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9:45:42

닉 아빌라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f4601><tablebgcolor=#df4601>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df4601,#ef4900> 19 어빈 · 30 로드리게스 · 37 포비치 · 38 브래디시 IL-15 · 39 번스 · 43 베이커 · 45 에이킨 · 46 킴브럴 · 47 민스 IL-60 · 49 수아레즈 · 50 짐머맨 40인 · 52 히슬리 40인 · 54 쿨롬 IL-15 · 55 테이트 · 56 존슨 40인 · 58 페레스 · 64 크레머 IL-15 · 66 크룩 40인 · 68 웰스 IL-60 · 71 · 74 바티스타 IL-60 · 78 카노 · 79 베스피 · # 스타우트 40인 · # 아빌라 40인
포수 27 맥캔 · 35 러치맨 · # 헌트 40인
내야수 2 헨더슨 · 3 마테오 · 6 마운트캐슬 · 7 홀리데이 40인 · 11 웨스트버그 · 12 노비 40인 · 29 유리아스 · 32 오헌
외야수 13 커스타드 · 17 카우저 · 21 헤이즈 · 25 산탄데르 · 28 스타워스 40인 · 31 멀린스
''''''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하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맷 보그슐티 ·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풀러 파일:미국 국기.svg 팀 커진스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디 곤잘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드류 프렌치 파일:미국 국기.svg 미치 플래스메이어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호세 에르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만소리노 ·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디 애시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킬멕 파일:미국 국기.svg 그랜트 앤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벤 카하트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조엘 폴랑코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노폭 타이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닉 아빌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8번
브라이스 존슨
(2022~2023)
닉 아빌라
(2024)
결번
}}} ||
파일:자이언츠닉아빌라.jpg
<colbgcolor=#df4601><colcolor=#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No.
닉 아빌라
Nick Avila
본명 니컬러스 폴 아빌라
Nicholas Paul Avila
출생 1997년 7월 25일 ([age(1997-07-25)]세)
캘리포니아 주 모데스토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CSULB - 산 호아킨 델타 칼리지
신체 193cm / 88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9년 드래프트 26라운드 (전체 776번, SF)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
계약 1yr / $740,000
연봉 2024 / $740,000
파일:MLB 로고.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

[clearfix]

1. 개요

볼티모어 오리올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1.1. 2024 시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4년
,
,
,
,
,

4월 1일 오토 로페즈가 DFA되면서 40인 로스터에 등재되었고, 루이스 마토스 달튼 제프리스가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처음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 당일 다저스전에서 2:6으로 뒤진 7회말에 등판해 데뷔전을 가졌고, 개빈 럭스를 2루수 직선타, 무키 베츠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오타니 쇼헤이를 삼진으로 처리해 2사를 잘 채웠으나 프레디 프리먼 윌 스미스에게 연속 적시타를 맞고 결국 2실점했다. 이후 맥스 먼시를 삼진으로 처리, 8회말은 테오스카 에르난데스를 3루수 땅볼, 제임스 아웃맨을 중견수 플라이, 크리스 테일러를 유격수 팝플라이로 처리해 삼자범퇴로 막았다.

4월 6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0으로 뒤진 8회초에 등판해 잭슨 메릴을 우익수 플라이, 잰더 보가츠를 좌익수 직선타,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제이크 크로넨워스를 삼진으로 처리했고, 9회초에도 매니 마차도를 우익수 플라이, 김하성을 1루수 땅볼, 호세 아소카르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해 2이닝을 막았다.

4월 13일 탬파베이전에서 10:1로 앞선 8회말에 등판해 대타 오스틴 셴턴에게 2루타, 대타 니코 구드럼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리치 팔라시오스에게 안타, 이사크 파레데스에게 볼넷을 내줘 만루를 만들고 레네 핀토에게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한 점 실점했고, 커티스 미드를 우익수 직선타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4월 16일 마이애미전에서 3:5로 뒤진 7회말에 등판해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를 삼진, 조시 벨에게 안타를 맞고 헤수스 산체스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해 2사를 채웠으나 팀 앤더슨을 볼넷으로 출루시키고 닉 고든에게 적시타를 맞아 실점했다. 이후 엠마누엘 리베라를 좌익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4월 19일 애리조나전에서 11:1로 뒤진 8회초 1사 만루에 등판했으나 첫 타자 블레이즈 알렉산더에게 바로 그랜드 슬램을 맞았다. 이후 케빈 뉴먼을 우익수 플라이, 케텔 마르테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4월 21일 애리조나전에서 3:2로 뒤진 9회초에 등판했으나 곧바로 가브리엘 모레노에게 안타, 제이크 맥카시의 번트가 투수 정면으로 향해 3루수 맷 채프먼이 재빨리 2루로 송구하며 병살타가 되어야 할 것이 유격수 타일러 피츠제럴드가 포구실책을 저질러 무사 1, 3루 위기에 몰렸다. 그리고 케빈 뉴먼을 상대하는 중 1-2 카운트에 4구 너클커브를 던져 뉴먼의 헛스윙을 유도했으나 명백한 헛스윙임에도 스튜 슈어워터 주심이 파울팁으로 판정해 상황이 이어졌고, 결국 뉴먼에게 적시 2루타를 맞아 삼진이 2루타로 변하고 말았다.[1] 이후 케텔 마르테에게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한 점 더 실점한 후 코빈 캐롤을 삼진,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해 이닝을 마무리했고, 팀이 9회말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적시 2루타로 한 점 추격하고 패했기에 9회초 2실점이 더욱 치명적인 실점이 됐다.

결국 다음날인 4월 22일 루크 잭슨의 복귀로 마이너로 내려갔다.

5월 13일 이정후가 부상자 명단에 오르고 메이슨 블랙이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잭슨 리츠와 함께 콜업되었다.

5월 14일 다저스전에서 6:1로 뒤진 8회초에 등판해 맥스 먼시를 2루수 땅볼, 앤디 파헤스를 삼진, 개빈 럭스를 좌익수 직선타로 처리해 첫 1이닝을 잘 막았으나 9회초 제임스 아웃맨 미겔 로하스에게 연속 2루타, 오타니 쇼헤이를 2루수 땅볼로 처리했지만 프레디 프리먼에게 적시타, 윌 스미스에게 2루타,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에게 적시 3루타를 맞고 4실점으로 완전히 무너졌다. 이후 맥스 먼시 앤디 파헤스를 연속 삼진으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5월 22일 블레이크 스넬이 복귀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지만 바로 다음날인 23일 블레이크 스넬이 출산휴가를 받아 다시 콜업되었다.

5월 24일 메츠전에서 2:5로 뒤진 6회말에 등판해 제프 맥닐을 중견수 플라이, 해리슨 베이더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토마스 니도를 삼진, 베이더의 도루를 포수 패트릭 베일리가 저지해주고 7회말 프란시스코 린도어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피트 알론소에게 홈런을 맞았다. 이후 브랜든 니모 J.D. 마르티네즈를 연속 삼진으로 처리했고, 팀이 8회초 패트릭 베일리의 역전 그랜드 슬램으로 8:7 대역전승을 거두면서 시즌 1승을 기록해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5월 26일 블레이크 스넬이 복귀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고, 6월 16일 스펜서 비벤스의 40인 로스터 자리 마련을 위해 방출되었다.

6월 17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웨이버 클레임을 받아 이적했다.

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5. 여담

  • 2024년 4월 1일 메이저 리그 데뷔에 성공했으나, 구단이 깜빡했는지 구단 공식 SNS에 선수의 데뷔를 축하해주는 사진이 올라오지 않았다.[2]

[1] 밥 멜빈 감독은 2루타 직후 흥분하여 스튜 슈어워터 주심에게 항의하다 3루 주루코치 맷 윌리엄스와 함께 퇴장당했다. [2]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