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뉴클리어 아포칼립스
||<-3><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44><tablebgcolor=#d13><#c00>
포스트 아포칼립스
좀비 | 핵 | 외계인 |
실현 가능성 | 클리셰 | 행동지침 | 클리셰 | 클리셰 |
전염병 | EMP | 기후위기 |
행동지침 | 행동지침 | 행동지침 |
1. 개요
뉴클리어 아포칼립스의 클리셰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창작물 상당수가 핵전쟁으로 시작하므로 일반적인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설정과 상당 부분이 겹친다.뉴클리어 아포칼립스는 보통 매드 맥스 시리즈, 메트로 2033, 폴아웃 시리즈처럼 핵전쟁이 끝나고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를 다루는 것과, 핵폭발 뒤 최후의 아이들, 1초 후, 해변에서 등 핵전쟁 직후를 시점으로 하는 것으로 나뉘고 당연히 양쪽의 클리셰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둘로 나누어 서술한다.
2. 핵전쟁 직후를 다룬 경우
- 공간적 배경은 대부분 인구수가 적지만 어느 정도 규모는 되는 지방 소도시다. 시내로 나가면 번화가도 있지만, 그 밖으로 나가면 시골풍경이 펼쳐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소도시가 장르의 분위기를 나타내기에 적당한데, 만약 대도시라면 핵 공격의 폭심지일 확률이 높으니 소설이 시작조차 할 수 없고, 만약 완전 산골이면 전후 차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내부인/외부인의 구분이 확실한 곳이 대립 구도가 더 쉽게 나타난다. 핵폭발 뒤 최후의 아이들, 1초 후 등의 작품에서 이런 면이 잘 그려지고 있다.
- 사태 초기에 주인공 일행은 사태를 어느 정도 파악하지만 많은 사람은 사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공황상태에 빠져 허둥지둥한다.
- 약탈이 벌어진다. 반드시 식료품, 생필품, 중요 자원 등에 대한 약탈이 벌어진다.
- 헛소문이 퍼진다. 예를 들면 냉전 당시가 배경이라면 " 소련군이 쳐들어오고 있대!"같은 절망스러운 경우라든가, 혹은 "옆마을에는 이미 적십자사가 도착해서 구호물자를 나눠주고 있대!" 같이 희망적인 듯한 내용이 있다.
- EMP 혹은 연료 부족으로 차량 대부분은 작동을 멈추고, 사람들은 말을 타거나 수레를 끌거나 하는 이동수단을 만들어 쓴다. 물론 연료가 남아 있을경우에는 그냥 쓰거나 남의 차를 빌려 히치하이킹을 한다.
- 의료체계가 붕괴되고 전염병이 돈다. 전염병이 도는 과정에서 주인공 일행 중 누군가가 죽는다.
- 배경이 되는 마을은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외부인들은 보통 사태가 더 심각한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다.
- 주인공 일행이 개를 키운다면 개가 가장 충실하고 믿을 수 있는 정신적인 버팀목이 되어준다. 그러나 음식이 없어 굶어 죽기 직전이라면 사랑하는 개를 먹을 것인가 고민하다가 결국 개를 먹게 된다. 개조차도 없다면 끝까지 버티다가 굶어 죽은 동료가 단백질로 전환된다.
- 외부와의 연락은 처음에는 끊기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는 복구된다. 해변에서의 경우 이 연락 자체가 작품의 주 소재다.
- 주인공 일행 혹은 주변 인물 중 군 출신인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이 있어야 생존확률이 높아진다.
- 나무껍질이나 풀뿌리 수준의 음식을 먹으면서 예전에 맛없다고 버리던 음식들을 떠올린다.
- 범죄가 증가하며 공공질서가 붕괴한다. 주민들이 살인, 절도, 폭행 등을 손쉽게 저지르게 된다.
- 주인공 일행들은 항상 지원을 아슬아슬하게 놓친다. 주인공 일행 앞에서 보급품이 동난다거나, 헬기가 먼저 떠나버린다거나.
- 임시 거처로 폐가나 공장을 선택한다. 그 안에는 여러 물품들과 이동수단등이 있을 확률이 높다. 아니면 또 다른 생존자, 생존자를 가장한 약탈자가 있을 확률도 존재한다.
3. 핵전쟁 이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경우
- 볼트 같은 대규모 피난 시설이 존재한다.
- 주변이 사막화된 경우가 많다.
- 주변 전체가 혹은 곳곳이 방사능 오염 지역이라면 피폭량을 신경 써가며 혹은 이미 피폭당했으니 거리낌 없이 주변에서 이것저것 억척같이 그러모으거나 삶을 이어나갈 수 있다.
- 이상한 자연현상이 목격되는 등 뭔가 신비롭고 대단한 일이 일어나기도 하며, 방사능에 오염된 돌연변이 괴식물, 괴생물체가 반드시 튀어나오며, 사람도 예외는 아니다. 이는 보통 방사능이나 핵전쟁의 여파 때문이라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설정에는 정작 핵전쟁이랑은 관계없거나, 핵전쟁이 일어나도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법한 내용이 상당히 많다.
- 방사선에 면역인 생명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방사선은 방사능이 내뿜는 일종의 에너지기 때문에 면역이란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탄소 기반 생명체가 화염(=열에너지)에 면역을 가질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 그런데 '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라는 미생물은 150만 라드의 방사능 지대에서도 멀쩡하게 살아서 번식한다고 한다. 그 비결은 파괴된 DNA를 24시간 이내에 복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DNA가 부서지는 속도보다 복구하는 속도가 빠르게 변형되면 가능은 하다. 물론 이쪽도 면역이라기보다는 그냥 내성이 어마어마하게 높은 쪽이지만.
- 바퀴벌레가 방사능에 강하다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인지, 황폐한 세계에서 바퀴벌레가 득세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집안에 서식하는 바퀴벌레들은 (발현지인 아프리카 쪽을 제외하면) 철저하게 인간 거주지에 숨어 살아가도록 진화했기에, 인간이 사라진다면 바퀴벌레 역시 번식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 방치된 군사 기지에 사용되지 않은 군용 물자나 핵무기들이 발견되고, 폴아웃의 Lonesome Road처럼 남은 핵무기 때문에 뭔가 일이 또 터지기도 한다.
- 환경이 오염되어 사람이 살 수 없을 정도로 막장화되어 방사능의 영향이 적게 미치는 지하나 계곡 등에 거주지를 마련해놓는다. 그런데 핵전쟁 이후 자연환경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다. 핵폭탄으로 말미암은 잔류 방사능은 6주에서 2개월 정도면 사람이 살 수 있을 만큼 안전한 정도로 수치가 내려가기 때문. 실제 건설된 핵폭탄 방공호도 6주 정도를 기준으로 사람이 살 수 있을 만큼 보급물자를 대비한 경우가 많고 진짜로 핵폭탄을 맞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도 방사능이 그리 오래가지 못했으며, 소련 시절 내내 200여 차례의 핵실험을 당한 노바야 제믈랴 정도는 되어야 그 정도로 진한 방사능에 오염된다. 그냥 핵폭탄만으로 수백 년 뒤에도 환경이 막장이라는 것이 말도 안 돼서 그런지, 폴아웃 시리즈는 아예 핵전쟁 전부터 원자력이 폭넓게 사용되었다는 설정을 붙이고 폴아웃 4의 보스턴은 아예 남쪽의 원자력 발전소가 핵공격을 받아 계속해서 방사능 물질이 흘러나온다고 설정되었다. 이 설정이 가능한 이유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옆의 도시 프리피야트를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심지어 그곳마저도 수십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는 살 생명체는 사는 겉보기에는 평범한 숲 수준이다.
- 반대로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은 청정지대도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지역은 신세력의 발상지가 되거나, 주인공 일행의 새 삶 터가 되거나 아니면 이 지역을 두고 분쟁이 일어나거나 한다.( 폴아웃 시리즈의 자이언 국립공원, 뉴 베가스처럼)
-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공통사항이지만) 살아남은 생존자끼리 사투를 벌이며, 생존자들이 마을을 개척해놓으면 사악한 약탈자들이 이를 약탈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 사방이 오염지대 투성인지라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은 식수, 식량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독점해 권력의 기반으로 삼는 독재자가 등장하기도 한다. (예시: 엔클레이브,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일라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