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2:51:53

닝하이급 경순양함

닝하이에서 넘어옴
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경비정 <colbgcolor=#fefefe,#191919>이싱급, 하이옌급, 하이쿠급, 하이푸급, 하이하오급, 순싱급, 하이힝급
수뢰정 후핑급*
호위함 하이차우급*
해방함 융펑급, 융젠급
구축함 푸포급, 장펑급
비방호순양함 퉁치급
방호순양함 하이룽급, 하이치급, 자오허급
경순양함 이셴, 닝하이급
수상기모함 전하이, 웨이성, 더성
연습함 페이훙, 잉루이
건보트 전웨이급, 장위안급, 추급, 롄칭급, 우펑급, 융펑급, 융젠급, 시엔닝급, 융수이급, 밍천급, 이셴,
후유급*, 밍센급
건보트
(하천용)
지앙쿵급, 장히시급, 전충급, 리수이*, 충윤급, 천유급, 차이위급, 잉선*, 잉터*, 잉하오*, 메이위안급*
(*) 표기: 해외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함
구축함
(DD)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잠수함
(SS)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로500, 유보트 Type XC
경순양함
(CL)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815형, 이오시마C, 야소시마C
장갑순양함 이즈모급R, 카스가급
중순양함
(CA)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
(CC)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
(BB)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전함,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
(CV)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
(AV)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
(CL/FF)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어뢰정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
(DE)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특공 병기 신요, 마루레,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군수지원함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 카시노
급양함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상륙함정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 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 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 개요2. 상세
2.1. 1번함 닝하이2.2. 2번함 핑하이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파일:Chinese_cruiser_NING-HAI_in_1932.jpg
1번함 닝하이
파일:Chinese_cruiser_PING-HAI_in_1936.jpg
2번함 핑하이

1. 개요

1931년에 중화민국 일본 제국의 협력을 얻어 건조한 경순양함이다.

닝하이는 중국 저장성의 지명 닝하이(寧海)[1]에서 따왔다.

장제스는 군벌들을 상대하면서 육군과 공군에 대한 전력 증강에 박차를 가했지만 해군력에 대한 투자는 미흡했다. 해군부장이었던 천사오콴은 다수의 전함과 항공모함들을 비롯한 대양해군을 육성해야한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중국의 사정상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고(중일전 발발 시점에서 독일식 정예사단에게 포병대대도 못 붙여주고 있었다)결국 현대적 순양함부터 취득하기로 결정한다.

닝하이급의 1번함 닝하이는 아예 1931년 일본 하리마 조선소에서 기공, 1932년 취역한 함선인데, 중국 해군은 원래 함선을 서방 국가에 주문하려 했으나 이들은 모두 건조를 거절했고 일본도 만주사변 직후라 배를 안 만들어주려 했지만 이누카이 츠요시와 장제스의 친분에 따라 결국 돈을 왕창 받고 만들어줬다 한다. 2번함 핑하이는 닝하이를 역설계하는 방식을 통해서 중국 기술력으로 건조했다.

닝하이는 유바리의 집약구조를 본땄으며, 덕분에 화력은 배수량이 비슷한 다른 배들보다 강했다. 닝하이는 배수량이 2,600톤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수상기와 훈련용 어뢰관 등을 갖추었다. 이러한 중무장은 안정성 감소를 일으켰다. 화력 만큼은 일본의 경순양함과 동등 이상이었지만 막상 장갑은 함교에 설치된 3인치 장갑을 제외하면 빈약한 수준이었다. 애초 일본의 경순양함보다도 작은 체급에 화력을 우겨넣다보니 장갑이 희생될 수밖에 없었다. 핑하이는 닝하이와는 다르게 여러면에서 구조가 변경되었는데, 수상기가 제거되었고 대공포를 반으로 줄였으며 함교 설계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변형 때문에 핑하이의 속도는 21노트로 떨어졌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중화민국 해군 최초의 현대식 경순양함이라는 점에서 장제스의 기대를 온 몸에 받았으며 당시 난징 정부의 선전용 포스터에 당당하게 등장할 정도였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두 척 다 석탄 연료에 왕복기관을 쓰고 있었다. 중화민국의 암울한 사정상 고오급 기술인 석유기관은 무리였던지라. 2차대전기 타국의 석탄선은 (딱히 빠를 필요도 없고 석유도 부족했던) 독일의 소해함, (애당초 군함이라 하기도 뭐한) 영국의 트리급 대잠어선 수준인데 중국만 홀로 석탄 순양함을 굴렸다는 점에 주목하자.

두 함선 모두 중일전쟁 당시 상하이 양쯔강 하구에서 벌어진 장인 전투에서 일본군 해군 항공대의 폭격으로 침몰했다. 이 함선은 왕징웨이 정권이 인양했으나 일본 제국이 두 함선을 1938년에 사세보로 끌고 가서는 복구하고 각각 이오시마(五百島), 야소시마(八十島)라는 이름을 붙여 순양함으로 사용했다. 1944년 9월에 이오시마는 일본 시즈오카현 오마에사키 앞바다에서 미군 가토급 잠수함 샤드의 공격으로 침몰당했고, 1944년 11월에 야소시마는 필리핀 루손 섬 앞바다에서 미군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랭글리에서 출격한 TBF(M) 어벤저의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

2. 상세

2.1. 1번함 닝하이

파일:chinese_light_cruiser_ning_hai_1932_by_darthpandanl-dc72nrp.png
닝하이(寧海)
건조 하리마 중공업
진수 1931년 10월 10일
취역 1932년 9월 1일
1차침몰 1937년 9월 23일
인양 1938년 5월 4일
2차침몰 1944년 9월 17일
제적 1944년 11월 10일
승무원 361명
전장 106.7m
전폭 11.9m
흘수선 4.0m
배수량 2,526t
출력 10,579 마력
추진기 석탄 / 석유 보일러 4 개
엔진 3축 왕복 엔진
최대속도 23.2 노트
기본 무장 ○ 140mm 연장포 3문
○ 533mm 어뢰발사관 4문
○ 80mm 단장 고각포 6문
○ 비커스 QF 2파운드 AA포
○ 기관총 10문
함재기 아이치 AB-3[2] 수상정찰기 1기

2.2. 2번함 핑하이

파일:chinese_light_cruiser_ning_hai_1937_by_darthpandanl-dc6lvhb.png
핑하이(平海)
건조 상하이 강남조선소
진수 1933년 10월 10일
취역 1936년 6월 18일
1차침몰 1937년 9월 23일
인양 1938년 ?월 ?일
2차침몰 1944년 11월 25일
승무원 361명
전장 106.7m
전폭 11.9m
흘수선 4.0m
배수량 2,526t
출력 7,488 마력
추진기 석탄 보일러 4개 석유 보일러 1개
엔진 2축 왕복 엔진
최대속도 21 노트
기본 무장 ○ 140mm 연장포 3문
○ 533mm 어뢰발사관 4문
○76mm AA 기관포 3문
○ 57mm AA 기관포 4문
○ 기관총 4문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한국어 독음:영해. [2] 중국의 요구에 따라 일본이 특별제작한 수상정찰기이다. [3] 나머지 함정들은 고증대로 구식 함정들이라 원양 항해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