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13:27:40

냉궁

1. 개요2. 상세3. 유사 사례4. 드라마에서의 묘사

1. 개요

냉궁(冷宮)은 중국 경극이나 중국 고전문학에 등장하는 황실에서 주로 죄를 지은 황족들과 후비들을 유폐된 공간들을 지칭하는 말이다.[1] 통상적으로 지정되는 위치는 보통 궁의 편벽된 곳이었다.

2. 상세

실제로 '냉궁'이라는 별도의 공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죄를 지은 후궁이 자신의 처소, 혹은 특정한 전각에 유폐되거나 금족되면 그 곳이 바로 냉궁이 되는 개념이었다.[2] 냉궁은 위리안치(圍籬安置)[3]처럼 일종의 금고형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고통을 주지는 않지만, 심리적으로도 이곳에 갇히는 것은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라, 그렇게 된 황족들과 후비들은 웬만하면 내내 줄곧 울기만 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죄를 지은 여성을 가두는 의미이기 때문에 유폐되면 경비병들에게 일거수일투족을 감시 당하며 식사도 정해진 때에만 궁핍하게 해야 했고 청소도 따로 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심지어 겨울에도 땔감 등을 잘 지급해주지 않아 이름처럼 실제로도 몹시 추워 냉궁이라 일컫는다. 이외의 생필품도 잘 지급되지는 않는 편이다. 그렇다보니, 삼시세끼 수발을 받아오며 자란 황족들과 후비들에게는 이곳에 갇히는 것은 가혹한 수감 생활이나 마찬가지라 죽음 다음으로 혹독하게 여겨졌다.

중국산 양산형 게임 광고에는 뭐만 했다 하면 냉궁으로 보내버린다.

3. 유사 사례

  • 한나라 시대에는 아예 '액정령(掖廷令)'이라고 해서 여성 범죄자(女犯)들을 전담하는 관청을 설치했으며 액정조옥(掖廷詔獄)이라는 감옥에 여성 범죄자들을 수감하였다. 액정령에서 감독하던 감옥의 종류를 보면 죄를 지은 궁녀들을 수감하는 '영항(永巷)'[4]과 범죄를 저지른 관리들을 가두던 보궁(保宮), 황후나 귀비, 궁녀들에게 벌을 주던 폭실(暴室) 등이 있었다.[5][6]
  • 청나라 시대에도 강희제의 아들 황태자 윤잉이 폐위되어 죽을 때까지 감금되었다. 또한 황실 종친들의 부서인 종인부(宗人府)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옹정제 시대에 옹정제의 즉위에 방해가 되었던 그의 형제들을 유폐하는 데 사용하였다.
  • 오스만 제국에도 에스키 사라이(Eski Saray, 구 궁전)라고 불리는 비슷한 개념의 장소가 있었다. 본래는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차지한 이후 제국의 정궁으로 사용되던 곳이었으나 톱카프 궁전이 지어진 후 황제와 하렘은 톱카프 궁전으로 옮겨가고 에스키 사라이에는 하렘에서 문제시 된 궁녀들과 황제의 총애를 잃은 후궁들, 폐위된 전임 황제의 애첩들과 모후 등을 이곳에 기거 하도록 했다. 오스만 제국 하렘 관련 창작물에서 눈물과 탄식이 가득한 곳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4. 드라마에서의 묘사

중국을 배경으로 한 사극들에 주로 등장하며, 특히 궁중 암투를 주로 다루는 드라마에서 더욱 빈번한데, 한국 드라마 기황후에서 타나실리 황후 및 기황후가 첩여 시절 갇혔던 것으로 묘사되었다. 왕과 비에서도 한명회 신숙주가 냉궁에 갇히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또한 중국 드라마 옹정황제의 여인에서는 하상재, 여씨(죽기 직전), 여빈, 화비(죽기 직전), 기귀인(폐위 이후) 등이 보내지는 등의 묘사가 있었다.

옹정황제의 여인의 후속작인 여의전에서는 주인공인 오라나랍 여의와 여의의 궁녀인 예심, 색탁륜 아약, 길태빈 등이 보내진다. 궁 밖에서는 궁 안에서 만든 물건이 인기가 있어서, 냉궁 사람들이 자수를 놓거나 해서 물건을 만들면 시위가 궁 밖에 나가 물건을 팔고, 수익을 시위와 냉궁 사람들이 나누어 가지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여의와 길태빈이 그렇게 한다고.

이와 동일한 시대를 다루는 드라마 연희공략에서는 대가빈 김씨(당시에는 가귀인)가 아들인 4황자 영성을 이용해 당시 가빈 김씨의 양육권 박탈 이후 영성을 돌보던 한비 휘발나랍 숙신을 모함하려다 상황이 들통나 김답응으로 강등되고 보내졌고[7] 순귀비 소씨(순비 소정호)가 자신을 따르던 유비 가리엽특씨[스포일러]의 5황자 영기를 이용해 영비 위영락을 모해하려다 실패하고 이와 함께 효현순황후 부찰 용음의 7황자 영종을 죽게 한 일이 드러나자 소답응으로 강등 후 보내졌다.[9]

다른 중국 드라마 무미랑전기에서는 황후 왕씨 숙비 소씨가 폐위되어 이곳으로 보내지고 여기에서 죽음을 맞는 모습이 묘사되었다.


[1] 앞에 경극과 고전문학에서 등장한다는 표현이 들어간 것은 실제로 냉궁이라는 용어는 문학 쪽에서 더 자주 언급되는데다, 냉궁이라는 별도의 시설이 황궁 내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 tvN 예능 프로그램인 벌거벗은 세계사 106화 < 영락제 자금성 잔혹사>에서 냉궁이 별도로 있는 것처럼 설명하기도 했는데 당연히 자금성 내에 냉궁이라는 공간은 없다. [3] 죄인의 집 주변에 가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것 [4] 영항은 보통 황궁을 둘러 싼 긴 성벽을 의미한다. 주로 궁이 배정되지 않은 궁녀들이 모여 살았고 총애를 잃은 비빈들이 유폐되는 곳이기도 했다. [5] 폭실은 사나울 폭() 때문에 체벌을 가하는 곳인가 하겠지만, '말리다'라는 의미다. 폭실은 갇혀 있는 동안 황실에서 쓰이는 옷을 만드는 일을 함과 동시에 염색한 천을 햇볕에 바짝 말리는 작업을 해야 했다. 드라마 무미랑전기에서 액정으로 간 무미랑이 빨래를 하고 너는 일을 하는데 그게 바로 죄를 입은 비빈이나 궁녀들이 폭실에서 하는 일이었다. [6] 한무제의 황태자였던 유거(劉據)가 무제에게 무고술을 행했다는 모함을 받았고 결국 억울했던 황태자가 봉기한 후 실패하고 사사된 일이 있었다. 이 때 유거의 손자 '유순(劉詢)'이 목숨을 부지해 액정에서 양육되었고 이후 폭정에 갇혀 있던 허광한(許廣漢)의 딸과 혼인하였다. 참고로 유순의 장인어른 허광한은 무제가 감천궁(甘泉宮)에 갔을 때 남의 안장을 뺏어다가 자기 말에 얹었다가 절도죄로 궁형을 받은(...) 인물이었다. [7] 극중에서는 ‘북삼소’라고 표현한다. [스포일러] 다만 진심으로 따르던 건 아니었고 오히려 이 사건을 통해서 자신과 5황자의 목숨을 구했던 영비 위영락의 은혜를 갚는다. [9] 둘은 공통적으로 원한을 품고 있던 계황후 휘발나랍 숙신에게 목이 졸려 살해당한다.