칼리아리로 적을 옮기지만 얼마 못 가 경질된다. 이듬해에는 페스카라와 함께 시즌을 시작했으나 이번에도 중도에 경질되어 완주에 실패한다. 대신 시즌 말미 강등권에 처져있던 칼리아리에 다시 소방수로 투입되어 팀을 반등시키면서 처음으로 인상적인 성과를 보인다.

2008년에는 팔레르모의 감독으로 부임했고, 이곳에서 승승장구하여 주목받는 지도자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결국 시즌 종료 뒤 라치오가 위약금까지 지불해가며 팔레르모와의 2년 잔여 계약을 종료시키고 그를 새 사령탑에 앉히기에 이른다. 팀을 장기집권했던 델리오 로시의 후임이 되고,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에서 인테르를 격파하며 트로피를 들어올린 것 까지는 나무랄데 없었으나, 유로파리그 조별 탈락과 리그에서의 지속적인 부진은 그의 자리를 위태롭게 만들었다. 라치오는 인내심을 갖고 반등을 기다렸지만 팀이 18위까지 추락하자 마침내 경질을 단행한다.

이후에는 제노아와 볼로냐, 칼리아리, 팔레르모 등으로 옮겨다녔으나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2020년 12월 제노아에서의 네 번째 감독직을 맡게 되었고, 강등이 유력해보이던 팀의 성적과 경기력을 모두 향상시키는 인상적인 지도력을 선보이며 본인의 커리어도 함께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2021년 11월 6일에 성적 부진으로 인해 전격 경질되었다.[1]

2023년 1월 16일, US 크레모네세의 신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계약 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 # 그러나 2023년 9월 18일에 경질되었다. #

2024년 3월 1일, US 사수올로 칼초의 신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계약 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 그러나 사수올로의 강등을 막지 못했다.

4. 여담

  • 아들 삼형제가 있는데 모두 축구 선수라고 한다.


[1] 제노아에서만 네번째로 감독직을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